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생제 다제내성균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생육저해물질 생산 방선균의 분리 및 항균활성
Isol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ctinomycetes Producing Growth Inhibition Compounds Against Multi-antibiotic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1, 2011년, pp.19 - 26  

강동희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배호경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김현수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f the 500 Actinomycetes isolates obtained from soil, one isolate grown on maltose as the sole carbon source produced compound BHK-P19, which inhibited the growth of multiple drug resistant P. aeruginosa 0245. Ultraviolet radiation mutagenesis curtailed production of BHK-P19. Mutation of the BHK-P1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토양에서 분리된 방선균으로부터 항생제 다제내성 P. aeruginosa를 대상으로 항균효과를 증대시키는 물질을 검토하였다. 분리 방선균으로부터 항균활성이 우수한 BHK-P19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으며, YS 배지에 탄소원을 maltose로 하여 배양 시 다제내성균 중 P.
  • 본 연구에서는 다제내성을 가진 병원성 Pseudomonas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토양에서 항생제 다제내성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을 분리하고, 다양한 조건 하에서 생산된 항균성 물질을 한약재 및 항생제와 혼합하여 항균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seudomonas aeruginosa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 외에도 Escherichia coli, Serratia, Actin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Streptococcus 등이 분리되고 있다 [2,3,4]. 이 중에서 P. aeruginosa는 건강한 사람의 소화기에 상재하며 피부, 비점막 (nasal mucosa) 및 인두 (throat) 등에서도 상재할 수 있으며 폐렴, 비뇨기계 감염, 창상감염, 패혈증 등의 원내감염의 원인이 된다 [5,6]. P. aeruginosa는 병원 내 폐렴 및 요로 감염에서 흔히 동정되는 Gram 음성 간균 (병원성 폐렴 18.1%, 요로감염 16.3%)으로 알려져 있으며, Gram 음성 간균에 의한 병원 균혈증에서도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spicies에 이어 세 번째로 흔하며, 전체 균혈증의 7위를 차지할 정도로 드물지 않다 [7]. 이러한 P. aeruginosa에 의한 감염의 치료는 실제 임상에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P. aeruginosa에 의한 bloodstream infection은 심각하고 치명적일 수 있는 상태로 18%∼62%의 사망률을 보여 균혈증으로 인한 사망의 경우 2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8]. 오늘날 사용 중인 항생물질은 의학의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발견, 개발되어 질병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점차 내성이 생긴 병원성 미생물이 출현하게 되면서 현 의학계에서는 심각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내 감염은 어떤 경향성을 나타내는가? 원내 감염은 일반병동보다는 중환자실이나 면역저하환자 대상병동에서 병원감염률이 높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중환자실은 일반 입원실보다 약 6배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 국내 병원 내 감염보고에서 나타난 균주 중 가장 많은 것은 Staphylococcus aureus (20∼22%)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분리되는 균이 Pseudomonas aeruginosa (8∼18%)이다.
국내 병원 내 감염보고에서 나타난 균주 중 가장 많은 것은 무엇인가? 원내 감염은 일반병동보다는 중환자실이나 면역저하환자 대상병동에서 병원감염률이 높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중환자실은 일반 입원실보다 약 6배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 국내 병원 내 감염보고에서 나타난 균주 중 가장 많은 것은 Staphylococcus aureus (20∼22%)이며 그 다음으로 많이 분리되는 균이 Pseudomonas aeruginosa (8∼18%)이다. 그 외에도 Escherichia coli, Serratia, Actinobacter, Klebsiella, Enterobacter, Streptococcus 등이 분리되고 있다 [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onten, M. J. (2002) Infe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prevention strategies. Curr. Opin. Infect. Dis. 15: 401-405. 

  2. Park, K. H. (2007) Nosocomial infection rates and risk factors in intensive care units of a university hospital. M.D. Thesis. University of Chosun, Dong-gu, Gwangju, Korea. 

  3. Oh, H. S. (2005) A study on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and model in Korea. Ph.D. 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Seoul, Gwanak-gu, Seoul, Korea. 

  4. Cho, Y. S. (2000) 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hospital infection surveillance records collected by ward liaison nurses. M.D. Thesis. National University of Seoul, Gwanak-gu, Seoul, Korea. 

  5. Yoo, J. S. (2008) Characterization of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and functional analysis of PA2491 gene. Ph.D. Thesis. University of Korea, Seongbuk-gu, Seoul, Korea. 

  6. Doring, G., M. Horz, J. Ortelt, H. Grupp, and C. Wolz (1993) Molecular epidemiology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an intensive care unit. Epicemiol. Infect. 110: 427-436. 

  7. Gaynes, R. and J. R. Edwards (2005) Overview of nosocomial infections caused by gram-negative bacilli. Clin. Infect. Dis. 41: 848-54. 

  8. Vidal, F., J. Mensa, M. Almela, J. A. Martinez, F. Marco, C. Casals, J. M. Gatell, E. Soriano, and M. T. Jimenez de Anta (1996) Epidemiology and outcome of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emia,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antibiotic treatment. Analysis of 189 episodes. Arch. Intern. Med. 156: 2121-2126. 

  9. Falagas, M. E., P. K. Koletsi, and I. A. Bliziotis (2006) The diversity of definitions of multidrug-resistant (MDR) and pandrug-resistant (PDR) Acinetobacter baumannii and Pseudomonas aeruginosa. J. Med. Microbiol. 55: 1619-1629. 

  10. Pankuch, G. A., H. Seifert, and P. C. Appelbaum (2010) Activity of doripenem with and without levofloxacin, amikacin, and colistin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and Acinetobacter baumannii. Diagn. Microbiol. Infect. Dis. 67: 191-197. 

  11. Zaborina, O., J. E. Kohler, Y. Wang, C. Bethel, O. Shevchenko, L. Wu, J. R. Turner, and J. C. Alverdy (2006) Identification of multi-drug 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clinical isolates that are highly disruptive to the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Ann. Clin. Microbiol. Antimicrob. 5: 14. 

  12. Inglis, T. J., K. A. Benson, L. O'Reilly, R. Bradbury, M. Hodge, D. Speers, and C. H. Heath (2010) Emergence of multi-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 in a Western Australian hospital. J. Hosp. Infect. 76: 60-65. 

  13. Jung, J. Y., M. S. Park, S. E. Kim, B. H. Park, J. Y. Son, E. Y. Kim, J. E. Lim, S. K. Lee, S. H. Lee, K. J. Lee, Y. A. Kang, S. K. Kim, J. Chang, and Y. S. Kim (2010) Risk factors for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bacteremia in patients with coloniz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BMC Infect. Dis. 10: 228. 

  14. Neu, J. M. and G. D. Wright (2003) Inhibition of sporulation, glycopeptide antibiotic production and resistance in Streptomyces toyocaensis NRRL 15009 by protein kinase inhibitors. FEMS Microbiol. Lett. 199: 15-20. 

  15. Bang, B. H. and E. J. Jeong (2009) Isolation and optimal producing conditions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from Streptomyces sp. Y-88. Korean J. Food & Nutr. 22: 103-109. 

  16. Hayakawa, M. and H. Nonomura (1987) Huminc acid - vitamin agar, a new medium for the selective isolation of soil actinomycetes. J. Ferment. Technol. 65: 501-5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