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에서는 콩다닥냉이 추출물의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잎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WELVL 및 WELVR)이 HCT116 대장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연관된 apoptosis 유도 기전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CT116 세포에 WELVL 및 WELVR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증식 억제 및 형태 변화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WELVL에 비하여 WELVR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WELVR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는 FasL의 발현 증가를 통한 caspase-8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Bid 단백질의 단편화와 함께 Bcl-2 family의 발현 변화를 통한 mitochondria의 기능 이상과 이로 인한 caspase-9 및 -3의 활성화, 그리고 기질단백질들의 분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AP family의 발현 감소로 인한 caspase의 활성 증가도 어느 정도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WELVR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extrinsic pathway 및 intrinsic pathway를 모두 경유하는 multiple apoptotic pathway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에서 콩다닥냉이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콩다닥냉이 추출물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anti-cancer effects of Lepidium virginicum L., the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of a water extract of L. virginicum leaves (WELVL) and of L. virginicum roots (WELVR) were investigated in HCT116 human colon carcinoma cells. The treatment of HCT116 cells with WELVL and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IAP family 중 일부는 caspase와 직접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그들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apoptosis 유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WELVR 처리에 의한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IAP family가 관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Fig.
  • 이러한 IAP family 중 일부는 caspase와 직접적인 결합을 함으로써 casp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apoptosis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IAP family들의 잠재적인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34,3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WELVR이 여러 종류의 caspase 중 caspase-3, -8 및 -9의 발현 및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으며, 기질단백질들의 발현과 더불어 IAP family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먼저 caspase의 발현 및 활성 정도를 확인한 결과, 조사된 세 종류의 caspase 모두 불활성형 단백질의 발현 감소 또는 활성형 단백질의 발현 증가와 더불어 in vitro 활성 정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aspase-3의 기질단백질인 PARP, βcatenin 및 PLC-γ1의 경우에도 WELVR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단편화 유발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콩다닥냉이의 생리활성 평가 중, 항암활성에 관한 자료 조사를 위하여 콩다닥냉이 잎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HCT116 인체 대장암세포의 증식억제에 관한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들 추출물에 의한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현상이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apoptosis 조절 관련 주요 두 경로인 extrinsic 및 intrinsic pathway에 관여하는 몇 가지 중요한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에 대한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HCT116 인체 대장암세포에서 콩다닥냉이잎 및 뿌리 열수 추출물(WELVL 및 WELVR)이 유발하는 항암효과 및 항암기전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WELVL 및 WELVR이 함유된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된 암세포들을 대상으로 증식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정상배지에서 자란 암세포와 비교해서 WELVL 및 WELVR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식억제 현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 Caspase의 활성화는 대부분의 apoptosis 유발 과정에 동반되며, apoptosis 유발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음이 많은 선행연구를 통해서 검증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caspase 중, apoptosis 조절에 중심이 되는 caspase-3, -8및 -9의 발현 및 활성의 변화 정도를 Western bolt analysis 및 in vitro caspase activity assay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콩다닥냉이 추출물의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잎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WELVL 및 WELVR) 이 HCT116 대장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연관된 apoptosis 유도 기전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CT116 세포에 WELVL 및 WELVR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증식 억제 및 형태 변화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WELVL에 비하여 WELVR에서 높게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콩다닥냉이의 생리활성 평가 중, 항암활성에 관한 자료 조사를 위하여 콩다닥냉이 잎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HCT116 인체 대장암세포의 증식억제에 관한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들 추출물에 의한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현상이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apoptosis 조절 관련 주요 두 경로인 extrinsic 및 intrinsic pathway에 관여하는 몇 가지 중요한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에 대한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ecrosis이란 무엇인가? Apoptosis에 의한 세포의 죽음은 개체의 발생단계나 DNA 손상,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유전적 조절 하에서 일어나는 정교한 개체의 생존을 위한 방어기전이란 점에서 necrosis와 구별된다(4,5). Necrosis는 세포 주위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함으로써 세포가 더 이상 적응할 수 없게 되면 세포의 팽창, 이온 농도의 변화 및 물의 유입 등과 같은 조절되지 않는 상태로 유발되는 세포 죽음의 한 형태로서 에너지 비의존적이며 necrosis가 유발된 세포의 내용물이 유출 또는 방출되어 근처에 위치한 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면역반응의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6,7). 이와 반대로 programmed cell death라고 불리는 생리학적 과정인 apoptosis는 mitochondria의 기능 변화, 세포의 수축, 염색질 응축, 핵의 단편화 현상, 세포막의 수포화 현상, caspases 활성화, 세포 표면에 phosphatidylserine의 발현 및 apoptotic body의 형성 등과 같은 형태적 또는 생화학적인 변화를 동반하고 있으며, 세포의 종류와 손상된 상태에 따라 여러 유전자의 증가 또는 감소 등과 같은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우리나라에서 대장암의 발생 빈도는 얼마인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악성종양 중 하나인 대장암은 일반적으로 서양에서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980년 이후 대장암의 발생률 및 사망률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흔한 종양으로 알려진 대장암의 발생 빈도는 전체 암의 11.2%를 차지하며, 전체 암사망자에 있어서도 8.1%로 비교적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다(1).
apoptosis와 necrosis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apoptosis 유발은 형태형성, 세포의 전환 및 유해한 세포의 제거 등과 같은 많은 생물학적 현상에 필요하다. Apoptosis에 의한 세포의 죽음은 개체의 발생단계나 DNA 손상,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한 유전적 조절 하에서 일어나는 정교한 개체의 생존을 위한 방어기전이란 점에서 necrosis와 구별된다(4,5). Necrosis는 세포 주위의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함으로써 세포가 더 이상 적응할 수 없게 되면 세포의 팽창, 이온 농도의 변화 및 물의 유입 등과 같은 조절되지 않는 상태로 유발되는 세포 죽음의 한 형태로서 에너지 비의존적이며 necrosis가 유발된 세포의 내용물이 유출 또는 방출되어 근처에 위치한 세포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면역반응의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hin HR, Jung KW, Won YJ, Park JG. 2004. 2002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based on registered data from 139 hospitals. Cancer Res Treat 36: 103-114. 

