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시 반복경두개자기자극에 의한 경직성 발목관절의 관절가동 범위 향상 및 H-반사 억제 효과
The Effect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H-Reflex Inhibition and Fascilitation of Range of Motion of Spastic Ankle Joint in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1, 2011년, pp.71 - 79  

조미숙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increase of H-reflex inhibition and fascilitation of range of motion of spastic ankle joint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30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시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이 경직형 발목관절의 관절가동 범위 향상, 경직 감소 및 H-반사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 또한 Peinemann 등(2004)은 건강한 성인에서 역치하자극을 150, 900, 1,800 회로 각각 시행하여 피질척수로의 활성도 변화를 관찰한 연구에서 1,880 회의 자극을 주었을 때 30 분 이상 피질척수로의 활성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900 회의 자극을 주었을 때는 5분까지만 활성도가 증가되었으며, 150 회 자극 시에는 활성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서 고빈도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을 시행한 후 발목관절에서 운동기능의 회복 뿐 아니라 H-반사와 경직을 평가한 것이 지금까지의 연구에 비해 특이한 점이라 하겠다. 즉,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반복경두개자기자극 치료군이 운동치료군에 비해 수정된 Ashworth 척도 점수를 낮추었고, 발목 관절의 관절운동 범위를 증가시켰으며, 가자미근의 H-반사 억제 지수도 증가시켜 뇌졸중 환자에서 증가된 척수의 흥분성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 또한,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경직을 완화시키기 위해 H-반사의 감소를 관찰한 연구는 일부 발견되고 있으나,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을 적용하여 H-반사의 감소와 발목관절의 관절운동 범위의 향상을 연계하여 관찰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뇌졸중 환자에서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을 이용하여 경직성 발목관절의 관절운동 범위 향상, 경직의 감소 및 H-반사 감소를 유도하는 연구의 시급성을 느껴 실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반사의 진폭과 Hmax/Mmax 비의 변화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또한, H-반사는 척수 수준에서 반사고리(reflex roop)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 단일연접반사인데, H-반사의 진폭과 Hmax/Mmax 비는 운동신경세포풀(motoneuron pool)의 흥분성 효과와 연접 전 신경 종말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상태를 반영한다(Sugawara와 Kasai, 2002). 이 수치의 변화는 신경병증의 진단, 모니터링, 발달장애 및 척수분절반사 행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H-반사의 특징을 이용해 특정자세, 능동 및 수동운동, 보행주기, 근육특성 및 마사지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되어 왔다(Chen 등, 2008). 반복경두개자기자극과 H반사의 연관성을 관찰한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H-반사나 운동유발전위와의 관계를 연구하거나, 뇌졸중환자에서 반복경두개자기자극을 시행한 후 운동유발전위와 근육 수축의 변화, 운동기능의 회복에 대하여 진행되어 왔다.
H-반사는 무엇인가? 또한, H-반사는 척수 수준에서 반사고리(reflex roop)의 기능적 상태를 평가하는 단일연접반사인데, H-반사의 진폭과 Hmax/Mmax 비는 운동신경세포풀(motoneuron pool)의 흥분성 효과와 연접 전 신경 종말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 상태를 반영한다(Sugawara와 Kasai, 2002). 이 수치의 변화는 신경병증의 진단, 모니터링, 발달장애 및 척수분절반사 행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H-반사의 특징을 이용해 특정자세, 능동 및 수동운동, 보행주기, 근육특성 및 마사지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되어 왔다(Chen 등, 2008).
경두개자기자극은 무엇인가? 경두개자기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은 두개부에 유도코일 배열시 발생되는 짧은 전류에 의해 형성되는 고강도 자기장에 의한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를 비침습적으로 자극하는 기술이다(Chen 등, 2008). 이 유도전류는 직접적으로 대뇌피질 신경세포의 축삭언덕(axon hillock)을 탈분극시키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사이신경세포(interneuron)의 탈분극을 유발시켜 피질척수로(corticospinal tract)에 관여하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킨다(Di Lazzaro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고명환, 한상형, 박성희 등. 뇌졸중 환자에서 경두개직류전류 자극에 의한 손 기능 호전. 대한재활의학회지. 2009;33(3):259-64. 

  2. 손민균, 김봉옥, 김성겸 등. 고빈도 반복경두부자기 자극이 뇌졸중의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재활의학회지. 2010;34(2):168-73. 

  3. 손민균, 김봉옥, 김성겸 등. 사람 급성 근육통 모델에서 10 Hz 반복경두부자기자극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008;32(5):558-63. 

  4. Berardelli A, Abbruzzese G, Chen R et al. Consensus paper on short-interval intracortical inhibition and other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tracortical paradigms in movement disorders. Brain Stimul. 2008;1(3):183-91. 

  5. Chen R, Cros D, Curra A et al. The clinical diagnostic utility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eport of an IFCN committee. Clin Neurophysiol. 2008;119(3):504-32. 

  6. Dafotakis M, Grefkes C, Eickhoff SB, et al. Effects of rTMS on grip force control following subcortical stroke. Exp Neurol. 2008;211(2):407-12. 

  7. Di Lazzaro V, Dileone M, Profice P et al. Direct demonstration that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can enhance corticospinal excitability in stroke. Stroke. 2006;37(11):2850-3. 

  8. Di Lazzaro V, Oliviero A, Pilato F et al. The physiological basis of transcranial motor cortex stimulation in conscious humans. Clin Neurophysiol. 2004;115(2):255-66. 

  9. Frengi F, Boggio PS, Valle AC et al. A sham-controlled trial of a 5-day course of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f the unaffected hemisphere in stroke patients. Stroke. 2006;37(8): 2115-22. 

  10. Inghilleri M, Lorenzano C, Conte A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the H reflex and F wave in the hand muscles. Clin Neurophysiol. 2003;114(6):1096-101. 

  11. Jaberzadeh S, Scutter S, Warden-Flood A, et al. Between-days reliability of H-reflexes in human flexor carpi radiali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7):1168-73. 

  12. Kim YH, You SH, Ko MH et a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induced corticomotor excitability and associated motor skill acquisition in chronic stroke. Stroke. 2006;37(6):1471-6. 

  13. Mally J, Dinya E. Recovery of motor disability and spasticity in post-stroke after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Brain Res Bull. 2008;76(4):388-95. 

  14. Migita K, Uozumi T, Arita K et al. Transcranial magnetic coil stimulation of motor cortex in patients with central pain. Neurosurgery. 1995;36(5):1039-40. 

  15. Paulus W, Classen J, Cohen LG et al. State of the art: Pharmacologic effects on cortical excitability measures tested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Brain Stimul. 2008;1(3):151-63. 

  16. Peinemann A, Reimer B, Loer C et al. Long-lasting increase in corticospinal excitability after 1800 pulses of subthreshold 5 Hz repetitive TMS to the primary motor cortex. Clin Neurophysiol. 2004;115(7):1519-26. 

  17. Pleger B, Janssen F, Schwenkreis P et al.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f the motor cortex attenuates pain perception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 Neurosci Lett. 2004;356(2):87-90. 

  18. Rossini PM, Barker AT, Berardelli A et al. Non-invasive electrical and magnetic stimulation of the brain, spinal cord and roots: basic principles and procedures for routine clinical application. Report of an IFCN committee.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4;91(2):79-92. 

  19. Sugawara K, Kasai T. Facilitation of motor evoked potentials and H-reflexes of flexor carpi radialis muscle induced by voluntary teeth clenching. Hum Mov Sci. 2002;21(2):203-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