$\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 생체지표를 이용한 오장생체나이 추정 모델
Models for Predicting Five Jang Biological Ages with Clinical Biomarkers 원문보기

大韓韓醫診斷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Diagnostics, v.15 no.2, 2011년, pp.175 - 190  

김태희 (김태희한의원) ,  김석 (나라한의원) ,  배철영 (차의과대학교 차움) ,  강영곤 (차의과대학교 차움) ,  조경희 (국민공단일산병원 가정의학과) ,  권수경 (나라한의원) ,  박미화 (서울대학교병원 국제협력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Even though there has been no consensus on the concept of viscera organ between the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we tri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biomarkers of five Jang and chronological age and develop the models for predicting five Jang biological ages by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4) 본 연구에서는 폐의 호흡기능만을 측정하여 폐장나이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한의학적 측면에서 폐의 호흡 이외 기능인 수액(水液)의 조절은 체내 체액 조성의 변화, 피부의 방어기능은 연령증가에 따른 피부 구성 성분의 변화 등을 제시 모델에 포함시켜 추정해 볼 수 있겠으나 기혈(氣血)의 운행 및 주리(腠理)의 방어기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방법이 현재까지 없는 것이 사실이다.
  • 비록 현재까지 동서의학의 장기 혹은 장부의 개념을 일치시킬 수 없으나 서양의학에서 흔히 검사하는 장기 별 주요 생체지표들을 이용하여 연대기적 나이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장기들의 생체나이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추정된 모델 활용을 통해 동서의학의 개념 차이를 좁힐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에 초석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임상지표들을 이용하여 장기 별 생체나이 추정모델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이제는 건강검진센터와 일상 진료실에서 장기 별 생체나이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인체 주요 장기들의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주요 장기의 기능적 저하와 관련된 임상지표들을 이용하여 장기 별로 생체나이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한 연구는 전세계적으로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비록 현재까지 동서의학의 장기 혹은 장부의 개념을 일치시킬 수 없으나 서양의학에서 흔히 검사하는 장기 별 주요 생체지표들을 이용하여 연대기적 나이와의 상관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주요 장기들의 생체나이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추정된 모델 활용을 통해 동서의학의 개념 차이를 좁힐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에 초석이 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4) 간장혈(肝 藏血)의 기능은 간의 저장철 기능을 고려하여 추후 간장나이 모델 추정에 활용될 수 있겠다. 그러나 한의학측면에서 간의 ”간주근(肝主筋)“의 기능은 서양의학의 근육, 신경계 기능이 포함된 것으로 생각되어지기에 이에 대한 생체지표를 찾아내려는 시도와 더불어 간장나이 모델 추정에 포괄적 생체지표가 포함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4) 나이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누구에게나 저절로 주어지는 연대기적 나이와, 동년배 사람들과 비교해서 개인의 기능적 능력과 건강 정도를 의미하는 생물학적 나이, 즉 생체나이(biological age)가 있다.5) 같은 나이를 먹은 사람이라도 더 젊은 사람과 더 늙은 사람이 있듯이, 각종 기관의 기능적 저하의 속도와 범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생체나이를 통해 동년배 사람들에 비해 얼마나 기능을 잘 하는지를 나타내는 기능적 상태를 보다 정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나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보통 연대기적 나이(chronological age)나 달력 나이(calendar age)로 노화를 평가하지만, 이것은 노화과정을 말해주는 정확한 지표가 아니다.4) 나이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누구에게나 저절로 주어지는 연대기적 나이와, 동년배 사람들과 비교해서 개인의 기능적 능력과 건강 정도를 의미하는 생물학적 나이, 즉 생체나이(biological age)가 있다.5) 같은 나이를 먹은 사람이라도 더 젊은 사람과 더 늙은 사람이 있듯이, 각종 기관의 기능적 저하의 속도와 범위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한의학에서 오장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오장은 간장(liver), 심장(heart), 비장(spleen) 혹은 췌장(pancreas), 폐장(lung), 신장(kidney)으로 서양의학의 해부학적 구조와 함께 각 장기의 고유한 기능뿐만 아니라 각각의 장기와 연관된 여러 기관들의 기능을 종합한 것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주장이 일찍부터 제기되었다.1) 이에 따라 한의학에서는 오장을 광의의 오장이라고 하여 발생, 추진, 통합, 억제, 침정 등 오종 기능의 대표기관으로 인식하여 서양의학의 해부학적 장기인 오장과의 개념적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다.
노화 생체지표에는 어떠한 지표들이 있는가? 이런 이유로 생체나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다양한 생체지표가 요구된다. 노화와 관련된 생체지표들은 심혈관, 호흡, 신장, 근육, 골격, 피부, 면역 등 기관별 생체지표로, 세포 수준에서는 조직, 기관, 호르몬, 유전자, 기능, 행동학적 생체지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7) 따라서 광범위한 생체지표들을 이용하여 측정된 생체나이는 연대기적 나이보다 개인의 노화 상태와 노화 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우리에게 제공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충렬. 한의학의 오장개념과 관련된 최근의 논점들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1996; 11: 181-204. 

