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구도심가로변의 상업건축물 외부파사드 개선을 위한 옥외광고물의 색채현황 분석 및 이미지 평가 An Analysis of Color Status and Image Evalua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 for Improving the Outdoor Facade of Commercial Building Structure in Old Downtown Area원문보기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mulate the issues through the status analysis and image evaluation for each street on the basis of colors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s for part of street side in the oldest downtown for its construction year. Analysing the business type of the street side, it displays ...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mulate the issues through the status analysis and image evaluation for each street on the basis of colors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s for part of street side in the oldest downtown for its construction year. Analysing the business type of the street side, it displays the identity of the fashion business area and the color status shown on the outdoor advertisement did not consider the harmony on the other business type and building improvements that it displays chaotic street views in overall. Status of color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street-side to be analyzed with high color contrast with the building 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s than the Street B side where there are many businesses of fashion sundries and fashion clothes to form more complicated street scenery visually for the Street A side. The color combination principle of building 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 was shown to be the factor for the contrasting unity and diversity. In order not to stimulate this visual confusion, the colors of outdoor advertisement has to be applied on the basis of the color guideline based on the color combination principle of outdoor advertisement and building structure to have the aesthetic harmony overall.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KJ method, the present image of the old downtown area was shown with the adjective vocabularies of "complicated", "out-dated", "chaotic", "disorganized", "dirty", "suffocating", and "unilateral", and its image to strive for would be in a total of 6 adjective vocabularies of "well-arranged", "young", "dynamic", "sophisticated", "personable" and "neat", and it has presented the basic foundation of color guideline of outdoor advertisement fit for its image.
This study is intended to formulate the issues through the status analysis and image evaluation for each street on the basis of colors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s for part of street side in the oldest downtown for its construction year. Analysing the business type of the street side, it displays the identity of the fashion business area and the color status shown on the outdoor advertisement did not consider the harmony on the other business type and building improvements that it displays chaotic street views in overall. Status of color for the outdoor advertisement compared and analyzed for each street-side to be analyzed with high color contrast with the building 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s than the Street B side where there are many businesses of fashion sundries and fashion clothes to form more complicated street scenery visually for the Street A side. The color combination principle of building struc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 was shown to be the factor for the contrasting unity and diversity. In order not to stimulate this visual confusion, the colors of outdoor advertisement has to be applied on the basis of the color guideline based on the color combination principle of outdoor advertisement and building structure to have the aesthetic harmony overall.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the KJ method, the present image of the old downtown area was shown with the adjective vocabularies of "complicated", "out-dated", "chaotic", "disorganized", "dirty", "suffocating", and "unilateral", and its image to strive for would be in a total of 6 adjective vocabularies of "well-arranged", "young", "dynamic", "sophisticated", "personable" and "neat", and it has presented the basic foundation of color guideline of outdoor advertisement fit for its imag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는 조성년도가 가장 오래된 구도심의 대표적 가로의 일부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주요인식 요인 중 현실적 적용개선이 가능한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중심으로 색채현황분석과 이미지평가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안을 제시하고, 향후 구도심지역의 지향 이미지에 부합되는 옥외광고물의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다음은 통계청에서 분류한 한국산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대상가로에 입점해 있는 상점들의 업종을 재분류하여 가로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가로는 판매업과 서비스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로이다.
내용이다. 단순한 색차만으로 색채조화도는 평가할 수 없지만 여기서는 대상가로별 건축물 색채차의 수치적인 비교를 통해 이미지의 통일성 및 안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건축물의 파사드의 색채 중 주조 색 23)을 분석하였으며, 균등성을 갖는 수치로 변환되는 L*a*b*표색계로 Munsell conversion 4.
본 연구에서는 조성년도가 가장 오래된 구도심의 대표적 가로의 일부분을 대상으로 주요인식 요인 중 현실적 적용개선이 가능한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가로별 현황분석과 이미지평가를 통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침을 정리할 수 있다.
