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촉매 및 세라믹 정밀여과 혼성공정에 의한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 물 역세척시 유기물의 영향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Process of Photocatalyst and Ceramic Microfiltration: Effect of Organic Materials in Water-back-flushing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1 no.1, 2011년, pp.72 - 83  

박진용 (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이권섭 (한림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탁도 원수의 고도정수처리를 위해 관형 세라믹 정밀여과막 외부와 원통형 막 모듈 내부 사이의 공간에 광촉매를 충전한 혼성 모듈을 사용하였다. 광촉매는 PP (polypropylene) 구(bead)에 $TiO_2$ 분말을 플라즈마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공정으로 코팅한 것이다. 정수 원수 중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혼성공정에서 막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10분 주기로 10초 동안 물 역세척을 시행하였다. 휴믹산을 10 mg/L부터 2 mg/L로 변화시킴에 따라, 막오염에 의한 저항($R_f$)이 감소하고 J가 증가하여 2 mg/L에서 가장 높은 총여과부피($V_T$)를 얻었다. 탁도 및 $UV_{254}$ 흡광도의 처리효율은 각각 98.5% 및 85.7% 이상이었다. MF 공정 및 MF + $TiO_2$ 공정, MF + $TiO_2$ + UV 공정의 막여과 및 광촉매 흡착, 광산화의 처리 분율을 알아본 결과, 광촉매 흡착과 광산화에 의해 탁도는 거의 처리되지 않았으나, 광촉매 흡착 및 광산화에 의한 휴믹산 처리 분율은 각각 10.7, 8.6% 이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water, we used the hybrid module that was composed of photocatalyst packing between outside of tubular ceramic microfiltration membrane and membrane module inside. Photocatalyst was PP (polypropylene) bead coated $TiO_2$ powder by C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모사용액에서 카올린의 농도를 일정하게 고정한 후, 휴믹산의 농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고도정수 처리시 여과인자와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자외선 조사 없이 광촉매만 투입한 공정과 정밀여과 단독으로 고도정수처리할 경우 여과인자와 처리효율의 변화도 고찰하여, 본 혼성 공정에서 광촉매에 의한 흡착 및 광산화, 정밀여과의 역할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관형 세라믹 정밀여과막(HCMT-7231) 및 광촉매 혼성공정에서 유기물질이 막오염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카올린 농도를 30 mg/L로 일정하게 하고 휴믹산의 농도를 2, 4, 6, 8, 10 mg/L로 변화시켰다. 그리고 TiO2 코팅 PP구는 40 g/L로 충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산유기물이란 무엇인가? 한편, 정수처리 공정에서 소독제와 반응하여 THMs (trihalomethanes)과 같은 소독부산물(DBPs, disinfection by-products)을 생성하는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는 자연산유기물(NOM, natural organic matters)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주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5]. 자연산유기물은 매우 복잡한 유기화합물질로 모든 물에서 발견이 되며, 일반적으로 수변지역과 수환경 중에서의 생물학적 활동을 통해 만들어진 단백질, 다당류, 휴믹물질을 말한다. NOM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휴믹물질 (humic substance)은 서로 다른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진 복잡한 혼합물의 일종으로 주로 휴믹산과 펄빅산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동물과 식물의 생물분해에 의해서 생 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수처리공정에 막여과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정수처리공정보다 좋은 점은 무엇인가? 정수처리공정에 막여과를 이용할 경우, 응집-침전-모래여과-소독 공정으로 구성된 종래의 정수처리 공정보다 많은 장점을 지닌다. 우선 기존의 모래여과를 대신하는 막 여과 공정은 현탁 물질 및 입자상 물질, 그리고 미생물에 대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완벽한 분리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막 여과 공정은 간결한 공정 구성이 가능하며, 침전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설비를 간소화 할 수 있고, 물리적인 처리 방법이므로 대상 원수의 성질 상태의 변동 등에 따라서 처리수의 수질이 크게 좌우되 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이며 양호하다[4].
정수처리 공정에서 주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한편, 정수처리 공정에서 소독제와 반응하여 THMs (trihalomethanes)과 같은 소독부산물(DBPs, disinfection by-products)을 생성하는 전구물질로 알려져 있는 자연산유기물(NOM, natural organic matters)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주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5]. 자연산유기물은 매우 복잡한 유기화합물질로 모든 물에서 발견이 되며, 일반적으로 수변지역과 수환경 중에서의 생물학적 활동을 통해 만들어진 단백질, 다당류, 휴믹물질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J. C. Park, J. W. Park, J. K. Shin, and H. M. Lee, "Dynamics of high turbid water caused by heavy rain of monsoon and typhoon in a large Korean reservoir (Andong reservoir)", Korean J. Limnol, 38(1), 105 (2005). 