  2. 윤길영. 한방생리학의 방법론 연구(4). 대한한의학회지. 1966; 4: 18-21. 

  3. 배철영, 이영진. 노인의학. 서울, 고려의학. 1996. 21-40. 

  4. Finkel D, Whitfield K, McGue M.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functional age: a twin study.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1995; 50: 104-113. 

  5. Borkan GA, Norris AH. Assessment of biological age using a profile of physical parameters. J. Gerontol. 1980; 35: 177-184. 

  6. Borkan GA, Norris AH. Biological age in adult-hood: Comparison of active and inactive U.S. males. Hum Biol. 1980; 52: 787-802. 

  7. Karasik D, Demissie S, Cupples LA, Kiel DP. Disentangling the genetic determinants of human aging: biological age as an alternative to the use of survival measure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5; 60: 574-587. 

  8. 강영곤, 배철영. 세계의 생체연령 측정 시스템 비교. 대한가정의학회지. 2003; 24: 146-148. 

  9. Bae CY, Kang YG, Kim S, Cho C, Kang HC, Yu BY, Lee SW, Cho KH, Lee DC, Lee K, Kim JS, Shin KK. Development of models for predicting biological age (BA) with physical, biochemical, and hormonal parameters. Arch Gerontol Geriatr. 2008; 47: 253-265. 

  10. Staessen JA, Fagard R, Thijs L, Celis H, Arabidze GG, Birkenhager WH, Bulpitt CJ, de Leeuw PW, Dollery CT, Fletcher AE, Forette F, Leonetti G, Nachev C, O'Brien ET, Rosenfeld J, Rodicio JL, Tuomilehto J, Zanchetti A. Randomised double-blind comparison of placebo and active treatment for older patients with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The Systolic Hypertension in Europe (Syst-Eur) Trial Investigators. Lancet. 1997; 350: 757-764. 

  11. Izzo JL Jr, Levy D, Black HR. Clinical Advisory Statement. Importance of systolic blood pressure in older Americans. Hypertension. 2000; 35: 1021-1024. 

  12. Stamler J, Neaton JD, Wentworth DN. Blood pressure (systolic and diastolic) and risk of fatal coronary heart disease. Hypertension. 1989; 13: I2-12. 

  13. SHEP Cooperative Research Group. Prevention of stroke by antihypertensive drug treatment in older persons with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JAMA. 1991; 265: 3255-3264. 

  14. Franklin SS, Larson MG, Khan SA, Wong ND, Leip EP, Kannel WB, Levy D. Does the relation of blood pressure to coronary heart disease risk change with aging?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2001; 103: 1245-1249. 

  15. Nichols WW, Nicolini FA, Pepine CJ. Determinants of isolated systolic hypertension in the elderly. J Hypertens suppl. 1992; 10: S73-77. 

  16. Benetos A, Safar M, Rudnichi A, Smulyan H, Richard JL, Ducimetieere P, Guize L. Pulse pressure: A predictor of long­term cardiovascular mortality in a French male population. Hypertension. 1997; 30: 1410-1415. 

  17. Thomas F, Guize L, Bean K, Benetos A. Pulse pressure and heart rat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ncer?. J Clin Epidemiol. 2001; 54: 735-740. 

  18. Colpo A. LDL cholesterol: ''Bad'' cholesterol, or bad science?. Am J Phys Surg. 2005; 10: 83-89. 

  19. Seeman TE, Singer BH, Rowe JW, Horwitz RI, McEwen BS. Price of adaptation--allostatic load and its health consequence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Arch Intern Med. 1997; 157: 2259-2268. 

  20. Donahue RP, Abbott RD. Central obesity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Lancet. 1987; 2: 1215. 

  21. Butler RN, Sprott R, Warner H, Bland J, Feuers R, Forster M, Fillit H, Harman SM, Hewitt M, Hyman M, Johnson K, Kligman E, Mc Clearn G, Nelson J, Richardson A, Sonntag W, Weindruch R, Wolf N. Biomarkers of aging: From primitive organisms to human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4; 59: B560-567. 