  2. Potter JD, Slattery ML, Bostick RM, Gapstur SM. 1993. Colon cancer: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Epidemiol Rev 15: 499-545. 

  3. West DW, Slattery ML, Robison LM, Schuman KL, Ford MH, Mahoney AW, Lyon JL, Sorensen AW. 1989. Dietary intake and colon cancer: sex- and anatomic site-specific associations. Am J Epidemiol 130: 883-894. 

  4. Arends MJ, Morris RG, Wyllie AH. 1990. Apoptosis. The role of the endonuclease. Am J Pathol 136: 593-608. 

  5. Evans VG. 1993. Multiple pathways to apoptosis. Cell Biol Int 17: 461-476. 

  6. Leist M, Jaattela M. 2001. Four deaths and a funeral: from caspases to alternative mechanisms. Nat Rev Mol Cell Biol 2: 589-598. 

  7. Vilches Troya J. 2005. Understanding cell death: a challenge for biomedicine. An R Acad Nac Med (Madr) 122: 631-656. 

  8. Huerta S, Goulet EJ, Huerta-Yepez S, Livingston EH. 2007. Screening and detection of apoptosis. J Surg Res 139: 143-156. 

  9. Huerta S, Goulet EJ, Livingston EH. 2006. Colon cancer and apoptosis. Am J Surg 191: 517-526. 

  10. Rossetto MR, Oliveira do Nascimento JR, Purgatto E, Fabi JP, Lajolo FM, Cordenunsi BR. 2008. Benzylglucosinolate, benzylisothiocyanate, and myrosinase activity in papaya fruit during development and ripening. J Agric Food Chem 56: 9592-9599. 

  11. Vergara F, Svatos A, Schneider B, Reichelt M, Gershenzon J, Wittstock U. 2006. Glycine conjugates in a lepidopteran insect herbivore-the metabolism of benzylglucosinolate in the cabbage white butterfly, Pieris rapae. Chembiochem 7: 1982-1989. 

  12. Nakamura Y, Miyoshi N. 2006. Cell death induction by isothiocyanates and their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Biofactors 26: 123-134. 

