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한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River Flow Forecasting Model with Data Assimilation Technique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4 no.3, 2011년, pp.199 - 208  

이병주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수문자원연구팀) ,  배덕효 (세종대학교 물자원연구소.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앙상블 칼만 필터 기법을 연계하여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자료동화로 인한 정확도 개선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안동댐 상류유역을 선정하고 2006.7.1~8.18과 2007.8.1~9.30의 홍수기간에 대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자료동화를 위한 모형 상태변수는 유역의 토양수분과 저류량 및 하도 저류량을 선정하였으며 하류 댐 지점의 관측유량을 이용하여 상태변수를 갱신하도록 모형을 설계하였다. 상태변수의 칼만게인 거동을 분석한 결과 모의유량은 관측유량으로 74%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강우를 관측강우와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예측선행시간 1시간에 대해 자료동화 전 후의 모의유량을 분석한 결과 2006년과 2007년에 각각 49.6%와 33.1%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시스템에 자료동화기법을 연계할 경우 강우-유출모형만을 이용한 결과보다 정확한 홍수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al-time river flow forecast model by linking 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 with ensemble Kalman filter technique. Andong dam basin is selected as study area and the model performance is evaluated for two periods, 2006. 7.1~8.18 and 2007. 8.1~9.30. Th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유출모형과 앙상블 칼만 필터링 기법을 연계한 유량예측모형은 관측 및 예측 강우량, 추정된 유출모형매개변수, 관측유량의 불확실성 크기에 따라 상태변수의 갱신 정도가 달라지며 이로 인해 홍수량 예측 결과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예측능력을 평가하기에 앞서 강우량, 유출모형 매개변수, 관측유량의 불확실성에 따른 홍수량 예측결과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때, 각 인자의 불확실성은 각각의 앙상블 멤버의 변동폭과 관계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변동폭을 앙상블 멤버의 표준편차 크기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덕효와 이병주 (2011)가 개발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앙상블 칼만필터 기법을 연계하여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며 국내 유역의 적용을 통해 자료동화 과정에서 고려되는 모의치와 관측치의 불확실성 크기와 이에 따른 상태변수의 갱신 정도에 대해 분석하고 자료동화로 인한 하천유량 예측결과의 정확도 향상 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유량예측결과의 정확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시단위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앙상블 칼만필터링 기법을 연계한 하천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안동댐 상류유역에 적용하여 유량예측능력을 평가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하천유량 예측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간 관측유량자료를 실시간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앞서 소개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과 자료동화 기법을 연계하고자 하며 자료동화기법의 이론 및 연계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량 예측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에 앞서 관측유량의 자료동화로 인한 상태변수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구분한 대상유역 3개 소유역별 상태변수 현황을 살펴보면, 최상류유역인 1번 소유역은 토양수분량과 유역저류량의 2개 상태변수를 가지고 2번과 3번 소유역은 토양수분량, 유역저류량, 하도 저류량의 3개 상태변수를 가진다.

가설 설정

  • 2. 자료동화 적용 시 강우와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표준편차의 30%로 가정하고 안동댐 관측유량의 불확실성은 표준편차의 10%로 가정하였다. 안동댐 상류 유역에 대해서 각 소유역별 상태변수에 대한 칼만게인의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관측유량에 대한 갱신 정도를 분석한 결과 모의유량은 관측유량과의 오차범위 내에서 평균 74% 관측유량으로 동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다만, 자료동화를 통한 예측결과가 항상 관측치와 근접한 결과를 갖게 하기 위해 모의치의 불확실성을 인위적으로 많이 부여하고 반대로 관측치는 적게 부여하는 오류를 범하여서는 안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점강우로부터 산정된 유역평균강우, 관측 및 예측강우, 추정된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할 때 모의유량의 불확실성이 평균 20% 이내의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강우와 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표준편차 30%로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관측유량은 관측기기의 오차와 Q-h 곡선의 오차를 고려할 때 자료의 품질이 우수한 경우 10%의 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Georgakakos, 2008) 안동댐 지점의 관측유량자료 품질이 우수하다는 판단 하에 표준편차 10%를 가정하여 관측유량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자 한다.
  • 상태변수의 참값을 알고 있을 경우 모형의 오차는 상태 변수의 분산으로 표현할 수 있으나 실제 상태변수의 참값을 얻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EnKF 기법에서는 참값을 앙상블 상태변수의 평균값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모형의 오차는 Eq.
  • 30의 홍수기간 동안 두 방법에 대한 예측선행시간 1시간에 대한 유출수문곡선과 관측유량과의 누적절대오차 (Cumulative Absolute Error; CAE)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미래에 대한 예측강우는 관측강우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래프에서 'noup'와 'up'는 각각 자료동화 고려 전·후의 결과를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류함수 모형의 장점은? 우리나라는 1974년 한강을 시작으로 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4대강 홍수통제소에서 하천의 홍수예보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홍수량 예측을 위한 강우-유출모형으로는 유역과 하도의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 모형은 모형의 매개변수를 과거의 유량자료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고 유역의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실시간 홍수예측모형으로 활용하기에는 홍수 전 유역의 수문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유역의 수문반응이 복잡하고 분석기간이 긴 경우에 모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홍수통제소에서 운영 중인 통합홍수예측시스템은 자료동화기법을 도입하지 않고 있어 관측 및 예측강우와 유출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가 홍수량 예측결과에 지속적으로 반영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홍수통제소에서 운영 중인 통합홍수예측시스템의 한계는? 저류함수 모형은 모형의 매개변수를 과거의 유량자료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고 유역의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실시간 홍수예측모형으로 활용하기에는 홍수 전 유역의 수문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유역의 수문반응이 복잡하고 분석기간이 긴 경우에 모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홍수통제소에서 운영 중인 통합홍수예측시스템은 자료동화기법을 도입하지 않고 있어 관측 및 예측강우와 유출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가 홍수량 예측결과에 지속적으로 반영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홍수량 예측을 위한 강우-유출모형으로는 유역과 하도의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하는데 이 모형의 단점은? 우리나라는 1974년 한강을 시작으로 낙동강, 금강, 영산강의 4대강 홍수통제소에서 하천의 홍수예보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홍수량 예측을 위한 강우-유출모형으로는 유역과 하도의 저류함수모형을 이용하고 있다. 저류함수 모형은 모형의 매개변수를 과거의 유량자료로부터 쉽게 도출할 수 있고 유역의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실시간 홍수예측모형으로 활용하기에는 홍수 전 유역의 수문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유역의 수문반응이 복잡하고 분석기간이 긴 경우에 모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홍수통제소에서 운영 중인 통합홍수예측시스템은 자료동화기법을 도입하지 않고 있어 관측 및 예측강우와 유출모형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가 홍수량 예측결과에 지속적으로 반영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김상호 (2003). “Kalman Filtering 기법을 이용한 수리학적 홍수예측.”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6B호, pp. 541-549. 