제안 방법
가지 무형적 . 유형적 요소 중에서 건축물의 수직면을 바탕으로 설치되는 옥외광고물의 주요인식 요인 중 색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먼셀색채계에 근거하여 데이터화 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하였다. 2단계로는 조사 대상지역의 물리적 현황 분석 및 옥외광고물의 설치현황과 색채현황을 비교 .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의 틀은 먼셀색체계를 이용하였고 건축물.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분석하기 위하여 IRI의 색상 및 색조 분석 체계 (Hue & Tone color system)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35장의 색채팔레트3) 시트를 만들었다. 3단계로는 설문조사 개요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KJ법4)을 응용하여 데이터를 축약 .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분석하기 위하여 IRI의 색상 및 색조 분석 체계 (Hue & Tone color system)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35장의 색채팔레트3) 시트를 만들었다. 3단계로는 설문조사 개요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KJ법4)을 응용하여 데이터를 축약 . 정리하였다.
피험자는 디자이너와 시각디자인학과5) . 건축학과 학생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①현가로의 문제점 ②현가로의 개선방향 ③현재이미지 도출 ④지향 이미지도 줄로 항목을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조사내용간의 정성적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로의 가장 번화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일부분으로 각 가로변의 길이 278m로 제한하여 A 가로변 16개의 건축물과 B가로변의 19개의 건축물의 옥외 광고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은 조사대상가로변의 건축물 파사드의 외장재료별 현황을 조사하였다. A가로변은 시트패널 등의 금속과 타일 외장재료가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다른 외장 재료보다 경제적이고 편리하기 때문이라 분석되며, 패션잡화 .
관한 조사 . 분석을 건축물별로 시행하였다.
조사대상 가로변 건축물의 옥외광고물이 차지한 면적을 가로별로 분석하였으며, 조사방법은 파사드면에 부착된 모든 옥외광고물이 차지하는 면적을 건축면적과 비교하여 비율로 계산하였다.
촬영하였다. 촬영 방법은 태양의 고도, 공기 청정 도를 무시한 자연 주광을 조명조건으로 하였다. 촬영 기간은 1차는 2010년 5월 1일~5월 30일 2차는 2010년 8월 9일~8월 10일간 진행되었다.
색채팔레트2®는 건축물의 입면에서 보여 지는 마감재를 주조 . 보조색으로 나누어 구분하였고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분석하는데 있어 글자색과 바탕색으로 구분하였으며 여러 색상이 사용된 옥외광고물의 경우에 가장 큰 면적 비율을 가진 색채를 위주로 하였고 강조색으로 구분하여 추출하였다.
글자색은 8개가 도출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추출된 색은 색상환을 이용하여 색채의 분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1개의 색조영역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따라서 S24의 분석의 결과는 색상환에서는 유리면의 주조색은 7.
조사대상 가로변의 문제점을 보다 구체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KJ법을 응용한 수법으로 사진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가로별 슬라이드 사진 총 35개의 슬라이드 사진과 가로별 2개의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하여 피험자 40명에게 평가를 실시하였고 설문지에 의해 관련된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실과 의견을 가능한 기재하도록 하였다.
실험은 가로별 슬라이드 사진 총 35개의 슬라이드 사진과 가로별 2개의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하여 피험자 40명에게 평가를 실시하였고 설문지에 의해 관련된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실과 의견을 가능한 기재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 개요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은 KJ법28)을 응용하여 데이터를 축약 . 정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을 단문화하여 정리하고 의미가 유사한 것들끼리 그룹핑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유사한 것끼리 그룹핑하여 분류한 다음 그 내용에 따른 빈도를 나타내고 최종적으로는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해서는 질문간의 상관 네트워크를 작성하였으며 현재 이미지와 지향이미지를 추출하였다.
