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전기 경복궁 궐내각사의 건축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at Gyeongbokgu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5, 2011년, pp.63 - 79  

이정국 (다리건축사사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space of Gwolnaegaksa (闕內各司), the Government office in the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oyal palace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political space for king, living space for king and his family and government office. So fir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의 궁궐건축의 공간 구성은 어떠한가? 조선시대의 궁궐건축은 당시 통치이념으로 내세운 성리학적 덕목과 사회적 요구에 적합한 상징성과 기능성을 갖는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공간들이 독자성을 가지면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하나로 통합된 궁궐건축을 완성한다.
궁궐에서 임금과 관료들의 동선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궁궐은 임금이 관료들과 함께 국가를 통치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임금과 관료들의 동선체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료들의 동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건물의 배치가 파악되어야 한다.
동국여지승람 기록을 기본으로 하고 실록과 문헌자료들을 통하여 경복궁에 위치한 궐내 각사의 건축공간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어떠한가? 창건시 경복궁의 궐내각사는 많지 않았는데 세종 때에 들어와서 여러 아문들이 궁궐 내에 설치되면서 궐내각사의 공간도 어느 정도 정착되어갔다. 중심영역의 건축공간을 보면 사정전 행랑에 선전관, 겸사복, 내금위 등 임금의 최측근 시위군이 직숙하였다. 근정전의 행랑에는 동, 서 빈청이 각각 동행랑과 서행랑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사약방이 역시 근정전의 행랑에 있었다. 그 외에 충의위청과 정로위청, 도진무 등의 시위군 관아와 직숙 공간이 역시 행랑에 위치하였다. 그리고 경연을 위해 경연관들이 준비 또는 대기하는 공간으로서의 경연청은 근정전의 동북쪽에 행랑과는 별도로 존재했었다. 홍례문 서쪽행랑에도 역시 별시위청이 있었는데 그 주변의 행랑 역시 시위군들의 관아나 직숙하는 공간이었을 것이다. 중심공간 외의 궐내각사의 공간구조는 각각의 관아가 행랑이나 담장으로 둘러싸여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그 사이에 골목길이 생기게 되며 이곳에 문을 설치하였다. 중심공간 외의 궐내각사에 대한 배치를 추정하였는데(그림 9 참조) 18세기 이후에 그려진 그림들과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나는 부분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經國大典" , 국회도서관제공(누리미디어) 국역본 및 원문 

  2. "宮闕志 I" ,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번역, 1994. 12 

  3. "신증동국여지승람" , 고전번역원제공 번역본 및 원문 

  4. "조선왕조실록" , 태조-선조(고전번역원 제공의 번역본 및 원문) 

  5. 柳希春, "미암일기(眉巖日記草)" 제1-5집, 潭陽鄕土文化硏究會(번역본), 國學資料院, 1982(원문) 

  6. 곽순조, "宮闕運營을 通하여 본 朝鮮前期景福宮의 配置特性에 關한 硏究" ,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7. 김동욱, "조선초기 창건 경복궁의 공간구성" , 건축역사연구 제7권 2호(통권 15호), 1998. 6 

  8. 김동욱, "조선초기 경복궁 수리에서 세종의 역할" , 건축역사연구 제11권 제4호 통권32호, 2002. 12 

  9. 문화재청 "景福宮變遷史上,下" 동아원색, 서울, 2007. 8 

  10. 이강근, "경복궁" , 대원사, 서울, 1998. 8 

  11. 장재혁, "조선전기 경복궁의 건축형식에 관한 연구: 예서에서 나타나는 예제운영과 건축제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2004. 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