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Effects from the Interaction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1, 2011년, pp.1 - 19  

송영경 (충북 아동가족 상담연구소) ,  김영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황성실 (주성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s in the school adjustment in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9 children drawn from the fourth and sixth grades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Cheongju city. The pilot study was done to ex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과 연령에 따라 학교적응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간의 상호작용효과를 탐색하여 가정과 학교 내에서 아동의 학교 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해보고, 부모교육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또한 본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또래지지, 자아탄력성과 가족지지가 상호작용하여 4학년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탄력성과 가족지지의 상호작용은 6학년 학생의 수업시간 태도에 영향을 미쳐 연령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상의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성과 연령에 따라 학교적응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효과가 상의한 것을 통해 성과 연령을 나누어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타당하였음을 본 연구는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성과 연령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학교적응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아 가정과 학교 내에서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해보고, 실제 부모교육이나 상담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할 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 연령에 따라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학교적응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아 가정과 학교 내에서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확인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한 내용은 무엇인가? 첫째, 성에 따라 학교적응에 대해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여학생의 경우, 또래지지와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학교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는 결과이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양국선, 장성숙, 2001)에 비추어 볼 때 또래지지와 가족 지지가 높을수록 여학생은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 아지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교과 흥미도에 대해 여학생은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지 않았지만 자아탄력성이 높은 남학생은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교과 흥미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아 탄력성이 낮은 남학생은 또래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교과흥미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도 제시하였듯이 교과에 대한 낮은 흥미는 결국 학교생활에 부적응하게 된다는 결과로 보아 자아탄력성이 낮은 남학생은 또래의 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학교에 잘 적응 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남학생의 경우 또래의 지지를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오히려 비행을 일으킨다고 보고한 이은주(2003)의 연구결과를 부분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아동에게 있어 또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또래집단과의 문제는 학교환경을 적대적으로 만드는 원인이 되며, 아동은 또래 집단에 소속되기를 원하고 또래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또래문화가 학습적인 경우 또래의 사회적 지지는 학교적응에 긍정적일 수 있으나 만약 또래문화가 비행적인 경우에는 학교적응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김지혜, 1998).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은 낙천적이며 자율적이고 능동적이다(Klohen, 1996).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집단은 상황의 요구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융통성 있게 동원하는 능력이 떨어지며 환경에 대처하는데 어려움을 느껴 사회적 지지가 많이 주어졌어도 잘 활용하지 못한다(고은정, 1996). 따라서 자아탄력성이 낮은 남학생은 또래문화가 비행적인 경우에 또래의 영향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 학교적응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결국 학교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정신과적 장애의 진단을 받은 아동을 보면 어떤 문제가 보인다고 하였는가? 또한 아동은 성인과 달리 개인적 또는 기질적 요인과 주변 환경간의 상호작용 결과로써 적응행동을 보인다. 정신과적 장애의 진단을 받은 아동을 보면, 각 개인에게 주어진 신체적, 생물학적 요소와 그가 처해 있는 환경으로 부터의 경험, 이 두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심리·행동상의 적응문제를 보인다고 하였다(정성인, 1998).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고은정(1996)의 연구는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상호작용하여 우울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으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은 청소년은 무엇이 우수한가? 가족으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은 청소년은 자아개념과 학업성취가 높았고, 학교 친구의 지지를 받은 청소년들은 또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높았다. 반면에 또래로부터 낮 은 지지를 받은 청소년은 학업성적이 낮고 학교결석이 잦았다고 보고하고 있다(Feln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1)

  1. 강민주, 전경숙. (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능력 지각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6(1), 197-210. 

  2. 강성희, 이재연. (1991). 아동의 적응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문제해결 기술의 스트레스 완충 효과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13(2), 175-188. 

  3. 고은정. (1996).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고혜진. (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능력과의 관계.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권지은. (2003).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명숙. (1994).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승미. (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 지지가 일상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애경. (2003). 부모의 갈등 및 사회적 지지와 내제통제성이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3), 351-372. 

  10. 김옥선, 오윤자, 최명구. (2005).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 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9(3), 761-777. 

  11. 김윤희, 황순택. (2003). 부모갈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3-362. 

  12. 김지혜. (1998). 청소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태희. (1996).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관계 만족도-청소년 발달, 중년기 변화, 대학입시와 관련하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홍재. (1995). 아동기의 A/B유형 행동양식에 따른 학교 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 차이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희수. (2004). 저소득 가정 아동의 비행행동에 대한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남상인. (198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인지양식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노숙영. (1998). 중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정서 및 문제 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수정. (1998).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 아동의 지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원희, 오윤자. (2008).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양식. 아동교육, 17(4), 167-176. 

  20. 박현선. (1999). 고위험 빈곤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사회복지학, 37(4), 195-216. 

  21. 배숙진. (1988). 청소년에게 지각된 부모의 양육 태도,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송창용. (2003). 초등학교 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신나나, 도현심. (2000).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99-113. 

