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고해상도의 영상 레이다(Syntetic Aperture Radar. SAR)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기상의 변화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지구의 환경 변화를 관측하거냐 고정밀도의 표적 탐지 및 식별이 가능해짐에 따라 레이다 영상을 이용한 활용 분야가 군사 목적의 정밀 감시 정찰뿐만 아니라 과학 및 민수용으로도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SAR의 역사는 1950년대부터 약 50년의 기술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2010년을 기점으로 최근 3~4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유사 이래 가장 많은 10여개 이상의 저궤도 SAR 위성들을 발사하므로서 비로소 "저궤도 위성 SAR 전성시대"로 진입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다목적 실용위성 5호에 SAR를 탑재하는 최초의 영상 레이다 위성을 2011년 중반에 궤도에 집입시키기 위하여 현재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2011년 9월 26~30일 한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국제영상 레이다 학술대회(Asia-Pacific Conference on Synthetic Aperture Rader: APSAR 2011)에 즈음하여 위성 SAR 개발 동향을 중심으로 SAR 기술 특정과 활용 기술 및 최근 기술 발전 동향을 소개한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도 다목적 실용위성에 SAR를탑재하는 영상 레이다 기술 개발을 1996년대 중반부터 착수하였으나, 岫의 위기를 맞아 수년 동안 지연되다가 2000년대 중반에 비로소 개발이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국내에서는 최초로 인공위성에 레이다를 탑재 하는 위 성 탑재 영상 레 이다를 2이1년 중반에발사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레이다의 기본원리를 소개하고, 최근 위성 SAR 개발 동향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저궤도 위성 SAR인 RADARSAT-2, ALOS, PALSAR, SAR-Lupe, TerraSAR-X, COSMO Skymed 및 KOMPTSAT-5 위성에 대한 기술 특징을 소개하고, Interferometry, GMTI 및 Polarimetric SAR 활용 기술과 향후 기술 발전 추세에 관하여 기술한다. 마지막으로 APSAR 2이1 국제영상 레이다 학술대회에대하여 소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곽영길, "위성탑재 영상 레이다 기술", 대한전자공학회지, 특집호 34(11), pp. 1276-1290, 2007년 11월. 

  2. 곽영길, " Synthetic Aperture Radar: System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2005 레이다.SAR Workshop 발표집, 한국전자파학회(레이다연구회), pp. 9-31, 2005년 7월. 

  3. 곽영길, " Synthetic Aperture Radar", 2010 레이다 워크샵 및 단기강좌, 한국전자파학회(레이다연구회), pp. 255-290, 2010년 7월. 

  4. Ian G. Cumming, Frank H. Wong, Digital Processing of Synthetic Aperture Radar, Artech House, 2005. 

  5. 곽영길, "위성탑재 영상 레이다 (ROKSAR) 체계설계", 국방과학연구소, Report No. KTRC--517-991607, 1999년 12월. 

  6. 곽영길, "X 밴드 고해상도 소형 위성탑재 레이다 SAR 체계설계와 성능특징:, 한국전자파학회 논문지, 11(7), pp. 1258-1270, 2000년 10월. 

  7. Young K. Kwag, "Spaceborne X-Band small SAR system model design and its imag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Proceeding of the IEEE IGARSS Conference, Sydney, Australia, Jul. 2001. 

  8. 곽영길, "레이다 역사 100년", 한국전자파학회지 전자파기술, 16(1), pp. 54-64, 2005년 1월. 

  9. S. Riegger, C. Livingston, "Space based SAR mi-ssions, RADARSAT-2", Proceeding CD of EUSAR 2010, Session 1.4, Aachen, Germany, Jun. 2010. 

  10. http://www.radarsat2.info/about/mission.asp 

  11. M. Shimada, P. Lombardo, "ALSO-L-band SAR sys-tem for earth remote sensing", Proceeding CD of EUSAR 2010, Session 6.4, Aachen, Germany, Jun. 2010. 

  12. http://www.eorc.jaxa.jp/ALOS/en/about/palsar.htm 

  13. M. Zink, M. Bartusch, "TerraSAR-X/TanDEM-X", Proceeding CD of EUSAR 2010, Session 2.4, Aa-chen, Germany, Jun. 2010. 

  14. http://www.infoterra.de/terrasar-x-satellite 

  15. F. Dell Acqua, P. Gamba, and R. Battaglia, "Applications and design of a multi-polarization 2nd Generation SAR for the COSMO/SKYMED Constel-lation", Applications of Polarimetry and Polarimetric Interferometry, POLINSAR2005, pp. 41-45, 2005. 

  16. http://en.wikipedia.org/wiki/COSMO-SkyMed 

  17. http://www.kari.re.kr 연구사업/위성/ 다목적실용위성 5호/ 

  18. Wolfgang Keydel, David Hounam, Regina Pac, and Marian Werner, "XSAR/SRTM-Part of a global earth mapping mission", Proceedings of RTO SET Sym-posium on Space-Based Observation Technology, RTO MP-61, p. 32, Oct. 2000. 

  19. N. F. Stevens, G. Wadge, "Towards operational re-peat-pass SAR interferometry at active volcanoes", Natural Hazards, vol. 33, no. 1, pp. 47-76, 2004. 

  20. S. Suchandt, M. Eineder, R. Muller, F. Meyer, and G. Palubinska, "Development of a GMTI processing system for the extraction of traffic information from TerraSAR-X data", EUSAR 2006- 6th European Conference on Synthetic Aperture Radar Dresden, Germany, 2006. 

  21. H. Runge, S. Suchandt, A. Kotenkov, G. Palubinskas, U. Steinbrecher, and D. Weihing, "Traffic monitoring with TerraSAR-X", Proceedings of IRS 2005, DGON, pp. 629-634, Berlin, 2005. 

  22. S. V. Baumgartner, M. Rodriguez-Cassola, A. No-ttensteiner, R. Hom, R. Scheiber, M. Schwerdt, U. Steinbrecher, R. Metzig, M. Limbach, J. Mittermayer, G. Krieger, and A. Moreira, "Bistatic experiment using TerraSAR-X and DLR's new F-SAR system", 7th European Conference on Synthetic Aperture Radar, vol. 1, pp. 57-60, 2008. 

  23. S. V. Baumgartner, M. Rodriguez-Cassola, A. No-ttensteiner, R. Hom, R. Scheiber, M. Schwerdt, U. Steinbrecher, R. Metzig, M. Limbach, J. Mittermayer, G. Krieger, and A. Moreira, "Bistatic experiment using TerraSAR-X and DLR's new F-SAR system", 7th European Conference on Synthetic Aperture Radar, vol. 1, pp. 57-6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