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급성과 만성 뇌졸중 환자 및 정상인의 심폐와 보행 기능 비교
Comparison of Pulmonary and Gait Function in Subacute or Chronic Stroke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3 no.5, 2011년, pp.23 - 28  

김창범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unctional gait and pulmonary function of patients with subacute or chronic stroke for aperiod after the onset of stroke. Healthy people of similar ages served as a control group. The study focused on the clinical importance of intervention with cardi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을 비교하여 뇌졸중 발병 이후 신경계 재활치료 중재 제공 기간에 따른 폐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기능적 보행 평가인 6분 걷기와 10 m 걷기 검사를 이용하여 아급성 뇌졸중 환자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 상태에 따른 보행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신경계 재활치료 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에게 특성화된 심폐관련 재활치료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심폐기능 향상을 위한 특성화된 중재를 제공받지 않은 아급성 뇌졸중 환자와 만성 뇌졸중 환자, 그리고 동일 연령대의 정상인의 폐활량(vital capacity, VC), 노력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을 비교하여 뇌졸중 발병 이후 신경계 재활치료 중재 제공 기간에 따른 폐기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기능적 보행 평가인 6분 걷기와 10 m 걷기 검사를 이용하여 아급성 뇌졸중 환자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 상태에 따른 보행 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신경계 재활치료 뿐만 아니라 뇌졸중 환자에게 특성화된 심폐관련 재활치료 중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은 뇌졸중 이후 호흡 기능 장애는 폐활량, 노력 폐활량, 최대 흡기량과 호기량의 감소 결과라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아급성 뇌졸중 환자와 동일 연령대의 정상인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저하된 폐기능에 관하여 지지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 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가설은 아급성 뇌졸중 환자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폐기능이 정상인에 비하여 저하되어 있을 것이며, 저하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고, 보행 능력 평가에서는 근지구력에 영향을 받는 6분 걷기 검사와 보행의 기능적 측면을 반영하는 10 m 걷기 검사에서 만성과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게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라고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기능의 저하는 뇌졸증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8,9 신경계 물리치료, 작업치료, 작업치료 등 집중적인 재활치료를 필요로 하는 뇌졸중 환자들에게서 호흡기능의 저하는 흔하게 관찰될 수 있다. 지구력을 요하는 유산소 운동 시 피로감을 쉽게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상 생활동작 수행능력의 저하로 독립생활의 어려움을 초래하며, 재활치료를 지속적으로 수행함에 있어서 역시 어려움을 보임으로 충분한 기능적 회복을 방해할 수 있다.10 뇌졸중 환자의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심폐기능은 정확한 폐기능 측정을 통하여 진단, 예후 및 정도를 평가하여 치료적 중재 처방의 기초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으며, 뇌졸중 환자의 보행 개선에 있어서 호흡 기능은 중요한 요소이고 재활 프로그램에서 호흡운동의 적용이 유용하다고 하였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고혈압, 당뇨, 심장 질환, 가족력, 스트레스 등의 이유로 발생되며, 뇌혈관의 경색 또는 출혈로 인해 혈류 공급의 문제로 뇌손상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1 뇌졸중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마비, 실조, 반맹, 실어증, 구음장애, 감각결손, 기억력 장애, 시각인지 결손 등과 같은 증상이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뇌졸중은 고혈압, 당뇨, 심장 질환, 가족력, 스트레스 등의 이유로 발생되며, 뇌혈관의 경색 또는 출혈로 인해 혈류 공급의 문제로 뇌손상이 초래되고 이로 인해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1 뇌졸중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으로는 마비, 실조, 반맹, 실어증, 구음장애, 감각결손, 기억력 장애, 시각인지 결손 등과 같은 증상이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신체 사지에서 여러 종류의 마비를 보이는 뇌졸중은 운동기능과 감각기능 장애를 동반하면서 신체적 활동에 심각한 제약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haw GL. Airway obstruction due to b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as a complication of stroke. South Med J. 1987;80(11):1432-3. 

  2. Kolb B, Gibb R. Brain plasticity and recovery from early cortical injury. Dev Psychobiol. 2007;49(2):107-18. 

  3. Frownfelter D, Dean E. Cardiovascular and pulmonary physical therapy: evidence and practice. 4th ed. Philadelphia, Mosby. 2006:701-9. 

