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O 박막이 증착된 편광판을 기판으로 하는 액정 셀의 제작
Fabrication of a Liquid Crystal Cell Using ITO-deposited Polarizers as Substrates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2 no.2, 2011년, pp.90 - 95  

진혜정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김기한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박경호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손필국 (경희대학교 정보전자신소재공학과) ,  김재창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  윤태훈 (부산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현에 있어서 필수적인 필름인 편광판에 ITO를 증착하여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리기판을 제거함으로써 경략 박형 액정 셀을 구현하였다. 저온($40^{\circ}C$)에서 편광판에 sputtering으로 buffer layer와 ITO를 증착하여 높은 투과율과 낮은 비저항 및 편평도를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저온공정이 가능한 ion-beam 배향법을 이용하여 액정을 배향하고 액정 셀을 제작하고 전기광학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opose a super-thin and light-weight liquid crystal cell, in which glass substrates are eliminated and polarizers are used as substrates. We fabricate a polarizer substrate by depositing a-SiOX as a buffer layer, indium-tin-oxide as a transparent conducting layer, and a-SiOX as an alignment la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F magnetron sputtering 을 이용하여 무기막을 증착하는 조건에는 아르곤, 산소 가스 농도 및 비율, RF power 세기, chamber 온도, stage의 회전속 도, 초기진공 압력, 작업진공 압력 등이 있는데, 액정 디스플레이의 기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편광판에 증착된 ITO층이 높은 투과율과 낮은 비저항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산소와 아르곤의 농도 비를 변화시켜 가며 ITO를 증착한 편광판의 투과율과 비저항을 비교하여 보았다. 증착 조건은 저온(40℃)에서 초기진공 10 -6 torr, 작업진공 10 -2 torr, RF magnetron sputter의 power를 80 W로 설정한 후 산소와 아르곤의 농도는 50 sccm으로 유지하고 저온 상태에서 산소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와 산소를 첨가한 상태를 비교하였을 때 20%이상 투과율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그림 2(a)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리 기판 대신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외부에 항상 위치하는 얇고 가벼운 편광판에 ITO를 직접 증착하여 유리 기판을 제거하여 편광판을 기판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를 제작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 기판에 요구되는 편평도를 확보하기 위해 편광판에 sputtering으로 무기막을 증착하여 기판의 편평도를 높여줄 buffer 층[10] 을 형성하고 고온 안전성이 없는 편광판에 ITO를 증착시키기 위하여 저온에서 ITO를 증착하여 높은 투과율과 낮은 비저항을 가지는 ITO증착조건을 확보하였다.
  • 그 중 ITO가 증착된 유리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무게와 두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우리는 편광판에 ITO를 증착하여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두껍고 무거운 유리를 제거하여 경량 박형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9. Configuration of a transflective LCD without pixel division using glass substrates only are compared with (a) polarizer substrates only and (b) polarizer substrate and glass substrate mix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정 디스플레이의 장점은? 액정 디스플레이는 저소비전력, 경량, 박형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소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 모바일 디스플레이가 널리 쓰임에 따라 보다 더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에 서는 액정 층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ITO(indium tin oxide) 라는 투명전극을 입힌 유리를 기판으로 널리 사용한다.
ITO 유리가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기존 액정 디스플레이에 서는 액정 층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ITO(indium tin oxide) 라는 투명전극을 입힌 유리를 기판으로 널리 사용한다. 그러 나, ITO 유리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와 무게에서 가장 큰부분을 차지하여, 최근 요구되는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편광제어 패널이 필요하여 두 층의 액정패널을 요구하는 3D 디스플레이 기술에 적용할 경우, 유리로 인한 소자의 두께와 무게 증가가 문제될수 있다 [1-3] .
RF magnetron sputtering 공정 조건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편광판을 구성하는 PVA, TAC 필름은 높은 온도에서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고온 안정성이 약한 편광 판에 ITO를 증착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RF magnetron sputtering 공정 조건을 확보하여 증착하여야 한다. RF magnetron sputtering 을 이용하여 무기막을 증착하는 조건에는 아르곤, 산소 가스 농도 및 비율, RF power 세기, chamber 온도, stage의 회전속 도, 초기진공 압력, 작업진공 압력 등이 있는데, 액정 디스플 레이의 기판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저온에서 편광판에 증착된 ITO 층이 높은 투과율과 낮은 비저항을 가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산소와 아르곤의 농도 비를 변화시켜 가며 ITO를 증착한 편광판의 투과율과 비저항을 비교하여 보았 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 Tsuda, Japan Patent 2004069835 (2004). 

  2. K.-H. Kim, H.-J. Jin, B.-H. Cheong, H.-Y. Choi, S.-T. Shin, J. C. Kim, and T.-H. Yoon, “Optical configurations for nematic liquid crystal device switchable between reflective and transmissive modes,” Appl. Opt. 49, 4774-4779 (2010). 

  3. H. K. Shin, J. H. Lee, H.-J. Jin, T.-H. Yoon, and J. C. Kim,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based on polarization-switching device with low cross talk and high contrast ratio,” Opt. Lett. 35, 2227-2229 (2010). 