  2. S. J. G., K. C. Geun, and H. S. Jin, "Daily variations of water turbidity and particle distribution of high turbid-water in Paldang reservoir, Korea", Korean J. Limnol, 36(3), 257 (2003). 

  3. J. K. Shin, J. Hur, H. S. Lee, J. C. Park, and S. J. Hwang, "Spatial interpretation of Monsoon turbid- water wnvironment in a reservoir (Yongdam) discharging surface water, Korea", J.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22(5), 933 (2006). 

  4. J. Y. Park, "Effect of water-back-flushing time on recovery efficiency in ceramic filtration system for paper wastewater treatment", Membrane Journal, 14(4), 329 (2004). 

  5. J. H. Park, S. Y. Lee, and H. S. Park, "Removal of NOM in a coagulation process enhanced by modified clay", J. Korean Society of Water & Wastewater, 21(1), 37 (2007). 

  6. M. H. Cho, C. H. Lee, and S. H. Lee, "Effect of flocculation conditions on membrane permeability in coagulation-microfiltration", Desalination, 191, 386 (2006). 

  7. Y. Yoon and R. M. Lueptow,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by RO and NF membranes", J. Membr. Sci., 261, 76 (2005). 

  8. M. R. Teixeira and M. J. Rosa, "The impact of the water background inorganic matrix on the natural organic matter removal by nanofiltration", J. Membr. Sci., 279, 513 (2006). 

  9. J. H. Chung, K. H. Choo, and H. S. Park, "Low pressure hybrid membrane processes for drinking water treatment", Membrane Journal, 17(3), 161 (2007). 

  10. H. S. Kim, S. Takizawa, and S. Ohgaki, "Application of microfiltration systems coupled with powdered activated carbon to river treatment", Desalination, 202, 271 (2007). 

  11. S. Mozia and M. Tomaszewska, "Treatment of surface water using hybrid processes-adsorption on PAC and ultrafiltration", Desalination, 162, 23 (2004). 

  12. R. H. S. Jansen, J. W. de Rijk, A. Zwijnenburg, M. H. V. Mulder, and M. Wessling, "Hollow fiber membrane contactors-A means to study the reaction kinetics of humic substance ozonation", J. Membr. Sci., 257, 48 (2005). 

  13. K. W. Park, K. H. Choo, and M. H. Kim, "Use of a combined photocatalysis/ microfiltration system for natural organic matter removal", Membrane Journal, 14(2), 149 (2004). 

  14. Y. T. Lee and J. K. Oh, "Membrane fouling effect with organic-inorganic materials using the membrane separ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 Membrane Journal, 13(4), 219 (2003). 

  15. W. Yuan, A. Kocic, and A. L. Zydney, "Analysis of humic acid fouling during microfiltration using a pore blockage-cake filtration model", J. Membr. Sci., 198, 51 (2002). 

  16. D. B. Mosqueda-Jimenez and P. M. Huck, "Characterization of membrane foulants in drinking water treatment", Desalination, 198, 173 (2006). 

  17. M. Heran and S. Elmaleh, "Microfiltration through an inorganic tubular membrane with high frequency retrofiltration", J. Membr. Sci., 188, 181 (2001). 

  18. S. K. Karode, "Unsteady state flux response: a method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solute and gel layer in membrane filtration", J. Membr. Sci., 188, 9 (2001). 

  19. H. K. Vyas, A. J. Mawson, R. J. Bennett, and A. D. Marshall, "A new method for estimating cake height and porosity during filtration of particulate suspensions", J. Membrane Sci., 176, 113 (2000). 