그룹핑하여 분류하였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유사한 것끼리 그룹핑하여 분류한 다음 그 내용에 따른 빈도를 나타내고 최종적으로는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해서는 질문간의 상관 네트워크를 작성하였으며 현재 이미지와 지향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일곱째, 가로별로 비교 . 분석된 옥외광고물의 색채 현황은 옥외광고물의 난립으로 건축물 입면에 다양한 색채가 밀도 있게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대전광역시의 중앙로 가로변의 일부분을 대상으로 건축물과 가로경관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무형적 . 유형적 요소 중에서 건축물의 수직면을 바탕으로 설치되는 옥외광고물의 주요인식 요인 중 색채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먼셀색채계에 근거하여 데이터화 한 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가로는 조성년대가 오래된 건축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로로서 대전역 4거리에서 도청 4거리 구간의 일부분이며 중앙로라는 이름은 대전의 중심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대상 가로변은 왕복 6차선의 간선도로를 접하고 있으며 대중교통이 편리한 지역으로 10~20대의 만남의 장소이며 신규브랜드 상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대전의 대표 패션상권이다.⑸ 대전광역시 대부분은 시가지개발 사업에 의해 개발되어졌으나 조사대상지의 경우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지역으로 정비가 필요한 실정이몌6) 최근 경부 고속철도와 대전지하철 1호선의 개통으로 원도심활성화와 주변개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조사대상가로는 판매업과 서비스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로이다. 도심 상업가로에서는 쇼핑의 기능이 우세하므로 업종에 따라 건축물의 파사드가 결정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9), 미용실 . 미용(12.7), 병원. 약국(9.
9) 순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B가로변은 패션의류 . 잡화(32.4%), 병원 . 약국(20.
사진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대상가로변을 Nikon D90 디지털카메라로 맑은 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촬영하였다. 촬영 방법은 태양의 고도, 공기 청정 도를 무시한 자연 주광을 조명조건으로 하였다.
피험자 구성은와 같이 가로경관에 관한 지각 및 판단 능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현직 디자이너 그룹과 이미지평가 실험에 익숙하게 훈련이 되어 있는 건축과 대학원생과 시각디자인 학부생을 중심으로 총 40 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은 가로별 슬라이드 사진 총 35개의 슬라이드 사진과 가로별 2개의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하여 피험자 40명에게 평가를 실시하였고 설문지에 의해 관련된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실과 의견을 가능한 기재하도록 하였다. 설문조사 개요에 따라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은 KJ법28)을 응용하여 데이터를 축약 .
데이터처리
단순한 색차만으로 색채조화도는 평가할 수 없지만 여기서는 대상가로별 건축물 색채차의 수치적인 비교를 통해 이미지의 통일성 및 안정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건축물의 파사드의 색채 중 주조 색 23)을 분석하였으며, 균등성을 갖는 수치로 변환되는 L*a*b*표색계로 Munsell conversion 4.01 를 이용하여 두 개의 색채의 차이를 감각과 균등성을 갖는 수치로 나타내고자 L*a*b*값을 구한 다음 L*a*b* 색 공간에서 두 개의지각 색을 대표하는 2점간의 직선거리를 △E(eEab*)로 나타냈다. 가로별로 보면 A가로변은 색차평균이 26.
<표 12>는 분석되어진 35장의 시트를 바탕으로 CMC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셀값, L*a*b*, XYZ, RGB, CMYK 의 값을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값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으로 정량화하여 색채의 분포도와 빈도수를 가로별로 비교 .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론/모형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의 틀은 먼셀색체계를 이용하였고 건축물. 옥외광고물의 색채를 분석하기 위하여 IRI의 색상 및 색조 분석 체계 (Hue & Tone color system)를 사용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35장의 색채팔레트3) 시트를 만들었다.
색체계는 한국산업규격에 의한 수정 먼셀 표색계를 채용하여, HV/C(H:HUE 색상, V: Value 명도, GChroma 채도)의 방식으로 표시하였다. 색채팔레트2®는 건축물의 입면에서 보여 지는 마감재를 주조 .
성능/효과
이처럼 옥외광고물의 지각능력은 시각적인 가독능력과 기억할 수 있는 능력, 색감에 대한 지각능력, 정신적 숙달정도와 같은 여러가지 육체적이고 심리적인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 9)근거리에서의 지각은 옥외광고물의 크기, 재료, 색채 등에 의하여 결정되고, 원거리에서는 집합적인 옥외광고물들이 만들어내는 외곽선 즉, 옥외광고물의 연속적 라인이나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1。) 따라서 도시의 색채 경관은 광고물 및 여타 공공 시설물에 의하여 구성되며 그중에서 옥외 광고물의 색채에 따라 가로의 이미지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입면형식을 보게 되면 기존 입면+새입면- 사인 물을 구성하는 유형은 B가로변보다 A가로변이 더 높게 조사되었으며 새입면-사인+사인일체형의 비율은 A 가로변보다 B가로변이 더 많이 차지하고 있다. 이는 B가로변 (68.
