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수량 변화가 지하수함양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ecipitation Change to the Groundwater Recharg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3 no.3, 2011년, pp.377 - 384  

이승현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  배상근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수량변화가 도시 및 해안지역의 지하수함양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포함하는 광역 지하수유역에 강수량자료를 변화시켜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고 강수량증감에 따른 지하수함양량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강수량 증감에 따라 지하수함양량의 증감량은 차이가 있으나 강수량과 지하수함양량의 변화 양상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강수량의 변화에 대한 지하수함양률의 변화폭이 최근으로 올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연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함양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강수량 변화 시의 지하수함양량의 전체 평균 변화율은 강수량이 10 % 증가 시에는 2.23 %, 10 % 감소 시에는 2.20 %, 20 % 증가 시에는 4.39 %, 20 % 감소 시에는 4.36 %로 강수의 변화율에 비하여 지하수함양량은 적은 변화율을 보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강수량의 변화율에 비하여 지하수함양률의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시지역에서 강수량이 변화할 시에는 지하수함양량의 변화율이 이에 미치지 못함으로 직접유출에 미치는 영향이 그 양만큼 커지게 되어 도시홍수의 발생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and to analyze how the precipitation change can affect urban area and coastal area to groundwater recharge. The variation in the precipitation data of the regional groundwater basin, which includes Busan Metropolitan City Suyeong Gu area, was to estim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는 수문학적 영향으로 강수량이 증감하여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변화가 지하수함양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의 47년간 강수량 자료(기상청)로부터 기존의 일 강수량을 10 %, 20 % 증감시켜 이들 변화된 강수가 연구지역에 발생하였을 시의 지하수함양량을 산정하였다. 지하수함양량 산정 시에 요구되는 CN값은 유역전체의 평균값을 사용하지 않고 토지피복 상태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Table 2).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의 변화가 도시지역에서의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도시 및 해안지역의 수자원관련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해안에 위치한 부산광역시 수영구를 포함하는 광역 지하수유역에 대하여 강수량 증감에 따른 지하수함양량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기온은 지난 100년간 얼마나 상승했는가? 근래에 들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폭염과 산불, 집중호우, 홍수, 폭설 등으로 인한 피해가 과거에 비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온은 지난 100년간 1.5 ℃ 상승하였고 제주지역 해수면은 지난 40년간 22 cm 상승하였는데 이는 세계평균치의 2~3배 높은 수치이다. 1998년의 지리산에서 발생한 돌발홍수, 1999년의 경기북부에서의 집중호우, 2002년의 태풍 루사, 2003년의 태풍 매미, 2010년의 대규모 폭설 등으로 인하여 기록적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경험하였다(이자원, 2010).
근래에 들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어떤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가? 근래에 들어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세계 곳곳에서 폭염과 산불, 집중호우, 홍수, 폭설 등으로 인한 피해가 과거에 비해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온은 지난 100년간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다은, 정용, 박무종, 윤재영, 김상단, 최민하. 2011.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자원 분야의 취약성 분석. 한국습지학회지 13(1): 25-33. 

  2. 김병식, 권현한, 김형수. 2011. 기후변화가 가뭄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습지학회지 13(1): 1-11. 

  3. 김병식, 윤석영. 2008. 이상기후에 대비한 수자원 분야의 대응 -이상기후대비 시설기준강화 연구단의 3년 간 성과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지 56(2): 13-21. 

  4. 김승. 2008. 기후변화와 수자원의 안정적 확보방안. 춘천물포럼. 

  5. 김영란, 김갑수.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서울시 물관리 전략. SDI 정책리포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0): 1-20. 

  6. 류문현, 장석원, 박두호. 2011. 기후변화와 가뭄: 물의 잠재가격 및 피해 추정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3(2): 209-218. 

  7. 배상근. 2005. 지하수함양량 산정을 위한 NRCS-CN방법의 적용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5(6B): 425-430. 

  8. 이승현, 배상근. 2010. 도시화에 의한 장기 지하수 함양량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9(6): 779-785. 

  9. 이용준, 박종윤, 박민지, 김성준. 2008. SWAT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I).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8(6B): 653-663. 

  10. 이자원. 2010. 우리나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해에 대한 적응기법 개발 동향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44(4): 635-648. 

  11. Aguilera, H,. Murillo, J. 2009. The effect of possible climate change and natural groundwater recharge based on a simple model: a study of four karstic aquifers in SE Spain. Environmental Geology, 57(3):963-974. 

  12. Alley, W.M., Reilly, T.E., Franke, O.I. 1999. Sustainability of groundwater resources. US Geological Survey Circular 1186, pp. 79. 

  13. Aron, G., Miller, A. and Laktos, D. 1977. Infiltration Formula Based on SCS Curve Number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 Div. ASCE 103(IR4): 419-427. 

  14. Elisabeth, M. H. and Nicole, G. 2009. Urban from and climate change: balancing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the US and Australia. Habitat International 33: 238-245. 

  15. Green, T.R., Bates, B.C., Charles, S.P., Fleming, P.M. 2007. Physically based simulation of potential effects of carbon dioxide altered climates on groundwater recharge. Vadose Zone Journal 6(3): 597-609. 

  16. Hjelmfelt, A. T. 1980. Curve Number Procedures as Infiltration Method. Journal of Hydraulic. Div. ASCE 106(HY 6): 1107-1111. 

  17. Holman, I.P. 2006. Climate change impacts on groundwater recharge - uncertainty, shortcomings, and the way forward?. Hydrogeological Journal 14(5): 637-647. 

  18. http://www.kma.go.kr 

  19. http://www.wamis.go.kr/main.aspx 

  20. IPCC,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IPCC 2006), IGES, Japan. 

  21. McEvoy, D., Lindley, S., and Handley, J. 2006. Adaptation and mitigation in urban areas: synergies and conflicts.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159(4): 185-192. 

  22. Sandstrom, K. 1995. Modeling the effects of rainfall variability on groundwater recharge in semi-arid Tanzania. Nordic Hydrology 26: 313-330. 

  23. Vaccaro, J.J. 1992. Sensitivity of groundwater recharge estimates to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Columbia Plateau, Washingt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7(D3): 2821-2833. 

  24. Wolderamlak, S.T., Batelaan, O., De Smedt, F. 2007.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roundwater system in the Grote-Nete catchment, Belgium. Hydrogeological Journal 15(5): 891-9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