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결혼만족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 of Preschool Mother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2, 2011년, pp.299 - 310  

김혜순 (동국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expressiveness, marital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yles of preschool mother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58 mothers whose children, 4-6 years of age, are enrolled in 5 kindergartens in Gyounsang-do. Mothers co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흔히 매개변수로서 관심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머니 자신의 정서표현성과 결혼만족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혀낸 점은 이들 변수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성을 갖고 양방향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혀 기존의 이들 변수간의 관계 연구를 좀 더 발전시킨 연구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정서표현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함이다.
  •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정서표현성이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에 제시하였다.
  • 그러나 이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규명한 실증적 연구결과는 매우 희소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들을 연구대상으로, 어머니들의 심리적 특성변인으로서 결혼만족도와 정서표현성이 자신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변인들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특히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머니들이 보다 긍정적인 대처방식을 선택하고, 보다 건강하고 성숙한 가족과 사회관계를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2.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결혼만족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셋째, 어머니들의 일반적 배경에 의해서 그리고 배우지의 지지나 주변 영향력 있는 가족, 친지에 의한 지원에 의해서도 본 연구에서의 변수들은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어머니들의 이러한 특성들에 의한 차이도 좀 더 정확하게 규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의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우리가 생활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의미에 의해 결정되며, 우리가 생활하는 주변환경의 영향과 개인의 신체적인 상황에 따라 다르게 발생하기도 하는데, 개인의 자기에 대한 지각과 대인관계 눙력, 행동유형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현대사회는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융통성 있는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부모로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임주희, 최연실, 2006).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을 변화시켜 스트레스를 가져오는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려는 문제중심의 대처와 상황으로 인해 유발된 정서반응을 조절하려는 정서중심의 대처로 구분된다(Lazarus & Folkman, 1984). 문제중심적 대처는 개인이 문제되는 행동을 변화시키든지 환경조건을 변화시켜 스트레스 근원에 대처하려는 노력이다.
정현숙(2001)의 결혼만족도 척도의 구성은 어떤 문항으로 되어있는가? 본 척도는 4개의 하위 영역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부부간 의사소통 및 갈등 해결’은 부부간에 의사소통의 빈도가 많으며, 자유롭게 서로에게 감정과 의견을 나타내는 특성을 의미하며 4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대방 존중 및 배려’영역은 부부가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상대방의 자존심을 세워주며 일상생활에서 배우자에 대한 배려 정도를 나타내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있으며 6문항이다. ‘부부간 친밀감’은 부부간에 친밀함을 느끼고 사랑하고 사랑받는다고 느끼며, 서로 돌보아주고 돌보아진다는 감정과 성행위를 포함하며 총 4문항이다. ‘부부간 역할기대’는 남편으로서, 아내로의 역할 그리고 부모로서의 역할에 충실함을 의미하며 총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전체 결혼만족도는 총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김아신. (2009). 상위기분과 문제해결행동에 따른 결혼만족도. 인간이해, 30(1), 81-95. 

  2. 김의향 (2010).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7(1), 127-138. 

  4. 김현주, 김광웅. (2007).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0(1), 35-46. 

  5. 김혜원, 홍미애, (2007).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삶의 질 정도와 설명요인분석. 청소년학연구, 14(2), 269-297. 

  6. 박새밀. (2004).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성옥, 김정훈. (1995). 취업모의 가정생활과 일의 균형을 위한 방안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3(4). 

  8. 박주영 (1995). A.B 성격유형.자아정체감.스트레스 대처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홍미. (200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른 유아의 자아 존중 감의 차이.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백미애. (2001). 부모의 정서표현에 따른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과 감정조절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혜린, 이영. (2008).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 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2), 33-56. 

  12. 송하나, 최경숙. (2010). 기질적 정서표현성의 안정성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 한국심리학회지:발달, 23(2), 93-107. 

  13. 안명은. (2007).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양경화. (2000). 일반아동과 자폐아동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오성희. (2010).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고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오지현, 조유진.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정서표현 양가성 및 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의 관계 -정서.행동문제를 보이는 내담아동 어머니 집단을 대상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93-109. 