  4. S. T. Wu and D.-K. Yang,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s (Wiley, New York, USA, 2001). 

  5. T. Maeda, T. Matsushima, E. Okamoto, H. Wada, O. Okumura, and S. Iino, “Reflective and transflective color LCDs with double polarizers,” J. Soc. Inf. Display 7, 9-15 (1999). 

  6. K.-H. Kim, H.-J. Jin, K.-H. Park, J.-H. Lee, J. C. Kim, and T.-H. Yoon, “Long-pitch cholesteric liquid crystal cell for switchable achromatic reflection,” Opt. Express 18, 16745-16750 (2010). 

  7. K.-H. Kim, H.-J. Jin, B.-H. Cheong, H.-Y. Choi, S. T. Shin, J. C. Kim, and T.-H. Yoon, “Optical configurations for nematic liquid crystal device switchable between reflective and transmissive modes,” Appl. Opt. 49, 4774-4779 (2010). 

  8. H. Totsuka, I. Sato, and M. Anma, “Suppression of haze formation on LCD glass and durability of the substrate etched by BHF,” SID Int. Symp. Digest Tech. Pap. 164-167 (2000). 

  9. A. Grosse, M. Grewe, and H. Fouckhardt, “Deep wet etching of fused silica glass for hollow capillary optical leaky waveguides in micro fluidic devices,” J. Micromech. Microeng. 11, 257-262 (2001). 

  10. X. W. Sun, L. D. Wang, and H. S. Kwok, “Improved ITO thin films with a thin ZnO buffer layer by sputtering,” Thin Solid Films 360, 75-81 (2000). 

  11. D. Kim, Y. Han, J.-S. Cho, and S.-K. Koh, “Low temperature deposition of ITO thin films by ion beam sputtering,” Thin Solid Films 377-378, 81-86 (2000). 

  12. T. C. Gorjanc, D. Leong, C. Py, and D. Roth, “Room temperature deposition of ITO using r.f. magnetron sputtering,” Thin Solid Films 413, 181-185 (2002). 

  13. J. L. West, L. Su, K. Artyushkova, J. Farrar, and J. E. Fulghum, “Study of ion beam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on polymer substrates,” SID Int. Symp. Digest Tech. Pap. 1102 (2002). 

  14. P. Doyle, P. Chaudhari, J. L. Lacey, E. A. Galligan, S. C. Lien, A. C. Callegari, N. D. Lang, M. Lu, Y. Nakagawa, H. Nakano, N. Okazaki, S. Odahara, Y. Katoh, Y. Saitoh, K. Sakai, H. Satoh, and Y. Shiota, “Ion beam alignment for liquid crystal display fabrication,” Phys. Res. B 206, 467-471 (2003). 

  15. P. K. Son, J. H. Seo, J. C. Kim, and T.-H. Yoon, “Ion beam alignment of liquid crystal on amorphous $SiO_X$ film,” Mol. Cryst. Liq. Cryst. 475, 65-72 (2007). 

  16. P. K. Son, J. H. Park, J. C. Kim, and T.-H. Yoon, “Control of liquid crystal alignment by deposition of silicon oxide thin film,” Thin Solid Film 515, 3102-3106 (2007). 

  17. Y.-H. Fan, Y.-H. Lin, H. Ren, S. Gauza, and S.-T. Wu, “Fast-response polymer network liquid crystals for optical communications,” SID Int. Symp. Digest Tech. Pap. 35, 1526-1529 (2004). 

  18. S. R. Lee, J.-H. Shin, J.-I. Baek, M.-C. Oh, T.-H. Yoon, and J. C. Kim, “Initially ${\pi}-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cell stabilized by a fluorinated polymer wall,” Appl. Phys. Lett. 90, 163513-1-163513-3 (2007). 

  19. C. Y. Huang, R. X. Fung, Y. G. Lin, and C. T. Hsieh, “Fast switching of polymer-stabilized liquid crystal pi cells,” Appl. Phys. Lett. 90, 171918 (2007). 

  20. J.-I. Baek, K.-H. Kim, J. C. Kim, T.-H. Yoon, H. S. Woo, S. T. Shin, and J. H. Souk, “Fast switching of vertical alignment liquid crystal cells with liquid crystalline polymer networks,” Jpn. J. Appl. Phys. 48, 056507-1-056507-5 (2009). 

  21. H.-J. Jin, K.-H. Kim, J.-I. Baek, J. C. Kim, and T.-H. Yoon, “Fast switching of a polymer-networked twisted nematic liquid crystal cell,” Korean J. Opt. Photon. (Hankook Kwanghak Hoeji) 21, 69-73 (2010). 

  22. D. H. Song, S. R. Lee, T.-H. Yoon, and J. C. Kim, “Multi-dimensional liquid crystal alignment effect of polymer wall on vert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cell,” Jpn. J. Appl. Phys. 49, 011702-1-011702-4 (2010). 

  23. H. Imayama, J. Tanno, K. Igeta, M. Morimoto, S. Komura, and T. Nagata, “Novel pixel design for a transflective IPS LCD with an in-cell retarder,” SID Int. Symp. Digest Tech. Pap. 38, 1651-1654 (2007). 

  24. W. Lee, W. Choi, Y.-W. Lim, Y.-J. Na, and S.-D. Lee, “A highly effici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an imprinted in-cell polarizer for backlight applications,” J. Inf. Display 9, 11-1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