  13. Hecht SS. 1999. Chemoprevention of cancer by isothiocyanates, modifiers of carcinogen metabolism. J Nutr 129: 768S-774S. 

  14. Wattenberg LW. 1990. Inhibition of carcinogenesis by naturally- occurring and synthetic compounds. Basic Life Sci 52: 155-166. 

  15. Fulda S, Debatin KM. 2006. Extrinsic versus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nticancer chemotherapy. Oncogene 25: 4798-4811. 

  16. Korsmeyer SJ. 1999. BCL-2 gene family and the regul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Cancer Res 59: 1693S-1700S. 

  17. Shi Y. 2005. Mechanisms of caspase activation and inhibition during apoptosis. Mol Cell 9: 459-470. 

  18. Timmer T, de Vries EG, de Jong S. 2002. Fas receptormediated apoptosis: a clinical application? J Pathol 196: 125-134. 

  19. Wang S, El-Deiry WS. 2003. TRAIL and apoptosis induction by TNF-family death receptors. Oncogene 22: 8628-8633. 

  20. Kischkel FC, Lawrence DA, Chuntharapai A, Schow P, Kim KJ, Ashkenazi A. 2000. Apo2L/TRAIL-dependent recruitment of endogenous FADD and caspase-8 to death receptors 4 and 5. Immunity 12: 611-620. 

  21. Walczak H, Krammer PH. 2000. The CD95 (APO-1/Fas) and the TRAIL (APO-2L) apoptosis systems. Exp Cell Res 256: 58-66. 

  22. Baliga B, Kumar S. 2003. Apaf-1/cytochrome c apoptosome: an essential initiator of caspase activation or just a sideshow? Cell Death Differ 10: 16-18. 

  23. Reed JC. 1998. Bcl-2 family proteins. Oncogene 17: 3225-3236. 

  24. Schultz DR, Harrington WJ Jr. 2003.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at a molecular level. Semin Arthritis Rheum 32: 345-369. 

  25. Li H, Zhu H, Xu CJ, Yuan J. 1998. Cleavage of BID by caspase 8 mediates the mitochondrial damage in the Fas pathway of apoptosis. Cell 94: 491-501. 

  26. Luo X, Budihardjo I, Zou H, Slaughter C, Wang X. 1998. Bid, a Bcl2 interacting protein, mediates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ell surface death receptors. Cell 94: 481-490. 

  27. Nagata S. 1997. Apoptosis by death factor. Cell 88: 355-365. 

  28. Stennicke, HR, Salvesen GS. 1998. Properties of the caspases. Biochim Biophys Acta 1387: 17-31. 

  29. Chai F, Truong-Tran AQ, Ho LH, Zalewski PD. 1999. Regulation of caspase activation and apoptosis by cellular zinc fluxes and zinc deprivation: a review. Immunol Cell Biol 77: 272-278. 

  30. Kim R, Emi M, Tanabe K. 2005. Caspase-dependent and -independent cell death pathways after DNA damage (review). Oncol Rep 14: 595-599. 

  31. Slee EA, Harte MT, Kluck RM, Wolf BB, Casiano CA, Newmeyer DD, Wang HG, Reed JC, Nicholson DW, Alnemri ES, Green DR, Martin SJ. 1999. Ordering the cytochrome c-initiated caspase cascade: hierarchical activation of caspases-2, -3, -6, -7, -8, and -10 in a caspase-9-dependent manner. J Cell Biol 144: 281-292. 

  32. Holcik M, Gibson H, Korneluk RG. 2001. XIAP: apoptotic brake and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Apoptosis 6: 253-261. 

  33. Salvesen GS, Duckett CS. 2002. IAP proteins: blocking the road to death's door. Nat Rev Mol Cell Biol 3: 401-410. 

  34. Deveraux QL, Reed JC. 1999. IAP family proteins-suppressors of apoptosis. Genes Dev 13: 239-252. 

  35. Roy N, Deveraux QL, Takahashi R, Salvesen GS, Reed JC. 1997. The c-IAP-1 and c-IAP-2 proteins are direct inhibitors of specific caspases. EMBO J 16: 6914-69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