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면크기 및 피복두께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Reinforced Concrete Columns According to the Cross Section Size and Depth of Concrete Cover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5 no.1, 2011년, pp.78 - 84  

조경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여인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조범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흥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민병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콘크리트 내화 연구는 대부분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확보에 많은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러나 국내의 콘크리트 수요를 살펴보면 40MPa 이하의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수요가 전체 콘크리트 수요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일반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0MPa 콘크리트 기둥을 대상으로 콘크리트 피복 두께와 단면크기를 변수로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 단면크기가 커질수록, 피복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내화성능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researches of the fire resistance in concrete focus on how to secure relevant functions in the high strength concrete. However, the demand of normal strength concrete less than 40 MPa takes most of the total concrete demand. Therefore, fire resistance study needs to cover not only high stre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내화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 연구를 통하여 건축물의 용도 및 기능에 맞는 내화구조의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단면크기와 피복두께 변화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화성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반면에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성능 관리기준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관리대상은 50MPa 이상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시공의 관점에서는 40MPa, 내화의 관점에서는 50MPa 로 규정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그 경계에 있는 40MPa 강도의 내화특성을 먼저 살펴본 후에 후속 연구를 통하여 강도별 내화특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흥열, 서치호, 신현준, "고온 영역에서 강도영역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Vol.21, No.7, pp.55-66 (2005). 

  2. 정홍근, 손호정, 이보형, 한민철, 양성환, 한천구, "고강도 콘크리트의 부재사이즈 변화에 따른 폭렬특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구조계, Vol.29, No.1호, pp.571-574(2009). 

  3. 송영찬, 김용로, 오재근, 김욱종, 이도범, "섬유 혼입량 및 피복두께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구조계, Vol.29, No.1, pp583-586(2009). 

  4. 김흥열, 고온 영역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건국대학교(2002). 

  5. 고정원, 류동우, 이문환, 이세현, "화재가열환경하에 있는 콘크리트중의 열과 수분이동에 의한 세공구조의 거동 및 폭렬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Vol.23, No.12, pp.107-116(2007). 

  6. 한국레미콘공업협회, 2005년도 레미콘 및 원자재 소비실태 분석, 레미콘, 제89호(2006). 

  7. Long T. Phan and Nicholas J. Carino, Fire performance of high strength concrete: research needs, BFRL in NIST(2004). 

  8. Omer Arioz,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s on Properties of Concrete", Fire Safety Journal, Vol.42, pp.516-522(2007). 

  9. Bing Chen, Chunling Li, and Longzhu Chen, "Experimental Study of Mechanical Properties of Normal-strength Concret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at an Early Age", Fire Safety Journal, Vol.44, pp.997-1002(2009). 

  10. Aschl, M: Mechanical properties of mass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Research Report, TU Munchen (1977)(unpublished). 

  11. American Concrete Institute, "State-of-the-Art Report on High-Strength Concret", ACI 363R-92. 

  12. G.A. Khoury, C.E. Majorana, F. Pesavento, and B.A. Schrefler, "Modelling of Headed Concrete", Mag. Concr. Res., Vol.54, No.2, pp.77-101(2002). 

  13. K.D. Hertz, "Concrete Strength for Fire Safety Design", Mag. Concr. Res., Vol.57, No.8, 445-5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