  22. Arnesen E, Refsum H, Bonaa KH, Ueland PM, Forde OH, Nordrehaug JE. Serum total homocysteine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t J Epidemiol. 1995; 24: 704-709. 

  23. Riggs KM, Spiro A 3rd, Tucker K, Rush D. Relations of vitamin B-12, vitamin B-6, folate, and homocysteine to cognitive performance in the Normative Aging Study. Am J Clin Nutr. 1996; 63: 306-314. 

  24. 김완희. 한의학원론. 서울, 성보사, 1995, 161-179. 

  25. Cook NR, Evans DA, Scherr PA, Speizer FE, Taylor JO, Hennekens CH. Peak expiratory flow rate and 5­year mortality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Epidemiol. 1991; 133: 784-794. 

  26. Cook NR, Albert MS, Berkman LF, Blazer D, Taylor JO, Hennekens CH. Interrelationships of peak expiratory flow rate with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MacArthur foundation studies of aging.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5; 50: M317-323. 

  27. Kalantar-Zadeh K, Kopple JD, Block G, Humphreys MH. A malnutrition inflammation score is correlated with morbidity and mortality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Am J Kidney Dis. 2001; 38: 1251-1263. 

  28. Reuben DB, Cheh AI, Harris TB, Ferrucci L, Rowe JW, Tracy RP, Seeman TE. Peripheral blood markers of inflammation predict mortality and functional decline in high functioning community dwelling older persons. J Am Geriatr Soc. 2002; 50: 638-644. 

  29. Cattin L, Bordin P, Fonda M, Adamo C, Barbone F, Bovenzi M, Manto A, Pedone C, Pahor M.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airment among older Italian inpatients. J Am Geriatr Soc. 1997; 45: 1124-1130. 

  30. Reuben DB, Ix JH, Greendale GA, Seeman TE. The predictive value of combined hypoalbuminemia and hypocholesterolemia in high functioning community dwelling older person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 Am Geriatr Soc. 1999; 47: 402-406. 

  31. Alexander CM, Landsman PB, Grundy SM. Metabolic syndrome and hyperglycemia: Congruence and divergence. Am J Cardiol. 2006; 98: 982-983. 

  32. Ford ES, Giles WH, Mokdad AH. Increasing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Diabetes Care. 2004; 27: 2444-2449. 

  3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ll About Diabetes. http://www.diabetes.org/aboutdiabetes.jsp (Accessed July 30, 2007). 

  34. Rohlfing CL, Little RR, Wiedmeyer HM, England JD, Madsen R, Harris MI, Flegal KM, Eberhardt MS, Goldstein DE. Use of GHb (HbA1c) in screening for undiagnosed diabetes in the U.S. population. Diabetes Care. 2000; 23: 187-191. 

  35. Khaw KT, Wareham N, Bingham S, Luben R, Welch A, Day N. Association of hemoglobin A1c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nd mortality in adults: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in Norfolk. Ann Intern Med. 2004; 141: 413-420. 

  36. Nuttall FQ. Effect of age on the percentage of hemoglobin A1c and the percentage of total glycohemoglobin in non-diabetic persons. J Lab Clin Med. 1999; 134: 451-453. 

  37. 전통의학연구소. 한의학사전. 서울, 성보사, 1994, 25-28. 

  38. Jones CA, McQuillan GM, Kusek JW, Eberhardt MS, Herman WH, Coresh J, Salive M, Jones CP, Agodoa LY. Serum creatinine levels in the US population: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Kidney Dis. 1998; 32: 992-999. 

  39. Gowans EM, Fraser CG. Biological variation of serum and urine creatinine and creatinine clearance: Ramifications for interpretation of results and patient care. Ann Clin Biochem. 1988; 25: 259-263. 

  40. Cockcroft DW, Gault MH. Prediction of creatinine clearance from serum creatinine. Nephron. 1976; 16: 31-41. 

  41. Go AS, Chertow GM, Fan D, McCulloch CE, Hsu CY. Chronic kidney disease and the risks of death, cardiovascular events, and hospitalization. N Engl J Med. 2004; 351: 1296-1305. 

  42. Wannamethee SG, Shaper AG, Perry IJ.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 possible marker for increased risk of stroke. Stroke. 1997; 28: 557-5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