  20. P. Rai, C. Rai, G. C. Majumdara, S. D. Gupta, and S. De, "Resistance in series model for ultrafiltration of mosambi (Citrus sinensis (L.) Osbeck) juice in a stirred continuous mode", J. Membr. Sci., 283, 116 (2006). 

  21. K. Katsoufidou, S. G. Yiantsios, and A. J. Karabelas, "A study of ultrafiltration membrane fouling by humic acids and flux recovery by backwashing: Experiments and modeling", J. Membr. Sci., 266, 40 (2005). 

  22. J. Y. Park, S. J. Choi, and B. R. Park, "Effect of N2-back-flushing in multichannels ceramic microfiltration system for paper wastewater treatment", Desalination, 202, 207 (2007). 

  23. D. Chen, L. K. Weavers, and H. W. Walker, "Ultrasonic control of ceramic membrane fouling: Effect of particle characteristics", Water Research, 40, 840 (2006). 

  24. Y. J. Yuk and K. H. Youm, "Enhancement of ultrafiltration performance using ultrasound", Membrane Journal, 13(4), 283 (2003). 

  25. W. F. Jones, R. L. Valentine, and V. G. J. Rodgers, "Removal of suspended clay from water using transmembrane pressure pulsed microfiltration", J. Membr. Sci., 157, 199 (1999). 

  26. F. Malek, J. L. Harris, and F. A. Roddick, "Interrelationship of photooxidation and microfiltr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J. Membr. Sci., 281, 541 (2006). 

  27. H. C. Lee and J. Y. Park,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process of ceramic microfiltr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Effect of GAC packing fraction", Membrane Journal, 18(3), 191 (2008). 

  28. H. C. Lee and J. Y. Park,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process of ceramic microfiltr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Effect of water-back-flushing time and period", Membrane Journal, 19(1), 7 (2009). 

  29. H. C. Lee, J. Y. Park, and D. Y. Yoon, "Advanced water treatment of high turbidity source by hybrid module of ceramic microfiltr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Effect of organic/inorganic materials", Korean J. Chem. Eng., 26(3), 697 (2009). 

  30. I. R. Bellobono, B. Barni, and F. Gianturco, "Preindustrial experience in advanced oxidation and integral photodegradation of organics in potable waters and waste waters by $PHOTOPERM^{TM}$ membranes immobilizing titanium dioxide and promoting photocatalysts", J. Membr. Sci., 102, 139 (1995). 

  31. R. Molinari, C. Grande, E. Driloli, L. Palmisano, and M. Schiavello, "Photocatalytic membrane reactors for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in water", Cata. Today, 37, 273 (2001). 

  32. R. Molinari, F. Pirillo, M. Falco, V. Loddo, and L. Palmisano,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dyes by using a membrane reactor", Chem. Eng. Proc., 43, 1103 (2004). 

  33. K. Azrague, E. Puech-Costes, P. Aimar, M. T. Maurette, and F. Benoit-Marquie, "Membrane photoreactor (MPR) for the mineralisation of organic pollutants from turbid effluents", J. Membr. Sci., 258, 71 (2005). 

  34. M. Pidou, S. A. Parsons, G. Raymond, P. Jeffery, T. Stephenson, and B. Jefferson, "Fouling control of a membrane coupled photocatalytic process treating greywater", Wat. Res., 43, 3932 (2009). 

  35. D.-J. Kim, J.-Y. Kang, and K.-S. Kim, "Preparation of $TiO_{2}$ thin films on glass beads by a rotating plasma reactor", J. Ind. & Eng. Chem., 16, 997 (2010). 

  36. Y. K. Yoon,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M by particle activated carbon and ozon/PAC in Han-river", Master Dissertation, U. of Seoul, Seoul, Korea (2007). 

  37. J. Y. Jung, K. Y. Kang, D. H. Youn, Y. S. Kim, K. H. Suh, and J. H. Lim, "A study on the adsorp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by activated carbon from drinking water", J. Korean Ind. Eng. Chem., 14(8), 1127 (2003). 

  38. M. Cheryan, "Ultrafiltration Handbook", pp. 89-93, Technomic Pub. Co., Lancater, PA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