조사대상가로변은 구도심지역으로 건축물의 노후화로 인하여 기존외벽 위에 사인물이 설치되는 경우보다는 건축물에 부분적인 새로운 입면을 구성하는 유형인 기존 입면+새입면에 사인물을 설치하는 유형과 새입면 위에 사인물이 설치되거나 새입면과 사인물이 일체화되는 유형이 전체 비율에 97%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상점이 입면 전체를 통하여 상점과 상품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어지며 구도심 지역의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른 특성으로 분석할 수 있다.
창문의 유형에 따른 외벽입면패턴은 기존의 연구 문헌 19)20) 을 참조하여 조사대상가로의 건축물의 파사드의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해 본 결과 A가로변과 B 가로 변 모두 수평형의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가로변의 건축물의 파사드 창호 형태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 결과 수평형과 피막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본형, 수평형, 혼합형은 옥외광고물이 창호를 가리거나 창호에 불법 . 불량으로 부착 또는 창호를 제외한 벽면에 무분별하게 덮여 있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조사대상지역을 색차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 가로별의 건축물은 신구건축물 파사드의 혼재와 외장재의 다양화에 의한 혼재로 인한 색차의 기복을 보이며 색채가 정리되지 않고 통일감과 연속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a*b* 분석결과 의미 있는 색차를 상회하는 건축물의 입면 재료 중 몰탈위의 도장마감과 금속재료인 패널, 타일의 마감은 재도장과 마감재 교체를 할 경우 다른 재료마감에 비하여 색채변경이 용이하므로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색채의 유효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a*b* 분석결과 의미 있는 색차를 상회하는 건축물의 입면 재료 중 몰탈위의 도장마감과 금속재료인 패널, 타일의 마감은 재도장과 마감재 교체를 할 경우 다른 재료마감에 비하여 색채변경이 용이하므로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색채의 유효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8> 옥외광고물 설치현황 분석
분석결과 설치현황은 가로형, 돌출형, 컷팅시트류의 유리부착형, 세로형, 기타 입간판류나 현수막 순으로 조사되었는데 가로형이 가장 많이 조사된 것은 건축물 파사드 형태 특성 중 수평형이 전체 가로변에 주류를 이루고 있는 영향으로 분석된다
. 또한 유리부착형의 현황이 높게 나온 요인은 벽면을 제외한 유리면에 컷팅시트류25)나 현수막이 불량 .
형태 및 재료에 의한 조사 . 분석 결과로 판류형은 A가로변은 55.2%, B가로변은 60.3%로 전체 광고물 중에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유리면에 부착된 컷팅시트류도 A가로변은 14.6%, B가로변은 19.0%로 조사되었다. 또한 신도심 지역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입체문자는 A가로변은 6.
3%로 낮게 조사되었다. 현수막은 A 가로변은 8.8%, B가로변은 5.1%로 전체적으로 6.9%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어닝사인은 전체적으로 1.8%로 나타났으며, 불법광고물인 기타류에 속하는 입간판이나 네온사인과 LED로 사인은 9.3%로 조사되었다.
분석결과, 양쪽 가로변 모두 1-3층이 옥외광고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분석되었으나, 7층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A가로변보다 B가로변의 옥외광고물의 면적비율이 454%로 높게 나타난 것은 건축물의 유리면 전체에 불법.불량 광고물인 컷팅시트류와 현수막이 부착되었기 때문이다.
총 35개의 시트 중 일례로 제시된《그림 6>의 색채 팔레트 시트의 분석방법은 건축물 입면에서 큰 면적을 가진 유리면을 주조색으로, 다음으로 보여 지는 벽은 보조 색으로 각각 1개의 색이 추출되었으며 옥외광고물의 바탕색과 글자색은 8개가 도출되었다. 이런 방식으로 추출된 색은 색상환을 이용하여 색채의 분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1개의 색조영역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이런 방식으로 추출된 색은 색상환을 이용하여 색채의 분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1개의 색조영역으로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따라서 S24의 분석의 결과는 색상환에서는 유리면의 주조색은 7.69BG으로 보조색은 6.86 BG로 나타났으며, 옥외광고물의 색채는 YR, Y, GY, G, B, PB, P로 도출되었고, 색조로 본 결과는 강(strong)하고 진한(deep) 톤으로 나타났다. 글자체의 색채는 9.
