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흰쥐 일과성 뇌허혈 시 GFAP으로 표지되는 반응성 신경아교세포증에 대한 전침의 효과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Reactive Gliosis Expressing GFAP in Rat with Transient Global Cerebral Ischemi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2, 2011년, pp.341 - 352  

조미숙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침자극이 일과성 뇌허혈이 유발된 흰쥐 대뇌피질에서 GFAP으로 표지되는 반응성 별아교세포증에 미치는 효과를 동정하기위해서 시행되었다. 실험동물은 전침자극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다시 각 집단을 1일, 3일, 7일 군으로 나누어 각기 15마리씩 무작위 배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침은 인체의 족삼리, 곡지, 음릉선에 상응하는 부위에 자침하고 2 Hz의 근육수축이 현저히 보일 때까지 고강도 (1mA)를 자극하였으며, 전침은 연속파, 직각파, 0.2 ms duration으로 매일 1회 오전 10~12시에 10 분 씩 총 10 회 시행한 뒤, 뇌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GFA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 하였다. GFAP의 발현은 뇌허혈로 인해 손상이 유발된 대뇌피질의 혈관주위 및 대뇌피질에서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표지된 별아교세포들을 계수한 바, 대조군에 비해 뇌허혈이 유발된 1 일 군에서 전침자극군이 약간 감소하였고, 3 일 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7 일 후에는 그 감소정도가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대조군에 비해 전침자극군에서 GFAP으로 표지된 별모양아교세포의 수가 모두 감소한 것은 전침자극에 의해 손상의 정도가 감소하여, 전침자극이 신경가소성을 유발시키고 있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reactive gliosis expressing GFAP in rat with transient global cerebral ischemia.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 control group and a electroacupuncture group on ST36, LI11 and SP9 with 2 H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침자극이 일과성 뇌허혈이 유발된 흰쥐 대뇌피질에서 GFAP으로 표지되는 반응성 별아교세포증에 미치는 효과를 동정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실험 동물은 생후 8∼12 주된 체중 250∼300 gm 성숙한 Sprague-Dawley 계 웅성 흰쥐 90마리를 사용하여 전침자극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다시 각 집단을 1일, 3일, 7일 군으로 나누어 각기 15마리씩 무작위 배분 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 따라서 전침자극이 뇌허혈로 인한 뇌손상 시 신경가소성을 유발시킬 수 있음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임상적 차원에서 일부 보고되고 있으나, 분자적 수준에서의 뇌세포의 변화를 보고한 예는 극히 드물어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시적 뇌허혈 유발 후 전침자극이 GFAP으로 표지되는 반응성 별아교세포증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여, 뇌손상 시전침의 치료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 흰쥐의 발목관절에 Freund's adjuvant를 주입하여 관절염을 발생시킨 실험모델에서, 염증 초기에 척수에서 별아교세포의 증식이 있었지만, 전침자극 후 GFAP의 면역조직화학적 표지가 감소하였고, 특히 신경아교세포 의 비특이성 대사억제제인 fluorocitrate 투여시 그 감소정도는 최고점에 다다른 것을 보고하여 전침에 의한 별아교세포의 반응성 신경아교증의 감소한다고 하였다[28]. 이와 연관되어 본 연구에서 뇌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주된 혈관인 왼온목동맥을 일시적으로 결찰하여 일과성 뇌허혈을 유발시킨 뒤 GFAP에 대한 면역반응성을 관찰한 바 뇌허혈 유발 72시간대에 최대의 면역반응성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신경세포사멸로 인한 뇌의 손상을 국소화 또는 최소화 시키려는 별모양아교세포의 반응성 증식과 별아교세포에 뇌허혈의 직접 영향이 혼재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침자극에 의해 시간 경과에 따라GAFP의 면역 반응성이 감소한 것이 관찰되어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소견이 있으나, 침 및 전침자극과 별아교세포에 대한 기전이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어서 향후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혈관질환이란 무엇이며 원인은 무엇인가?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accident)의 임상적 용어인 뇌졸중(stroke)은 뇌혈류 순환장애로 인한 급격한 국소적 신경학적 손상을 통칭하는데[1][2], 뇌혈관의 죽상동맥경화증, 지방유리질증, 염증, 아밀로이드침착, 동맥박리, 발육기형, 동맥류, 정맥혈전증, 심장이나 두개 강외 동맥에서 기인한 색전이 두개강내 혈관을 막는 경우, 관류압 감소, 혈액점도 증가에 의한 뇌혈류 부전, 지주막하 또는 뇌혈관 파열 등이 그 원인이 된다[3]. 일과성 뇌허혈은 국소적인 뇌손상을 유발시키며 국소적인 신경계 증상이 따로따로 분리되어 대개 한 번 나타나고수 시간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GFAP의 발현은 어디에서 어떤 수준으로 관찰되었는가? 2 ms duration으로 매일 1회 오전 10~12시에 10 분 씩 총 10 회 시행한 뒤, 뇌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GFA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 하였다. GFAP의 발현은 뇌허혈로 인해 손상이 유발된 대뇌피질의 혈관주위 및 대뇌피질에서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표지된 별아교세포들을 계수한 바, 대조군에 비해 뇌허혈이 유발된 1 일 군에서 전침자극군이 약간 감소하였고, 3 일 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7 일 후에는 그 감소정도가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별아교세포가 뇌손상으로부터 뇌를 보호하기 위해 심하게 손상된 신경세포는 제거하고, 덜 손상된 부위는 보전하기 위하여 하는 작용은 무엇인가? 뇌허혈 유발 시 부가적 특징으로 손상된 뇌조직 주위에 신경아교세포들의 빠른 활성과 증식이 관찰된다[6]. 별아교세포는 중추신경계에서 뇌손상 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증식하거나, nestin, vimentin 및 glial fibrillary protein(GFAP) 등의 중간사를 상향시켜 손상을 막는 장벽인 아교세포반흔(glial scar)를 형성하기 위해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손상을 국소화시키거나 재조직화시킨다[7]. 이는 별아교세포가 뇌손상으로부터 뇌를 보호하기 위해 심하게 손상된 신경세포는 제거하고, 덜 손상된 부위는 보전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의미에서 별아교세포 증식은 뇌손상 시 치료적 표적이 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 E. Baird, A. Benfield, G. Schlaug, and B. Siewert. Enlargement of human cerebral ischemic lesion volumes measured by diffusion-weigh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n Neurol. Vol.41, No.5, pp.581-589, 1997. 

