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도성 향상을 위한 구리호일 위 CNT의 직접성장 및 전계방출 특성 평가
Direct Growth of CNT on Cu Foils for Conductivity Enhancement and Their Field Emission Property Characterization 원문보기

韓國眞空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v.20 no.2, 2011년, pp.155 - 163  

김진주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임선택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  김곤호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  정구환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나노튜브(CNT)와 합성기판 사이의 전도성 향상을 목적으로, 현재 리튬이온이차전지 등의 분야에서 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는 구리 호일을 합성기판으로 하여, 그 위에 수직배향 CNT 성장의 합성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합성은 수평식 CVD 합성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최적의 합성조건은 구리호일 위에 10 nm의 Al2O3 버퍼층과 1 nm 두께의 Fe 촉매층을 증착한 후, 아세틸렌 가스를 이용하여 $800^{\circ}C$에서 20분간 합성한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CNT는 base-growth의 성장형태를 따랐고, Fe 1 nm 두께인 경우, $7.2{\pm}1.5nm$의 촉매나노입자가 형성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800^{\circ}C$에서 20분 성장결과, 직경 8.2 nm, 길이 $325{\mu}m$의 수직배향 CNT를 얻을 수 있었다. 합성시간이 길어져도 CNT의 결정성, 직경 및 겹(wall) 수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끝으로, 구리호일 위에 수직 성장시킨 CNT의 전계방출 특성을 측정한 결과, 실리콘 산화막 위에 성장시킨 CNT와 비교하여, 월등히 낮은 전계방출 문턱전압과 10배 정도 높은 전계향상계수를 보였다. 이는 CNT와 금속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nanotubes (CNT) have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since they have been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areas by virtue of their outstanding physical, electr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order to make full use of their prominent electric conductivity in some areas such as electron emiss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NT의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응용하고자 전도성이 뛰어난 구리기판 위에 CNT의 수직성장 거동을 살펴보았고, 전계방출 특성을 평가하였다. 성장온도와 합 성시간, 촉매층의 두께를 합성변수로 변화시켜서 CNT의 길이, 직경 및 겹(wall) 수를 제어하였고, 실리콘산화막 기판 위에 수직배향 성장시킨 CNT에 비하여 월등히 향상된 전계방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리튬이온이차전지 등의 분야에서 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는 구리 호일을 CNT 합성기판으로 선택하여, 그 위에 수직배향 CNT를 직접 합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다양한 공정변수를 이용하여 CNT성장의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CNT합성의 공정변수로는 합성온도와 합성시간, 촉매층의 두께를 선정하였으며, 수직 성장시킨 CNT의 전계 방출 특성을 측정하여, 기판과의 전기전도특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전계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및 관련분야로의 응용 가능성 또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만일, MWNT의 성장과정이 널리 알려진 대로 촉매 표면에서의 탄소 원(carbon source)의 흡착에서 시작하여 촉매 내부로의 확산 및 과포화 고용된 탄소의 석출에 이르는 과정으로 가정한다면, 본 결과로부터 합성 초기에는 합성과정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탄소가 촉매의 표면에 과도하게 흡착(overcoating)되어 합성과정이 둔화되었음을 유추 할 수 있다 [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리 호일을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등의 분야에서 전극으로 활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탄소나노튜브(CNT)와 합성기판 사이의 전도성 향상을 목적으로, 현재 리튬이온이차전지 등의 분야에서 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는 구리 호일을 합성기판으로 하여, 그 위에 수직배향 CNT 성장의 합성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합성은 수평식 CVD 합성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최적의 합성조건은 구리호일 위에 10 nm의 Al2O3 버퍼층과 1 nm 두께의 Fe 촉매층을 증착한 후, 아세틸렌 가스를 이용하여 $800^{\circ}C$에서 20분간 합성한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CNT를 합성하는 주요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탄소나노튜브(CNT)는 현재 상용되는 재료들보다 우수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밝혀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대체재료로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1]. CNT를 합성하는 주요 방법으로는 아크방전법 (arc discharge)과 레이저증발법(laser ablation),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플라즈마지원 화학기상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등이 있다 [2-6]. 그 중 CVD법은 다른 합성법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합성수율(yield)로 고순도의 CNT를 합성할 수 있다는 점과 CNT의 직경, 길이 및 성장방향과 같은 구조(structures)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화학기상증착법의 장점은? CNT를 합성하는 주요 방법으로는 아크방전법 (arc discharge)과 레이저증발법(laser ablation),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플라즈마지원 화학기상증착법(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등이 있다 [2-6]. 그 중 CVD법은 다른 합성법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합성수율(yield)로 고순도의 CNT를 합성할 수 있다는 점과 CNT의 직경, 길이 및 성장방향과 같은 구조(structures)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 M. Ajayan, Chem. Rev. 99, 1787 (1999). 

