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년에 따른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Stress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4 no.2, 2011년, pp.190 - 198  

이규영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tress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grade.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omparative survey using as convenience sample of 701 1st, 2nd and 3rd-grade students. The stress levels was measured by stress scale that consisted of 65 items regar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상자의 소재지에 따라 도시와 농촌으로 구분하여 지역변수로 사용하였다. 도시는 서울, 경기, 인천, 전북, 농촌은 군단위인 강원도 한곳을 정하여 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수준 측정도구는 Chung (1998)이 개발한 설문지를 Yi (2004)와 Kim (2005)이 수정·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 Weist (2000)의 연구에 의하면, 학생들의 스트레스 연구도 한 학교나 소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넘어 다수의 학생과 지역별로 연구됨이 필요로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 전체학년을 포함하고, 지역적 편중을 벗어나 서울, 경기, 인천, 전북, 강원소재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학년별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중학생 학년별 특성에 맞는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하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먼저, 본 연구결과 중학생 전체 스트레스 총점은 3.
  • 본 연구는 중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학년별로 나누어 파악함으로써 학년별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전북의 도시지역 4개교 학생을 학년별로 한반씩 600명을 무선 표집하였고, 강원지역의 군단위 소재 중학교 전수 300명, 총 900명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701명을 대상으로 학년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반적 특성비교, 학년별 스트레스 수준비교,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의 모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설명력이 낮은 이유는 농촌과 도시 등 서로 다른 지역의 대상자가 혼재되어있고, 지역의 다양성으로 인해 설명력이 낮아 진 것이 아닌 가 사료된다.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학년별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로서 학년에 적합한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학년별로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년에 따른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설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년별로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 학년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 학년에 따른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 분석한다. •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한다.
중학생은 어떤 시기인가? 중학생은 발달과정상 아동에서 성인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급격한 신체적, 생리적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로 자아 의식 발달과 함께 부모로부터 독립해야 하는 중요한 과업을 지니고 있다. 학생들 대부분은 학교에서 긴 시간을 보내며, ‘학교’라는 작은 사회 속에서 다양한 관계를 배우면서 생활양식을 습득해 나간다(Kwak, 2006).
중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학년별로 나누어 파악한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에 대한 결론은? 첫째, 학년에 따른 중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은 2학년이나 3학년 학생들에 비하여 학원도 더 많이 다니고 있었으며, 방과 후 공부하는 시간도 더 많았고, 하루 중 인터넷 게임을 하는 시간은 다른 학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해 본 결과 중학교 2학년 학생 3.04, 3학년 학생 3.09로 거의 비슷한데 비해 1학년 학생들은 3.18로 다른 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도시지역 학생들보다는 농촌지역 학생들이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으며,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높고, 생활에 만족한 학생들보다는 불만족한 학생들이 스트레스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모델을 Enter Method로 구축한 결과, 학년이 낮을수록, 농촌에 사는 학생일수록, 여학생일수록, 생활에 불만족 할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S. G. (2007). The relationship of stress, school adjustment with DISC behavior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 Ang University, Seoul. 

  2. Cho, K. J., & Lee, M. H. (2010).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stress, stress-coping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6 (2), 120-127. 

  3. Chung, W. J. (1998). Analysis of stress source and coping of childr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Chungju. 

  4. Fouladi, R. T., Rew, L., & Horner, S. D. (2006). Comparison of three models of measuring stress, coping, and humor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 (2), 79-98. 

  5. Hong, Y. L. (2000). Stressor, coping style, communication with mother & school adaptation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6 (3), 362-371. 

  6. Hwang, H. J. (2006). A Study on the stress and its relative effects of variabl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9 (1), 193-216. 

  7. Jang, Y. A., & Son, Y. M. (2006). Analysis of school students' stress and related variables. Korean Journal Community Living Science, 17 (4), 137-149. 

  8. Kim, J. S., Ryu, S. H. (2003). A study on stressor and stresscoping patter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16 (1), 105-117. 

  9. Kim, E. G. (2011).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in the health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graduate school of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Y. H. (2010). The relation of daily stress and ego-resilience to the happin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Studies, 17 (12), 287-307. 

  11. Koh, S. E., & Hong, H. Y. (2009).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Youth Studies, 16 (11), 97-124. 

  12.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Vision of we project of adolescent in Korea. KEDI's Brochure, 38 (238), 28-32. 

  13. Kwak, S. R. (2006).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6 (1), 1-26. 

  14. Lee, C. Y., Lee, G. Y., Ahn, Y. H., & Lee, H. K. (2007). A Comparison of stress levels of elementary students by geographical region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37 (6), 986-993. 

  15. Lee, G. Y., Lee, K. E., Cho, H. S., & Park, Y. H. (2010). A development of a curriculum guide for health education at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3 (2), 97-114. 

  16. Lee, G. Y., Ha, Y. M., & Kim, S. H. (2008). A comparison of fast foods and soft drink consump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by geographical reg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1 (2), 47-60. 

  17. Park, C. J. (2002). The comparison between northen and southern elementary schoolers and of seoul on the stress and coping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18. Shin, Y. H., & Aha, Y. H. (2009). A mentor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among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20 (2), 259-268. 

  19. Weist, M. D. (2000). Expanded school mental health services: assessing needs related to school level and geograph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36 (3), 259-273. 

  20. Yang, K. H., Park, B. N., & Lee, J. R. (2006). A study on relation between stress factors and sellf-esteem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4), 542-551. 

  21. Yi, K. (2004).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factors, their coping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ngbuk National University, Daegu. 

  22. Yoon, S. K. (2004).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the experience and adaptation of stres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