  2. S. W. Levison, R. P. Rothstein, and M. J. Romanko, Hypoxia/ischemia depletes the rat perinatal subventricular zone of oligodendrocyte progenitors and neural stem cells. Dev Neurosci. Vol.23, No.3, pp.234-47, 2001. 

  3. C. Iadecola, F. Zhang, and R. Casey. Delayed reduction of ischemic brain injury and neurological deficits in mice lacking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gene. J Neurosci. Vol17, pp.9157-9164, 1997. 

  4. M. Nagayama, F. Zhang, and C. Iadecola, Delayed treatment with aminoguanidine decreases focal cerebral ischemic damage and enhances neurologic recovery in rats. J Cereb 

  5. N. Tateishi, T. Mori, and Y. Kagamiishi, Astrocytic activation and delayed infarct expansion after permanent focal ischemia in rats. J Cereb Blood Flow Metab. Vol.22, No.6, pp.723-734, 2002. 

  6. J. A. Alves, P. Barone, and S. Engelender, Initial stages of radial gliaastrocytic transformation in the early postnatal anterior subventricular zone. J Neurobiol. Vol.52, No.3, pp.251-265, 2002. 

  7. M. Pekny and M. Nilsson, Astrocyte activation and reactive gliosis. Glia. Vol.50, pp.427-434, 2005. 

  8. A. Buffo, C. Rolando, and S. Ceruti, Astrocytes in the damaged brain : Molecular and cellular insights into their reactiv response and healing potential. Biochemical Pharmacology. Vol.99, pp.77-89, 2010. 

  9. A. Buffo, I. Rite, and P. Tripathi, Origin and progeny of reactive gliosis : a source of multipotent cells in the injured brain. Proc Natl Aca Sci USA. Vol.105, pp.3581-3586, 2008. 