  17. 윤경화. (1992). 유아의 자아개념과 부모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승미, 오경자. (2006). 정서인식불능,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정서표현성이 중년기혼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113-128. 

  19.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20.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화. (1997).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 (1), 117-140. 

  21. 이지현. (2006).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 유능성.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임미옥. (2005).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자녀에 대한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임주희, 최연실. (2006).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부모갈등, 부모관련 스트레스, 부모자녀간의 의소통의 영향 아동학회지, 27(4), 233-246. 

  24. 정윤선. (1993).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행복.불행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정현숙. (2001).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26. 정현숙, 유계숙. (2001). 가족관계. 서울: 학지사. 

  27. 조민영. (2004). 중.고등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차윤희. (2004). 어머니의 정서표현에 관련된 변인과 유아의 정서능력,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황종귀. (2009).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생활과학회지, 18(4), 825-840. 

  30. Amato, P. R. (1991).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recall of childhood family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 21-34. 

  31. Belsky, J., & Pensky, E. (1990). Developmental history, personality, and family relationships: toward an emergent family system. In Hinde, R. A. & Stenven-Hinde, J. (Eds.). Relationships within families, Oxford(pp. 93-217). England: Oxford. 

  32. Blackburn, R., Renwick, J. D., Donnelly, J. P., & Logan, C. (2004). Big five or big two? Superpredicate factors in the NEO five factor inventory and the antisocial personality questionnai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957-970. 

  33. Buck, R. (1989). Emotional communic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s; A developmental-interactional view. In Hendrick, C. (Ed.). Review of Personal and Social Psychology, 10, (pp. 144-163). Newbury Park, CA: Sage. 

  34. Cole, P. M., Teti, L. O., & Zahn-Waxler, C. (2003). Mutual emotion regulation and the stability of conduct problems between pre school and early school ag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5, 1-18. 

  35. Couillard, G. C. (1990).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with similar and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health in their family of origi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2(2), 187-213. 

  36. Dunn, L., Beach, S. A., & Kntos, S. (1994). Quality of literacy environment in day care and children's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9(1), 24-34. 

  37. Dunsmore, J. C., & Karn, M. A. (2001). Mothers' beliefs about feelings and children's emotional understanding.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2(1), 117-138. 

  38. Fowler, B. & Applegate, B. (1995). Do marital Conventionalization Scale Measure a social desirability response bia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237-241. 

  39. Halberstadt, A. G., Cassidy, J., Stifter, C. A., Parke, R. D., & Fox, N. A. (1995). Self-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contes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7, 93-103. 

  40. Johnson, M. D., Cohan, C. L., Dvila, J., Lawrence, E., Rogge, R. D., Karney, B. R., Sullivan, K. T., & Bradbury, T. N. (2005). Problem-Solving Skills and affective Expressions as Predictors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3(1), 15-27. 

  4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process and depressiv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5, 102-113. 

  42. Lonigan C. J., Carey, M. P., & Finch, A. J. (1994).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gative affectivity and the utility of self-report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1000-1008. 

  43. Pitcher, S., & Meikle, S. (1980). The topography of assertive behavior in positive and negative situations. Behavior therapy, 11, 532-547. 

  44. Rini, C. M. (2001). Social support effectiveness, measurement, prediction, and relation to psychological health during pregnanc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45. Saarni, C.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rategic control of emotional expression in social transaction. In Saarni, C. & Harris, P. (E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pp. 181-20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Sabatelli, R. (1984). The marital comparison level index: A measure for assessing outcomes relative to expec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 537-546. 

  47. Salovey, P., Brackett, M. A., & Mayer, J. D. (2004). Emotional Intelligence: Key Readings on the Mayer and Salovey Model. New York: National Professional Resources. 

  48. Stanton, A. L., Danoff-Burg, S., Cameron, C. L., & Ellis, A. P. (1994). Coping through emotional approach: Problems of conceptualization and confound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350-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