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EMI/EMC 및 인체 영향 연구 동향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v.38 no.10 = no.329, 2011년, pp.19 - 25  

김남 (충북대학교) ,  이승우 (충북대학교) ,  전양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전기연구원에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수백 W급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실험에 성공하였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대용량 에너지 전송으로 미국 NASA에서 추진한 우주 태양광발전소 프로젝트가 있으며, 우주에서 태양에너지를 집속하여 지구에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전력을 송출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며, 2050년 상용화를 목표로 100억 W급 전력을 송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 개발 중이다.
  • 그렇기 때문에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개발하면서 동시에 EMI/EMC 및 EMF에 대한 문제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을 함께 제시하고 있다[1]. 본 고에서는 무선전력전송에 따른 EMI/EMC 및 EMF의 문제와 측정결과 등에 관한 최근 연구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 하지만 에너지 전송효율이 약 15 % 정도이며 열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때 손실이 커서 상용화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우주탐사국에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태양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전송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우주 태양광 발전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JAXA을 중심으로 미쓰비시전기, NEC, 후지쯔, 샤프 등이 참여하는 무인우주실험시스템 연구개발기구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1998년부터 연구를 하고 있으며, 2020년 10 MW 태양전지 시험 발사 계획 및 250 MW급 발전 설비를 우주에 설치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도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란 무엇인가? 전도방식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특정 기기를 충전하는 기술로써,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원이 연결되어 있는 특정한 전력전송기기가 필요하며, 전자기기의 표면에 전력 전송을 위한 금속 접점이 요구된다. 전력을 송신하는 기기와 수신하는 기기의 표면이 반드시 접촉이 되어야 충전이 가능하지만, 다른 무선전력전송 방식과 비교하여 충전 효율이 매우 좋다는 장점이 있다.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충전 방식 원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자기유도방식은 기존의 전동칫솔 등에서 사용되었던 자기유도를 이용한 충전 기술로 충전시스템 및 충전기기 사이에선 또는 특정한 금속 접점 없이 전력을 전송 가능한 방식으로, 송신단의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발생시키는 자기장을 수신단의 2차 코일에 자기장을 유도하면서 발생되는 전류를 사용하여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8]. 전도방식에 비하여 전력전송이 자유로우나 충전기기 및 충전시스템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야 하며, 송신단과 수신단의 자기장 방향이 맞아야 한다.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높은 효율성을 보이려면 어떤 환경에서 충전을 시도해야 하는가? 자기유도방식은 기존의 전동칫솔 등에서 사용되었던 자기유도를 이용한 충전 기술로 충전시스템 및 충전기기 사이에선 또는 특정한 금속 접점 없이 전력을 전송 가능한 방식으로, 송신단의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발생시키는 자기장을 수신단의 2차 코일에 자기장을 유도하면서 발생되는 전류를 사용하여 충전을 하는 방식이다[8]. 전도방식에 비하여 전력전송이 자유로우나 충전기기 및 충전시스템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야 하며, 송신단과 수신단의 자기장 방향이 맞아야 한다. 즉, 무선전력 전송 기술 중에서 수 mm의 근거리에서는 95 % 이상의 매우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으나, 거리가 수 cm 정도만 되어도 효율이 급격이 떨어지며, 방향성에 매우 민감하여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동일한 방향에 있는 경우에 높은 효율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