  10. A. Buffo, C. Rolando, and S. Ceruti, Astrocytes in the damaged brain : Molecular and cellular insights into their reactiv response and healing potential. Biochemical Pharmacology. Vol.99, pp.77-89, 2010. 

  11. 손인석, 최병태, 장경전. 고빈도 120 Hz 전침이 Carragreenan으로 유발된 흰쥐의 Postaglandin E2와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Vol.20, No.3, pp.15-23, 2003. 

  12. 신홍기, 박동석, 이서은 등. 전침자극이 흰쥐후각 세포의 유해반응에 미치는 효과의 특성, 대한침구학회지, Vol.20, No.3, pp.117-130, 2003. 

  13. 손인석, 최병태, 장경전, 고빈도 120 Hz 전침이 Carragreenan으로 유발된 흰쥐의 Postaglandin E2와 척수 N-Methyl-D-Aspartate Receptor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Vol20, No.3, pp.15-23, 2003. 

  14. 신홍기, 박동석, 이서은, 전침자극이 흰쥐후각세포의 유해반응에 미치는 효과의 특성. 대한침구학회지. Vol.20, No.3, pp.117-130, 2003. 

  15. 류성룡, 백용현, 박동석. 전침자극의 Collagen 유발 관절염 모델에 대한 진통효과 및 기전에 관한연구. 대한침구학회지, Vol.23, No.3, pp.77-90, 2006. 

  16. B. Liu, R. X. Zhang, and L. Wang, Effects of pertussis toxin lectroacupuncture-produced anti-hyperalgesia in inflamed rats. Brain Res. Vol.1044, No.1, pp.87-92, 2005. 

  17. 신홍기, 이경희, 박동석. 전침자극이 만성통증을 억제하는 아드레날린성 기전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Vol.25, No.3, pp.66-67, 2004. 

  18. T. Inder, P. S. Huppi, and G. P. Zientara, Early detection of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by diffusion-we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chniques. J Pediatr. Vol.134, No.5, pp.631-634, 1999. 

  19. A. E. Baird, A. Benfield, G. Schlaug, and B. Siewert, Enlargement of human cerebral ischemic lesion volumes measured by diffusion-weight.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n Neurol, Vol.41, No.5, pp.581-589, 1997. 

  20. 손영주, 정혁상, 구자승, 흰쥐의 족삼리 및 태충전침자극에따른 뇌대사활성의 변화. 대한침구학회지, Vol.19, No.1, pp.159-174, 2002. 

  21. A. Buffo, C. Rolando, and S. Ceruti, Astrocytes in the damaged brain : Molecular and cellular insights into their reactiv response and healing potential. Biochemical Pharmacology, Vol.99, pp.77-89, 2010. 

  22. R. S. Cameron and P. Rakic, Glial cell lineage in the cerebral cortex: a review and synthesis. Glia. Vol.4, No.2, pp.124-37, 1991. 

  23. M. Kalman and B. M. Ajtai, A comparison of intermediate filament markers for presumptive astroglia in the developing rat neocortex: immunostaining against nestin reveals more detail, than GFAP or vimentin. Int J Dev Neurosci. Vol.19, No.1, pp.101-108, 2001. 

  24. T. Voigt. Development of glial cells in the cerebral wall of ferrets: direct tracing of their transformation from radial glia into astrocytes. J Comp Neurol. Vol.289, No.1, pp.74-88, 1989. 

  25. S. O. Suzuki and J. E. Goldman, Multiple cell populations in the early postnatal subventricular zone take distinct migratory pathways: a dynamic study of glial and neuronal progenitor migration, J. Neurosci. Vol.23, No.10, pp.4240-4250, 2003. 

  26. S. Ueda and X. F. Gu, Whitaker-Azmitia PM et al. Neuro-glial neurotrophic interaction in the S-100 beta retarded mutant mouse. Brain Res. Vol.633(1-2), pp.275-283, 1994. 

  27. A. Yokoyama, A. Sakamoto, and K. Kameda, NG2 proteoglycan-expressing microglia as multipotent neural progenitors in normal and pathologic brains. Glia. Vol.53, No.7, pp.754-768, 2006. 

