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그네트론 스파터시 금속 극박막의 실시간 전기저항과 미세구조 변화
In-Situ Electrical Resistance and Microstructure for Ultra-Thin Metal Film Coated by Magnetron Sputtering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1 no.3, 2011년, pp.174 - 179  

권나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회봉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황빈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배동수 (동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조영래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ltra-thin aluminum (Al) and tin (Sn) films were grown by dc magnetron sputtering on a glass substrate. The electrical resistance R of films was measured in-situ method during the film growth. Also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microstructure of the fil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미세소자 배선용 금속박막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금속박막의 두께가 수십 nm 이상으로 두껍거나 원자층 몇 층의 두께로 아주 얇은 극초박막에 대해 수행되었기 때문에 유착두께와 최소 연속박막두께의 측정방법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파터법으로 Al과 주석(Sn) 금속박막을 유리기판에 형성시키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박막의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유착두께와 최소 연속박막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금속박막의 코팅시간 변화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사용한 미세구조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서 각각의 금속박막에 대한 최소 연속박막두께를 좀 더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파터법으로 Al과 주석(Sn) 금속박막을 유리기판에 형성시키면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박막의 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유착두께와 최소 연속박막두께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금속박막의 코팅시간 변화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와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사용한 미세구조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서 각각의 금속박막에 대한 최소 연속박막두께를 좀 더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4) 반면에 Fig. 3(b)의 Sn박막은 박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저항은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박막의 두께 증가에 따른 전기저항의 변화는 금속박막의 종류에 따라 변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금속 클러스터의 경계면에 산화물의 형성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백금(Pt)이나 은(Ag) 박막의 경우는 Sn 박막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착두께란? 유착두께는 이웃하는 금속원자 클러스터들 사이에서 최초로 전기적 통로가 형성되는 지점이고, 최소 연속박막두께는 기판 등의 하부층이 배선용 금속박막에 의해서 완전히 피복되는 최저 두께로 정의되기 때문에 이들 2지점을 경계로 금속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극박막 금속박막의 설계와 제조에 있어서 유착두께와 최소 연속박막두께를 정확하게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극박막 범위에서 금속박막의 경우 박막의 두께가 수 nm 이하로 더욱 얇아지게 되면 전기전도도가 급격하게 낮아지는데, 그 이유는? 4) 극박막 범위에서 금속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벌크 재료의 특성과 비교할 때 많은 차이를 보인다. 박막의 두께가 수 nm 이하로 더욱 얇아지게 되면 금속박막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급격하게 낮아지는데, 이유는 전자의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가 박막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이동하는 전자들이 박막의 표면과 많은 충돌을 하기 때문으로 보고된 바 있다.4) 박막의 두께가 수 nm 정도로 얇은 극초박막의 경우, 금속박막이 기판의 표면을 완전히 피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금속박막은 섬(island) 형태의 불연속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박막의 두께가 수 nm 정도로 얇은 극초박막의 경우 금속박막이 섬 형태의 불연속 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박막의 두께가 수 nm 이하로 더욱 얇아지게 되면 금속박막의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는 급격하게 낮아지는데, 이유는 전자의 평균자유행로(mean free path)가 박막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이동하는 전자들이 박막의 표면과 많은 충돌을 하기 때문으로 보고된 바 있다.4) 박막의 두께가 수 nm 정도로 얇은 극초박막의 경우, 금속박막이 기판의 표면을 완전히 피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금속박막은 섬(island) 형태의 불연속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두께가 수십 nm이하로 얇은 극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박막의 형성시 사용한 타겟 재료, 코팅 방법, 공정변수 및 기판의 종류와 상태 등에 따라 크게 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X. Wang, A. F. Pun, Y. Xin and J. P. Zheng, Thin Solid Films, 510, 82 (2006). 

  2. J. J. Valenzuela-Jauregui, R. Quintero-Gonzalez, J. Hernandez-Torres, A. Mendoza-Galvan, R. Ramirez-Bon, Vacuum, 76, 177 (2004). 

  3. K. Schroder and J. Hollander, Thin Solid Films, 458, 322 (2004). 

  4. D. K. Aswal, N. Joshi, A. K. Debnath, S. K. Gupta, D. Vuillaume and J. V. Yakhmi, Phys. Status Solidi., 203(6), 1254 (2006). 

  5. D. Makarov, R. Pallesche, M. Maret, T. C. Ulbrich, G.Schatz and M. Albrecht, Surf. Sci., 601, 2032 (2007). 

  6. V. M. Trontl, P. Pervan and M. Milun, Surf. Sci., 603, 125 (2009). 

  7. M. C. Salvadori, L. L. Melo, A. R. Vaz, R. S. Wiederkehr, F. S. Teixeira and M. Cattani, Surf. Coating. Tech., 200, 2965 (2006). 

  8. J. S. Agustsson, U. B. Arnalds, A. S. Ingason, K. B. Gylfason, K. Johnsen, S. Olafsson and J. T. Gudmundsson, Appl. Surf. Sci., 254, 7356 (2008). 

  9. I. M. Rycroft and B. L. Evans, Thin Solid Films, 290-291, 283 (1996). 

  10. J. A. Floro, S. J. Hearne, J. A. Hunter, P. Kotula, E. Chason, S. C. Seel and C. V. Thompson, J. Appl. Phys., 89(9), 4886 (2001). 

  11. B. K. Shin, T. I. Lee, K. I. Park, K. J. Ahn and J. M. Myoung, Kor. J. Mater. Res., 20(1), 47 (201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