  4. Kim K, Seo KC. The effect of pulmonary function and chest length in the stroke patients after feedback breathing exercise among position change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0;49(3):57-74. 

  5. Fugl-Meyer AR, Linderholm H, Wilson AF. Restrictive ventilatory dysfunction in stroke: its relation to locomotor function. Scand J Rehabil Med Suppl. 1983;9:118-24. 

  6.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5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 2002: 149-55. 

  7. Agnarsson U, Thorgeirsson G, Sigvaldason H et al. Effect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ventilatory function on risk for stroke in men: the reykjavik study. Ann Intern Med. 1999;130(12):987-90. 

  8. Hermann DM, Bassetti CL. Sleep-related breathing and sleep-wake disturbances in ischemic stroke. Neurology. 200973(16):1313-22. 

  9. Goldie PA, Matyas TA, Evans OM. Deficit and change in gait velocity during rehabilit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0):1074-82. 

  10. Estenne M, Gevenois P, Kinnear W et al. Lung volume restri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spiratory muscle weakness: the role of microatelectasis. Thorax. 1993;48(7): 698-710. 

  11. Skinner JS. Exercise testing & exercise prescription for special cases: theoretical basis & clinical application.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318-21. 

  12. Kim BJ, Bae SS, Hwangbo G. The improve of hemiplegic patients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by forceful respiratory exercise. J Kor Soc Phys Ther 2004;16(1):32-48. 

  13. Sutbeyaz ST, Koseoqlu F, Inan L et al.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mproves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exercise tolerance in subjects with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24(3):240-50. 

  14. Nitz J, Burke B. A study of the facilitation of respiration in myotonic dystrophy. Physiother Res Int. 2002;7(4): 228-38. 

  15. Lee JH, Kwon YJ, Kim K. The effect of chest expansion and pulmonary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fter breathing exercise. J Kor Soc Phys Ther 2009;21(3):25-32. 

  16. Yan-fang S, Yu-ping W. Sleep-disordered breathing: Impact on functional outcome of ischemic stroke patients. Sleep Med. 200910(7):717-9. 

  17. Hidler J, Nichols D, Pelliccio M et al.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okomat in subacute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1): 5-13 

  18. Perez-Padilla R, Vazquez-Garcia JC, Marquez MNet al.The long-term stability of portable spirometers used in a multinational study of the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pir Care. 2006;51(10):1167-71. 

  19. Hunt SM, Mackenna SP, Williams J. Reliability of a population survey tool for measuring perceived health problems: a study of patients with osteoarthrosi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1;35(4):297-300. 

  20.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Task-related circuit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locomotor tasks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0;81(4):409-17. 

  21. Dobkin BH. Short-distance walking speedand timed walking distance: Redundant measures for clinical trial? Neurology. 2006;66(4):584-6. 

  22. Cahalin LP, Mathier MA, Semigran MJet al. The six-minute walk test predict peak oxygen uptak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Chest. 1996;110(2): 325-32. 

  23. Mossberg KA. Reliability of a timed walk test in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2003; 82(5):385-90. 

  24. Teixeira-Salmela LF, Parreira VF, Britto RR et al. Respiratory pressures and thoracoabdominal motion in communitydwelling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0):1974-8. 

  25. Kim JH, Hong WS, Bae SS. The effect of chest physical therapy on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in the patients with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0;12(2):133-44. 

  26. Gozal D, Thiriet P.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n neuromuscular disease: long-term effects on strengthand load perception. Med Sci Sports Ecerc. 1999;31(11):1522-7. 

  27. Roth EJ, Noll SF. Stroke rehabilitation. 2.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Arch Phys Med Rehabil. 1994;75(5 Spec No):S42-6. 

  28. Park JW. Longitudinal motor function recovery in stroke patients with focal pons infarction: report of 4 cases. J Kor Soc Phys Ther. 2009;21(4):111-5. 

  29. Kang JI, Jeong DK, Park SK et al. Effects of chest resistance exercise o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fatigue in patients with COPD. J Kor Soc Phys Ther. 2011; 23(2):37-43. 

  30. Outermans JC, van Peppen RP, Wittink H et al. Effects of a high-intensity task-oriented training on gait performance early after stroke: a pilot study. Clin Rehabil. 2010;24(11):979-87. 

  31. Potempa K, Lopez M, Braun LT et al. Physiological outcome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troke. 1995;26(1):1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