  2. D. S. Bethune, C. H. Klang, M. S. de Vries, G. Gorman, R. Savoy, J. Vazquez, and R. Beyers, Science 363, 605 (1993). 

  3. A. Thess, R. Lee, P. Nikolaev, H. Dai, P. Petit, J. Robert, C. Xu, Y. H. Lee, S. G. Kim, A. G. Rinzler, D. T. Colbert, G. E. Scuseria, D. Tomanek, J. E. Fischer, and R. E. Smalley, Science 273, 483 (1996). 

  4. W. Z. Li, S. S. Xie, L. X. Qian, B. H. Chang, B. S. Zou, W. Y. Zhou, R. A. Zhao, and G. Wang, Science 274, 1701 (1996). 

  5. D. B. Geohegan, A. A. Puretzky, I. N. Ivanov, S. Jesse, G. Eres, and J. Y. Howe, Appl. Phys. Lett. 83, 1851 (2003). 

  6. Z. F. Ren, Z. P. Huang, J. W. Xu, J. H. Wang, P. Bush, M. P. Siegal, and P. N. Provencio, Science 282, 1105 (1998). 

  7. S. Fan, M. G. Chapline, N. R. Franklin, T. W. Tombler, A. M. Cassell, and H. Dai, Science 283, 512 (1999). 

  8. J. Park, S. Kyung, and G. Yeom, J. Korean Vacuum Soc. 15, 374 (2006). 

  9. S. I. Jung, S. K. Choi, and S. B. Lee, J. Korean Vacuum Soc. 17, 365 (2008). 

  10. S. W. Lee, S. H Moon, H. S. Yoon, X. Wang, D. W. Kim, I. S. Yeo, U. I. Chung, J. T. Moon, and J. G. Chung, Appl. Phys. Lett. 91, 263101 (2007). 

  11. W. Li, X. Wang, Z. Chen, M. Waje, and Y. Yan, J. Phys. Chem. B 110, 15353 (2006). 

  12. C. Masarapu and B. Wei, Langmuir 26, 9046 (2007). 

  13. W. Yi and Q. Yang, Diam. Relat. Mater. 19, 870 (2010). 

  14. L. Gao, A. Peng, Z. Y. Wang, H. Zhang, Z. Shi, Z. Gu, G. Cao, and B. Ding, Solid State Commun. 146, 380 (2008). 

  15. T. Hiraoka, T. Yamada, K. Hata, D. N. Futaba, H. Kurachi, S. Uemura, M. Yumura, and S. Iijima, J. Am. Chem. Soc. 128, 13338 (2006). 

  16. G. D. Nessim, M. Seita, K. P. O'Brien, A. J. Hart, R. K. Bonaparte, R. R. Mitchell, and C. V. Thompson, Nano Lett. 9, 3398 (2009). 

  17. H. Yoshida, S. Takeda, T. Uchiyama, H. Kohno, and Y. Homma, Nano Lett. 8, 2082 (2008). 

  18. C. T. Wirth, C. Zhang, G. Zhong, S. Hofmann, and Robertson, ACS Nano 3, 11 (2009). 

  19. G. -H. Jeong, N. Olofsson, L. Falk, and E. E. B. Campbell, Carbon 47, 696 (2009). 

  20. S. H. Jo, D. Z. Wang, J. Y. Huang, W. Z. Li, K. Kempa, and Z. F. Ren, Appl. Phys. Lett. 85, 810 (2004). 

  21. D. Q. Duy, H. S. Kim, D. M. Yoon, K. J. Lee, J. W. Ha, Y. G. Hwang, C. H. Lee, and B. T. Cong, Appl. Sur. Sci. 256, 1065 (2009). 

  22. W. Yi and Q. Yang, Diamond. Relat. Mat. 19, 870 (2010). 

  23. S. Talapatra, S. Kar, S. K. Pal, R. Vajtai, L. Ci, P. Victor, M. M. Shaijumon, S. Kaur, O. Nalamasu, and P. M. Ajayan, Nat. Nanotechnol. 1, 11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