이러한 방법으로 분석된 35개의 색채팔레트 시트 의결과는 대부분 옥외광고물의 바탕색은 건축물의 주조 색과 색대비가 큰 반대색 계열의 색상이 나타났으며, 표기 요소는 고채도로 광고물의 바탕색과도 강한 대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기요소 중 글자는 과대한 크기와 색채대비로 인하여 근접거리에서는 오히려 명시성과 가독성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된 조사대상가로변의 총 35개 건축물의 색채 팔레트 시트를 선행연구에서 고찰된 배색원리를 근거로 분석해본 결과 A<B변 가로변 모두 건축물과 옥외광고물의 배색 원리는 반대색상. 대조색조, 반대색상.
A가로변의 건축물 외벽에 나타난 주조색 빈도는 BG 가 가장 높았으며, GY, B, G, PB순으로 조사되었다. 건축물의 외벽에 나타난 보조색의 빈도는 BG, YR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GY, B순으로 나타났다.
옥외광고물에 나타난 강조색의 빈도는 PB, R, YR, Y, G 순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B가로변의 건축물 외벽에 나타난 주조색 빈도는 B가 가장 높았으며, PB, B, GY는각각 13.5%로 도출되었으며 건축물 외벽에 나타난 보조 색은 GY가 높게 나타났다. 옥외광고물에 나타난 강조색 은 PB가 17.
5%로 도출되었으며 건축물 외벽에 나타난 보조 색은 GY가 높게 나타났다. 옥외광고물에 나타난 강조색 은 PB가 17.8%로 A가로변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YR, R, GY, Y순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중앙로에 나타난 건축물의 색은 주조 색은 저채도의 B, BG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보조 색은 GY로 나타났다.
8%로 A가로변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YR, R, GY, Y순으로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중앙로에 나타난 건축물의 색은 주조 색은 저채도의 B, BG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나타냈고 보조 색은 GY로 나타났다. 옥외광고물에 나타난 강조색은 PB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R, YR 순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P와 RPe 가장 낮은 빈도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색상은 난색과 한색, 중성으로 분류되어지는데 난색과 한색을 중심으로 전체가로변의 색상계열을 조사해본 결과 난색계열의 R, YR, Y, GY, RPe 52%, 한색계열의 G, BG, B, PB, Pe 48%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색채현황 비교・분석
분석결과 A가로변과 B가로변의 스카이라인은 고층 건축물과 중. 저층의 건축물의 혼재로 인하여 불규칙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었다.
저층의 건축물의 혼재로 인하여 불규칙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었다. 조사대상가로변의 건축물 외벽의 재료 마감에서 보여 지는 색채현황은 6층 이하의 건축물의 경우, 옥외광고물의 색채가 건축물을 거의 가리고 있어서 건축물의 외관가시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한 배색 분석결과 A - B 가로변은 모두 옥외광고물의 난립으로 건축물 입면에 다양한 색채가 밀도 있게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조사대상가로변의 건축물 외벽의 재료 마감에서 보여 지는 색채현황은 6층 이하의 건축물의 경우, 옥외광고물의 색채가 건축물을 거의 가리고 있어서 건축물의 외관가시율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파노라마사진을 이용한 배색 분석결과 A - B 가로변은 모두 옥외광고물의 난립으로 건축물 입면에 다양한 색채가 밀도 있게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고명도의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채도는 저채도와 고채도의 양극화된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은 광고물간의 색이 저채도와 고채도를 이루고 있어 조화보다는 색채대비 위주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조사대상 가로변 건축물 광고물이 일정한 색채디자인 기준이나 가이드라인27)이 없이 업주의 의도나 제조업자의 의도에 따라 무분별하게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옥외 광고물에 나타난 강조색의 명도 . 채도의 결과는 A가로 변이 B가로변보다 명도는 거의 비슷하고 채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A가로변이 B가로변보다 건축물의 채도가 낮은데 비하여 옥외광고물의 채도가 높게 조사된 것은 옥외광고물과 건축물과의 색채대비가 높아 건죽물 입면에 나타난 주조색과의 조화보다는 대비 또는 부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고채도의 양상은 패션잡화 .