  28. U. Missler and M. Wiesmann, Measurement of S-100 protein in human blood and cerebrospinal fluid: analytical method and preliminary clinical results. Eur J Clin Chem Clin Biochem. Vol.33, No.10, pp.743-748, 1995. 

  29. S. Sun, M. Cha, M. Han, T. T. Li, Evidence for suppression of electroacupuncture on spinal glial activation and behavioral hypersensitivity in a rat model of monoarthritis. Brain Res. Bul. Vol.75, pp.83-93, 2008. 

  30. Y. H. Chubg, C. M. Shin, and M. J. Kim, Enhanced expression of L-type Ca2+ channels in reactive astrocytes after ischemic injury in rats. Neurosci Let. Vol.302, pp.93-96, 2001. 

  31. C. Du, R. Hu, and C. A. Csernansky, Very delayed infarction after mild focal cerebral ischemia: a role for apoptosis? J Cereb Blood Flow Metab, Vol.16, No.2, pp.195-201, 1996. 

  32. V. Biran, L. M. Joly, and A. Heron, Glial activation in white matter following ischemia in the neonatal P7 rat brain. Exp Neurol. Vol.199, No.1, pp.103-12, 2006. 

  33. C. C. Chao, S. Hu, and W. S. Sheng, Cytokine-stimulated astrocytes damage human neurons via a nitric oxide mechanism. Glia, Vol.16, No.3, pp.276-284, 1996. 

  34. R. S. Cameron and P. Rakic, Glial cell lineage in the cerebral cortex: a review and synthesis. Glia. Vol.4, No.2, pp.124-137, 1991. 

  35. S. Ueda, X. F. Gu, and P. M. Whitaker-Azmitia, Neuro-glial neurotrophic interaction in the S-100 beta retarded mutant mouse. Brain Res. Vol633, No.1-2, pp.275-283, 1994. 

  36. J. E. Rice, 3rd, R. C. Vannucci, and J. B. Brierley, The influence of immaturity on hypoxic-ischemic brain damage in the rat. Ann Neurol. Vol.9, No.2, pp.131-141, 1981. 

  37. J. Ong, J. M. Plane, and J. M. Parent, Hypoxicischemic injury stimulates subventricular zone proliferation and neurogenesis in the neonatal rat. Pediatr Res. Vol.58, No.3, pp.600-606, 2005. 

  38. S. Ueda, X. F. Gu, and P. M. Whitaker-Azmitia, Neuro-glial neurotrophic interaction in the S-100 beta retarded mutant mouse. Brain Res, Vol.633, No.1-2, pp.275-283, 1994. 

  39. 신홍기, 박동석, 이서은, 전침자극이 흰쥐후각세포의 유해반응에 미치는 효과의 특성. 대한침구학회지, Vol.20, No.3, pp.117-130, 2003. 

  40. M. Culcasi, M. Lafon-Cazal, and S. Pietri, Glutamate receptors induce a burst of superoxide via activ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 arginine-depleted neurons. J Biol Chem. Vol.269, No.17, pp.12589-12593, 1994. 

  41. A. K. Loihl, V. Asensio, and I. L. Campbell,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NOS)-2 following permanent focal ischemia and the role of nitric oxide in infarct generation in male, female and NOS-2 gene-deficient mice. Brain Res. Vol.830, No.1, pp.155-164, 1999. 

  42. 류성룡, 백용현, 박동석. 전침자극의 Collagen 유발 관절염 모델에 대한 진통효과 및 기전에 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Vol.23, No.3, pp.77-90, 2006. 

  43. M. Nagayama, F. Zhang, C. Iadecola, Delayed treatment with aminoguanidine decreases focal cerebral ischemic damage and enhances neurologic recovery in rats. J Cereb Blood Flow Metab. Vol.18, No.10, pp.1107-1113, 1998. 

  44. 손영주, 정혁상, 구자승, 흰쥐의 족삼리 및 태충전침자극에따른 뇌대사활성의 변화. 대한침구학회지, Vol.19. No.1, pp.159-174,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