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연처리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39 no.3, 2011년, pp.244 - 251  

최정민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ensis)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소나무가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CO/$CO_2$의 비로부터 알 수 있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은 난연처리에 의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for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Korean Pine (Pinus Koraensis). These two species are widely used as building member of Korea-style house and volume density of Japanese Red Pine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Korean Pine. The combustion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와 잣나무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난연 처리에 의하여 방염성능 및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공통적인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재용 수용성 난연제를 함침시켜 처리한 소나무와 잣나무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와 잣나무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난연 처리에 의하여 방염성능 및 난연성능이 개선되는 공통적인 결과를 얻었다. 난연 처리하지 않은 소나무와 잣나무의 방염성능은 뚜렷한 차이를 알기 어려웠으며, 열방출률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착화시간, 총 방출열량, 평균 질량손실률 및 총 산소 소요량의 지수에서 체적밀도의 차이에서 기인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CO/CO2의 비로부터 얻은 연기 유해성은 소나무와 잣나무 모두 난연처리에 의해 유해성이 증가하였다.
목재가 오랫동안 건축재료로 사용된 이유는? 목재는 그 심미적인 아름다움과 뛰어난 기계적 강도 등의 이유로 오랫동안 건축재료로 사용되어져 왔다. 최근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과 친환경성, 그리고 전원주택에 대한 수요가 복합되어 주거공간으로서의 한옥이 각광받고 있으며 각 지자체가 주관하여 한옥 마을의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목재의 난연화란? Xu 등, 2002; Ondrej Grexa 등, 2001), 불꽃에 대한 착화지연성과 착화가 되더라도 스스로 연소가 중단되는 자기연소성을 부여하는 방법이다. 목재의 난연화는 약제를 목재 내부에 더욱 깊숙이 침투시키기 위해 가압챔버를 사용하여 강한 복사열에 노출되었을 때 재료가 갖는 열방출 특성을 저감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옥 부재로 널리 쓰이고 있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그 연한 붉은 색의 아름다움으로 창호의 재료로 종종 쓰이는 잣나무(Pinus Koraiensis)에 대하여 여러 처리방법 중 목재용 수용성 난연제를 함침시켜 처리한 후, 각 시험체의 연소특성을 평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hafizadeh, F. and W. F. DeGroot. 1976.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Cellulosic Fuels In: Tillman, Thermal Uses and Properties of Carbohydrates and Lignin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 Baysal, E., M. Altinok, M. Colak, S. K. Ozaki, and H. Toker. 2007. Fire Resistance of Douglas fir (Psedotsuga menzieesi) Treated with Borates and Natural Extractives. Bioresour. Technol. 98: 1101-1105. 

  3. 하동명. 2004. 건축 내장재의 Flashover 시간 및 열방출량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18(3). 

  4. 소방기본법 제12조 시행령 제20조, 방염대상물품 및 방염성능기준. 2005. 

  5. ISO 5660-1. Reaction-to-Fire Tests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2002. 

  6. Hirschler, M. 2001. Thermal Decomposi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797: 239-300. 

  7. Tran, H. C. and R. H. White. 1992. Burning Rate of Solid Wood Measured in a Heat Release Calorimeter. Fire and materials 16: 197-206. 

  8. Quintire, J. G. 1998. Principles of Fire Behavior. Chap. 5 Cengage Learning, Delmar, U.S.A. 

  9. 정영진, 진의. 2010. 실온에서 건조된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특성.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4(3). 

  10. Hull, T. R. and K. T. Paul. 2007. Bench-scale Assessment of Combustion Toxicity-A Critical Analysis of Current Protocols. Fire Safety Journal 42: 340-365. 

  11. Pearce, F. M., Y. P. Khanna, and D. Raucher. 1981. Thermal Characterization of Polymeric Materials. Chap. 8,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2. 박형주, 강영구, 김홍. 2005. 난연처리된 목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목재공학 33(4). 

  13. 김종인, 박종영, 공영토, 이병후, 김현중, 노정관. 2002. 목재 및 목질재료용 난연성 폴리우레탄수지 도막의 난연성능. 목재공학 30(2). 

  14. 이장원, 이봉우, 권성필, 이병호, 김희수, 김현중. 2008.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한 건축 바닥재의 연소거동과 가스유해성 평가. 목재공학 36(1). 

  15. Smulski, S. 오세창 역. 2001. 구조용 공학목재 Chapter 7. 선진문화사. 

  16. Dinwoodie, J. M. 2000. Timber: Its nature and behavior. Chapter 8, 9. Spon Press. 

  17. 오규형, 김황진, 이성은. 2009. 방염 처리에 따른 화재지연 효과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2). 

  18. 박형주, 오규형, 김응식, 김홍. 2005. 난연처리된 Douglas Fir의 탄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19(2). 

  19. 신백우, 송영호, 이동호, 정국삼. 2010. 합성목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4(6). 

  20. 정영진, 진의. 2010. 실온에서 건조된 리기다 소나무와 밤나무의 연소특성. 24(3). 

  21. 김인범, 현성호. 2009. 방염도료처리 목재의 방염효과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3(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