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건축에 사용된 자귀의 형태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nge of Shape of "Jagui" (Adze) Used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3, 2011년, pp.23 - 38  

임채현 (명지대학교 건축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xes and Adzes are the oldest tools since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which is used to cut the tree and make part of architecture such as boards, square timber etc. Nowadays, these old woodworking tools especially "Jagui(자귀)" (adze) has been almost disappeared at the working site of residen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귀가 신석기시대에 도끼로부터 기능이 분화되기 시작하여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된 내용에 대해 설명하시오. 자귀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 형태로부터 출발하여 필요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신석기시대에 도끼로부터 기능이 분화되기 시작하여 손잡이를 부착함으로서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즉 신석기 시대에 들어와 크기와 형상은 도끼와 유사하나, 날의 단면이 편평하고 비대칭으로 만들어 “ㄱ”자형의 나무자루에 묶어서 사용하게 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이런 자귀이외에 홈자귀와 턱자귀가 나타나서 이전의 도끼와는 완전히 구분되는 자귀가 나타났고, 그 재료도 돌로부터 일부 청동을 거쳐 철제로 바뀌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는 매우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연장이다.
가장 오래된 연장 중 하나인 자귀는 어디에서부터 출발했는가? 도끼는 주로 나무 벌채, 절단된 원목을 가르는데 사용하고, 자귀는 가른 나무를 평평하게 다듬거나 홈 등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자귀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 형태로부터 출발하여 필요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신석기시대에 도끼로부터 기능이 분화되기 시작하여 손잡이를 부착함으로서 획기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다. 즉 신석기 시대에 들어와 크기와 형상은 도끼와 유사하나, 날의 단면이 편평하고 비대칭으로 만들어 “ㄱ”자형의 나무자루에 묶어서 사용하게 되었다.
고고학 분야에서 자귀와 도끼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고고학분야에서는 주로 부(斧), 철부(鐵斧) 등으로 표시하여 자귀와 도끼의 구분이 없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들어 이를 자귀와 도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자귀와 도끼는 날과 손잡이의 결합 방식에 의해 구분되는데 날선(線)과 손잡이가 직각으로 만나면 자귀이고, 평행하면 도끼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이왕기, 한국의 건축생산 도구에 관한연구, 한국과학재단, 2005 

  2. (재)호남문화재연구원 . 대한주택공사,光州東林洞遺蹟I, 2007 

  3. 이건무 . 이영훈 . 윤광진 . 신대곤, 의창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I), 고고학지, 제1집 , 1989 

  4. 潮見浩, 東アジアの初期?器文化, 東京, 吉川弘文館, 1982 

  5. 梅原末治, 朝鮮古文化綜鑑第2?, 1974, 名著出版, 1948年養?社刊の復刻 版 

  6. 조현종 . 신상효 . 장제근,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I, 국립광주박물관, 1997 

  7. 조현종 . 신상효 . 이종철,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V, 국립광주박물관, 2003 

  8. 재단법인 영남문화재연구원, 대구 팔달동유적 I, 2000 

  9. 재단법인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 사라리 유적 II - 목관묘, 주거지 -, 2001 

  10. 이홍종 . 김무중 . 서현주 . 조은하 . 박성희 . 조진형 . 이우석 . 庄田愼矢. 박 상윤 . 안형기, 아산 갈매리(III지역) 유적 ,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 (주) 중앙하우징, 2007 

  1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宮南池II - 현궁남지 서북편일대 -, 2001 

  12.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기 - 함안 성산산성을 중심으로 -, 2008 

  13.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조양동 유적 II, 2003 

  14.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황성동 고분군 II -513 . 545번지 -, 2002 

  15. 有光敎一, 慶州皇南里第八十二號墳.八十二號墳調査報告,昭和六年度古蹟發掘報告, 제1책, 朝鮮總督府, 1935 

  16. 충북대학교박물관, 청주 신봉동 백제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 1990년도 조사 -, 1990 

  17. 곽장근 . 유철 . 한수영, 군산 조촌동 고분군, 군산시 . 군산대학교박물관, 1996 

  18. (기산 김준근)조선풍속도 : 매산 김양선 수집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2008 

  19. 편찬: 나카무라킨죠 ; 해제: 권혁희,朝鮮風俗畵譜, 서울 민속원, 2008 

  20. 中村金城, 朝鮮風俗畵譜, 서울 大提閣, 1975 

  21. 국립중앙박물관,조선시대 풍속화2002 

  22. 경기대학교박물관,한국민화도록, 권3, 2000 

  23. 渡邊晶, わが?近世以前における建築 造?と主要道具について, 竹中大工道 具館硏究紀要제15호, 財?法人竹中大工道具館, 2003 

  24. 村松貞次郞, 大工道具の歷史, 岩波新書, 1973 

  25. 東京書籍編輯部, ??日本史, 東京書籍, 2009 

  26. W. L. Goodman, The History of Woodworking Tools, G. Bell and Sons Ltd., London, 1964 

  27. 김병모 . 심광주, 이성산성 , 한양대학교 . 경기도, 1991 

  28. 신경철 . 김재우, 김해대성동고분군I, 경성대학교박물관, 200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