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건설로봇의 필요성 및 개발 방향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38 no.7 = no.326, 2011년, pp.30 - 36  

장인성 (한국해양연구원) ,  최현택 (한국해양연구원) ,  서진호 (포항지능로봇연구소) ,  김진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초록

최근 들어 녹색 성장과 해양 개발에 맞는 다양한 목적의 해양 구조물이 계획 또는 시공되고 있으며, 대형 해양 구조물에 대한 수요를 바탕으로 해양 구조물이 점차적으로 대수심 조건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미래 시장 예측을 통한 해양 구조물 수요 변화에 대해 미리 대처하고 미래해양구조물 니즈에 적극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해양구조물 시공장비, 특히 수중로봇의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미래 해양구조물에 대한 개발 동향과 함께, 이에 따라 필요한 수중시공로봇의 역할과 기존의 개발 현황, 그리고 최근 기획사업을 통해 도출된 향후 연구개발 방향에 대한 분석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향후 10년 이후인 2018년 정도에는 수중로봇이 기술선도형 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며, 이 때에는 로봇원천기술을 돌파하는 단계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는 등 정부의 융복합 기술 우선 정책 및 녹색성장 기조를 대변하는 신성장동력산업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래 해양구조물에 대한 개발 동향과 함께, 이에 따라 필요한 수중건설로봇의 역할과 기존의 개발 현황, 그리고 최근 기획사업을 통해 도출된 향후 연구개발 방향에 대한 분석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이 기획사업에 따르면 수중건설로봇의 연구개발사업은 21세기 해양시대, 녹색성장 강국으로 발전하기 위한 수중로봇 분야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며, 선진국의 기술 수준을 따라잡는 캐치업(Catch-Up) 수준이 아니라 향후 10년 이내에 수중건설 로봇 관련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5위권 이내로 진입할 수 있는 실용화 상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또한, 한국해양연구원은 창원대학교와 함께 항만 수중공사에 필요한 수중 사석고르기, 굴삭작업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중 기계화 굴삭장비 및 무인 수중 운용 시스템 개발 사업을 2009년부터 수행 중이다 (그림 6b). 이 사업은 수심 20m까지 원격조정으로 수중 무인 기계화시공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운영 시스템 개발, 현장 실해역 검증실험을 통한 성능평가 및 실용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원대학교에서 개발한 항만공사용 수중로봇 Stone Man과 Stone Dive는 어떤 수중 공사가 가능한가? 국내의 방파제나 호안을 건설하기 위한 수중공사는 깊은 수심, 높은 파도와 같은 자연환경 때문에 작업환경이 열악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잠수부의 인력을 이용하는 재래식 방법에 의존하는 형태여서 사고발생 위험이 높고 시공효율이 낮으며 공사의 품질관리나 감독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러한 현실적인 요구에 의해 2003년부터 창원대학교에서 대수심에서 2~3톤 규모의 사석을 쌓는 위험한 작업을 하는 원격조정 시공이 가능한 항만공사용 수중로봇 Stone Man과 Stone Dive(그림 6a)를 개발하였다(국토해양부, 2008). 또한, 한국해양연구원은 창원대학교와 함께 항만 수중공사에 필요한 수중 사석고르기, 굴삭작업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중 기계화 굴삭장비 및 무인 수중 운용 시스템 개발 사업을 2009년부터 수행 중이다 (그림 6b).
국내 수중 공사는 시공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어서 수중 시공용 로봇의 개발이 필요한가? 지금까지 대부분의 국내 수중 공사의 경우에는 20m 내외 조건에서 잠수부를 활용한 재래식 시공과 공사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시공과정에서 허리부상 및 손가락 절단 등 각종 재해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잠수병 때문에 작업시간이 극히 제한되고, 대수심, 고파랑 등 해상 조건이 열악할 경우 생산성 및 시공의 정밀도가 크게 떨어진다. 이로 인해 다양한 수중 환경을 극복할 수 있는 수중 시공용 로봇의 개발이 필요하다.
수중건설로봇은 어떤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한가? 이런 측면에서 항만 및 연안 구조물에 대한 정밀 시공 분야 이외에도 연안 환경 및 재해 관련 관측 조사, 해양 구조물 정밀 설계를 위한 해양 조사, 수중 시설물 유지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지며 국가 지정학적 특성 및 국가 산업발전의 추이를 고려할 때 다양한 수중 환경조사 및 유지보수 사업의 시장성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