  24. 신윤자. (200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신철재. (1995). 학교생활적응,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간의 상관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심희옥. (2000). 또래지지와 대인관계 갈등 대처방법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1(1), 19-33. 

  27. 양국선, 장성숙. (2001). 한국적응유연성과 관련된 보호 요인 특성연구 : 야간실업고등학교 근로청소년 대상. 한국심리학회지, 12(3), 127-148. 

  28. 유상철. (1984).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태도연구: 고교생들의 느낌의 차원에서. 교육논총, 3, 374-437. 

  29.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30.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31. 유윤희. (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 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윤종옥. (1997). 가정의 과정환경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이은미, 박인전. (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7(1) 3-24. 

  34. 이은주. (200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은해. (1991). 아동의 인지 능률성, 동기 지향성, 사회적 지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11, 71-89. 

  36. 이재구. (2000). 부모의 학업기대 유형과 청소년의 적응.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정구. (1999). 학교생활적응과 가족환경이 중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이정윤, 이경아. (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심리학회지, 16(2), 261-276. 

  39. 이훈진. (1999).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임정순. (1993). 아동의 의존성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장호성. (1988). 자아개념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정성인. (1998).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일상적 스트레스 및 적응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정은진. (2001).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자아개념, 학교적응간의 관계.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조종현. (1984). 고교생의 학교생활 적응문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주현정. (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차유림. (2000).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청소년 생활통계연보 (2002). 청소년 종합실태조사 결과-학교생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48. 최상미. (2003).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교사문화와 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최장숙. (1993). 초등학교 아동의 충동성 성격 특성이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최진아, 이숙. (1996). 아동의 사회적 지지지각 및 만족도와 적응능력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12. 

  51. 최희옥, 문재우, 박재산. (2005). 가족내 갈등과 학교 부적응간의 관련성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17, 79-106. 

  52. 한미라. (1997).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학교생활 부적응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3. 현은민, 박혜영. (2005). 시설보호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9-29. 

  54. Bagwell, G.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55. Barrera, M. (1986). Distinctions between social support concepts, Measures, and mode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4), 413-445. 

  56. Berndt, T. J., & Keefe, K. A. (1995). Friends's influence on adolescents' adjustment to school. Child Development, 66(5), 1312-1329. 

  57.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58.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59.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Hillsdale, NJ:Erlbaum. 

  60.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stan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 American Psychologist, 59, 20-28. 

  61. Brown, L. P., & Cowen, E. L. (1989). Stressful life events, suppor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3), 214-220. 

  62. Cicchetti, D., & Toth, S. L. (2000). Editorial : Social policy implications of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4). 

  63. D'Abreu, R. C., Mullis, A. K., & Cook, L. R. (1999). The resiliency of street children in Brazil. Adolescence, 64, 745-751. 

  64. Dubois, D. L., Flner, R. D., Brand, S., Adan, A. M., & Evans, E. G. (1992). A prospective sturdy of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i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3), 542-557. 

  65. Dubow, E. F., & Tisak, J. (1989).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Child Development, 60, 502-517. 

  66. Felner, R. D. (1984). Vulnerability in childhood: A preven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ildren's efforts to cope with life stress and transitions. In M. S. Roberts & L. Peterson (Eds.), Prevention of problems in childhood: Psychological research and applications(pp. 133-169). New York: Wiley. 

  67. Felner, R. D., Ginter, M., & Primavera, J. (1982). Primary prevention during school transition :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 277-290. 

  68. Forehand, R., Long, N., Brody, G. H., & Fauber, R. (1986). Home Predictors of Young Adolescents' School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57(6), 1528-1533. 

  69.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2), 103-115. 

  70. Garmezy, N. (1983). Stressors of childhood. In N. Garmezy & M. Rutter (eds.),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pp.43-84). New York: McGraw-Hill. 

  71. Gifford-Smith, M. E., & Brownell, C. A. (2003). Childhood peer relationships: Social acceptance, friendships, and peer network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1(4), 235-284. 

  72. Kloh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0(5), 1067-1079. 

  73. Kurdek, L. A., & Sinclair, R. J. (1988) Relation of 8 graders' family structure, gender, and family environment with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1), 90-94. 

  74.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75.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 227-238. 

  76. Rak C. F., & Patterson, L. E. (1996). Promoting resilience in at-risk childre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4, 368-373. 

  77. Simons-Morton, B. G., & Crump, A. D. (2003). Association of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competence with school adjustment and engagement among sixth graders. Journal of School Health, 73(3), 121-126. 

  78. Van Aken, M.A.G., Asendorpf, J.B. (1997). Support by parents, classmates, friends and siblings in preadolescence: Covariation and compensation across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4(1), 79-94. 

  79. Wertlieb, D., Weigel, C., & Feldstein, M. (1987). Stress, social support, and behavior symptoms in middle childhood.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6, 204-211. 

  80. Wethington, E., & Kessler, R. C. (1986). Perceived support, received support and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ev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7, 78-89. 

  81. Windle, M. (1992). A longitudinal study of stress buffering for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Developmental Psychology, 28(3), 522-5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