건축물 .옥외광고물간의 부조화가 가장 높게 도출되었으며 과대한 광고물의 크기, 고채도로 인한 시각 공해와 다양한 색상으로 인한 혼란함, 그리고 광고물의 수량과다와 크기로 인한 외관가시율 저하. 판류형 광고물에 적용된 고채도와 다양한 색채, 글자체의 부적절한 크기로 인한 글자체의 가독성 저하, 노후된 건축물 등이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옥외광고물의 유사색 중심으로 한 톤 중심의 색채, 다양한 색채 . 채도 범위 규정, 가로 이미지에 맞는 색채계획, 옥외광고물 정비가 개선방향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상점간 아이덴티티 부여가 도출되었으며 상점간 아이덴티티를 위해서 다양한 옥외광고물 디자인 및 형태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가독성 있는 서체와 글자체의 크기 조절이 개선점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상점간 아이덴티티 부여가 도출되었으며 상점간 아이덴티티를 위해서 다양한 옥외광고물 디자인 및 형태를 요구하고 있었으며 가독성 있는 서체와 글자체의 크기 조절이 개선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옥외 광고물의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으로 획일적인 현 경관을 탈피하여 개성 있고 변화감 있는 방향으로 개선점을 도출시켰다. 이는 건축물들의 상호맥락적인 관계에서 기존의 색채현황을 고려한 옥외광고물의 정비와 색채 범위가 설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정리한 결과는 「복잡한」, 「촌스러운」, 「혼란스러운」, 「산만한」, 「지저분한」, 「답답한」, 「획일적인」 등의 형용사 어휘로 정리할 수 있었으며, 조상 대상가로에 대한 지향 이미지는 「정돈된」, 「젊은」, 「다이나믹한」, 「세련된」, 「개성있는」, 「깔끔한」등의 총 6 개의 형용사 어휘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지향 이미지의 결과는 조사대상가로변이 10~20대가 즐겨 찾는 만남의 장소이며 패션상권의 지역적 특성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난 결과로 분석할 수 있다.
판매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로변별 1 층 업종현황을 분류해 본 결과, A가로변은 패션잡화, 금융, 패션의류 순으로, B가로변은 패션잡화, 패션의류가 높게 분포되어 조사대상가로변은 패션상권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냈다. 1층의 옥외광고물에 나타난 색채 현황은 타업종과 건축물에 대한 조화는 고려하지 않은 상황이었으며, 2층 이상의 상점들도 업종의 유형과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은 고채도의 색채들로 업종을 나타내고 있어 전체적으로 혼잡스러운 가로경관을 조성하고 있었다.
둘째, 구도심 지역인 조사대상가로변은 건축물의 노후화로 인하여 기존외벽 위에 광고물이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보다는 건축물에 부분적인 새로운 입면에 광고물을 설치하는 유형과 전체적인 새입면 위에 광고물이 일체화되는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점이 입면 전체를 통하여 상점과 상품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어지며 건축물의 노후화에 따른 특성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조사대상지역을 L*a*b*로 색차분석한 결과 조사대상 가로별의 건축물은 신구건축물 파사드의 혼재와 외장재료의 다양화로 인한 색차의 기복을 보이며 통일감과 연속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a*b* 분석결과 의미 있는 색차를 상회하는 건축물의 입면 재료 중 몰탈 위의 도장마감과 금속재료인 패널, 타일의 마감은 재도장과 마감재 교체를 시행할 경우 다른 재료마감에 비하여 색채변경이 용이하므로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색채의 유효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L*a*b* 분석결과 의미 있는 색차를 상회하는 건축물의 입면 재료 중 몰탈 위의 도장마감과 금속재료인 패널, 타일의 마감은 재도장과 마감재 교체를 시행할 경우 다른 재료마감에 비하여 색채변경이 용이하므로 주변 건축물과 조화를 이루는 색채의 유효범위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조사대상가로의 건축물의 파사드를 기본형, 수직형, 수평형, 피막형, 혼합형의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조사 대상 가로변 모두 수평형의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옥외광고물의 설치현황 결과 가로형 광고물이 가장 높게 조사된 것과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건축물의 창호 형태에 따른 유형은 옥외광고물의 설치 방법과 옥외광고물의 형태와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옥외광고물의 설치계획은 건축설계의 초기 단계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다섯째, 조사대상 가로변 건축물의 옥외광고물이 차지한 면적을 가로별로 분석한 결과, 층수가 낮을수록 옥외광고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게 조사 되었으나, B가로 변의 고층건축물에 옥외광고물의 면적비율이 45.4%로 높게 나타난 것은 유리면 전체에 컷팅시트류와 현수막이 불법, 불량으로 부착되어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철거를 하여 건축물의 외관가시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본다.