  2. 배덕효 (1997). “저류함수법을 이용한 추계학적 실시간 홍수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449-457. 

  3. 배덕효, 이병주 (2011). “대유역 홍수예측을 위한 연속형 강우-유출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1호, pp. 51-64. 

  4. 배덕효, 이병주, Shamir E. (2009). “앙상블 칼만필터를 연계한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 개발 ( I ): -모형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1호, pp. 953-961. 

  5. 배덕효, 정일문 (2000). “저류함수법에 의한 추계동역학적 하도홍수추적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41-350. 

  6. 안상진, 이재경, 한양수, 전계원 (2002). “유출예측모형을 이용한 홍수유출해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3-B호, pp. 311-319. 

  7. 이병주, 배덕효, Shamir E. (2009). “앙상블 칼만필터를 연계한 추계학적 연속형 저류함수모형 개발 (II): -적용 및 검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11호, pp. 963-972. 

  8. 한건연, 손인호, 이재영 (2000). “실시간 범람위험도 예측을 위한 수리학적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31-340. 

  9.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10. Arnold, J.G., Srinivasan, R., Muttiah, R.S., and Willams, J.R. (1998). “Large area hydrologic modeling and assessment part I: model develop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4, No. 1, pp. 73-89. 

  11. Bloschl, G., Reszler, C., and Komma, J. (2008). “A spatially distributed flash flood forecasting model.”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3, pp. 464-478. 

  12. Clark, M.P., Rupp, D.E., Woods, R.A., Zheng, X., Ibbitt, R.P., Slater, A.G., Schmidt, J., and Uddstrom, M.J. (2008). “Hydrological data assimilation with theensemble Kalman filter: use of streamflow observation to update states in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31, pp. 1309-1324. 

  13. Evensen, G. (1992). “Using the extended Kalman filter with a multilayer quasi-geostrophic ocean model.”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Oceans, Vol. 97, No. C11, pp. 17905-17924. 

  14. Evensen, G. (1994). “Sequential data assimilation with a nonlinear quasi-geostrophic model using Monte Carlo methods to forecast error statistic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99, No. C5, pp. 10143-10162. 

  15. Georgakakos, K.P. (2008). Formulation of a system for flood forecasting in Korea based on the storage function method and distributed filtering technique. HRC Technical Note, No. 32. 

  16. Kalman, R. (1960).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Trans AMSE, Journal of Basic Engineering, Vol. 82D, pp. 35-45. 

  17. Komma, J., Bloschl, G., and Reszler, C. (2008). “Soil moisture updating by Ensemble Kalman Filtering in real-time flood forecasting.” Journal of Hydrology, Vol. 357, pp. 228-242. 

  18. Liu, N., and Oliver, D.S. (2005). “Ensemble Kalman filter for automatic history matching of geologic facies.”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and Engineering, Vol. 47, pp. 147-161. 

  19. Maybeck, P.S. (1979). Stochastic models, estimation and control, Volume 1. Academic Press, New York. 

  20. Moradkhani, H., Sorooshian, S., Gupta H.V., and Houser, P.R. (2005). “Duel state parameter estimation of hydrological models using ensemble Kalman filter.”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28, pp. 135-147. 

  21. Neal, J.C., Atkinson, P.M., and Hutton, C.W. (2007). “Flood inundation model updating using an ensemble Kalman filter and spatially distributed measurements.” Journal of Hydrology, Vol. 336, pp. 401-415. 

  22. Reszler, C., Komma, J., Bloschl, G., and Gutknecht, D. (2006). “An approach to identifying spatially distributed runoff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Hydrology and Wasserbewirtschaftung, Vol. 50, No. 5, pp. 220-232. 

  23. Sloan, P.G., and Moore, I.D. (1984). “Modeling subsurface stormflow on steeply sloping forested watershed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No. 12, pp. 1815-1822. 

  24. Sloan, P.G., Morre, I.D., Coltharp, G.B., and Eigel, J.D. (1983). Modeling surface and subsurface stormflow on steeply-sloping forested watersheds. Water Resources Institute Report 142.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25.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ection 4 - Hydrology. SCS. 

  26. Wagerner T., Boyle, D.P., Lees, M.J., Wheater, H.S., Gupta, H.V., and Sorooshian, S. (2001). “A framework for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ydrological model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5, No. 1, pp. 13-26. 

  27. Young, P.C. (2002). “Advances in real-time flood forecast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Vol. 360, pp. 1433-14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