여섯째, 조사대상가로변의 총 35개 건축물의 색채 팔레트 시트를 배색원리로 분석해본 결과 가로변 모두 건축물과 옥외광고물의 배색원리는 통일감과 다양성의 상반된 이미지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시각적인 혼란스러움을 조성하지 않기 위해서는 옥외광고물의 배색 원리는 판류형 광고물의 바탕(Ground) .
일곱째, 가로별로 비교 . 분석된 옥외광고물의 색채 현황은 옥외광고물의 난립으로 건축물 입면에 다양한 색채가 밀도 있게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명도는 저 .
명도는 저 . 중 , 고명도로 다양하게 분포되었고 채도는 저채도와 고채도로 강한 색채대비의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A가로변이 B가로변보다 건축물의 채도가 낮은데 비하여 옥외광고물의 채도가 높게 조사된 것은 패션잡화 . 패션의류의 업종이 많은 B가로변 보다 옥외광고물과 건축물과의 색채대비가 높아 좀 더 시각적으로 혼잡한 가로경관을 조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사 대상가로변의 현재 이미지는 「복잡한」, 「촌스러운」, 「혼란스러운」, 「산만한」, 「지저분한」, 「답답한」, 「획일적인」등의 형용사 어휘가 나타났으며, 지향 이미지는 「정돈된」, 「젊은」, 「다이나믹한」, 「세련된」, 「개성있는」, 「깔끔한」등의 총 6개의 형용사 어휘가 도출되었으며, 향후 지향이미지에 어울리는 옥외광고물 색채가이드라인의 기초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첫째, 가로변의 업종을 분석해보면 브랜드와 비브랜드, 판매업과 서비스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가로변별 1 층 업종현황을 분류해 본 결과, A가로변은 패션잡화, 금융, 패션의류 순으로, B가로변은 패션잡화, 패션의류가 높게 분포되어 조사대상가로변은 패션상권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냈다.
후속연구
이에 본 연구조사는 조상대상의 물리적 현황 색채분석과 이미지평가를 통하여 문제점 분석 및 개선점을 파악하고 지향이미지를 도출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배색안을 도출하여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를 하고 옥외광고물 색채 가이드라인의 틀 마련을 위한 연구를 단계적으로 발표할 예정에 있다.
참고문헌 (21)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소, 건축.도시계획을 위한 조사 분석방법, 1988
박상현.우신구, 상업화된 주거지 상점 파사드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1호(통권231호), 2008
이선애, 도시간판디자인의 현황과 그 환경적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김정은, 옥외광고물의 색채디자인에 따른 가로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윤승로, 도시환경색채분석을 이용한 가로시설물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이정호외, 가로의 파사드 분석을 통한 공공가로공간 계획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제9호(통권263호), 2010
최영덕, 코너형 부지에 위치한 건축물의 입면유형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이수용.남기봉, 가로변 모퉁이 대지 건축물의 입면구성방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7
배현진, 가로변 건축물의 광고물 및 시지각적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김효정, 도시상징가로의 색채적용평가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박상현.우신구, 상업화된 주거지 상점 파사드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1호(통권231호), 2008
대전광역시, 테마거리조성 방향설정 및 기본계획, 2008
대전광역시 옥외광고물 가이드라인, 2009
나루미 구니히로, 김덕삼외 2인 역, 도시경관의 형성수법, 대우출판사, 1998
문은배, 색채의 활용, 도서출판국제, 2002
박영순.이현주, 색채와 디자인, 기문당, 1998
한국색채학회, 컬러리스트 실기편, 2002
박은주, 색채조형의 기초, 미진사, 1989
문은배, 색채의 활용, 도서출판국제, 2002
박돈서, 건축의 색. 도시의 색, 기문당, 1996
한국표준색표집,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 2003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