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ext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the vegetation and floristic composition by cluste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phytosociological method, to evaluate the species composition, habitat environment and community structure of Liriope platyphylla and Liriope spicata group in Korea. The south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유집분석 (cluster analysis)은 종조성표의 분류법에 따른 식물군락간의 유연관계와 결합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 분석을 위한 자료는 조사구의 우점도 측정치를 Maarel(1979)의 식생등급계급치 (1, 2, 3, 4, 5, 6, 7, 8, 9)로 환산하여 작성하였다.
  • 이 분석을 위한 자료는 조사구의 우점도 측정치를 Maarel(1979)의 식생등급계급치 (1, 2, 3, 4, 5, 6, 7, 8, 9)로 환산하여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한 자료는 식생등급계급치와 동일한 cut level을 적용한 후 전산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집분석의 TWINSPAN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은 Hill(1994)의 ‘DECORANA and TWINSPAN’에 따랐으며, 프로그램은 McCune and Mefford (1999)의 ‘PC-ORD’를 이용하였다.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적정 조사구 크기와 분포지역 선정으로 한반도 맥문동과 개맥문동의 자생지 생육환경과 종조성 및 식생을 분석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의 식생 분석은 한반도 맥문동속의 분포특성은 물론 재배 및 생리 등에 관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식생조사는 Braun-Blanquet (1964)의 우점도와 군도로 측정하였으며, 이외에 군락 분석과 비교의 정보로 이용하기 위하여 나침반, 경사계, 고도계 등으로 여러 환경요소를 조사하였다. 특히 상층부의 우점도와 군도는 나뭇가지가 덮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군락 분석은 Z-M학파의 전통적 추출법(Ellenberg, 1956;Muella-Dombois and Ellenberg, 1974)으로 수행하였고, 종합합성표 (synthesis table)로 나타내 분류하였으며, 무의미한 값을 가지는 계급의 출현식물은 종합합성표에서 제외시켰다 (Zechmeister and Mucina, 1994).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조사의 대상식물은 자생하는 맥문동과 개맥문동이다. 조사지역은 한반도의 북위 38° 이남의 내륙과 도서이며, 조사는 2009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탐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 3%이었다. 수반종은 마삭줄, 쥐똥나무, 진달래, 그늘사초 등이었다.
  • 3%이었다. 수반종은 마삭줄, 청미래덩굴, 보춘화 등이었다.
  • 0%이었다. 수반종은 자금우, 마삭줄, 쥐똥나무, 그늘사초 등이었다.
  • 0%이었다. 수반종은 진달래, 쑥 등이었다.
  • 조사구 (plot)는 상관 (physiognomy)에 의하여 식물의 분포가 비교적 균질한 지점을 선정하였고, 대상식물별 조사구는 맥문동 12지점, 개맥문동 21지점이었다 (Table 1). 방형구는 특정식물에 한정한 식생조사이므로 연구조사 대상식물이 출현하는 범위를 중심으로 3 × 3 m (9 ㎡) 면적을 임의로 설정하였는데, 조사구의 크기를 크게 하면 할수록 생육조건의 차이에 따른 이질적인 식물의 출현이 많아 이를 줄이기 위하여 방형구를 산림의 조사구 크기 15 × 15 m (225 ㎡)의 면적보다 훨씬 작게 하였다.
  • 조사지역은 한반도의 북위 38° 이남의 내륙과 도서이며, 조사는 2009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탐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이론/모형

  • 특히 상층부의 우점도와 군도는 나뭇가지가 덮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군락 분석은 Z-M학파의 전통적 추출법(Ellenberg, 1956;Muella-Dombois and Ellenberg, 1974)으로 수행하였고, 종합합성표 (synthesis table)로 나타내 분류하였으며, 무의미한 값을 가지는 계급의 출현식물은 종합합성표에서 제외시켰다 (Zechmeister and Mucina, 1994).
  • 식생조사는 Braun-Blanquet (1964)의 우점도와 군도로 측정하였으며, 이외에 군락 분석과 비교의 정보로 이용하기 위하여 나침반, 경사계, 고도계 등으로 여러 환경요소를 조사하였다. 특히 상층부의 우점도와 군도는 나뭇가지가 덮고 있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 유집분석의 TWINSPAN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은 Hill(1994)의 ‘DECORANA and TWINSPAN’에 따랐으며, 프로그램은 McCune and Mefford (1999)의 ‘PC-ORD’를 이용하였다.
  • 유집분석 (cluster analysis)은 종조성표의 분류법에 따른 식물군락간의 유연관계와 결합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 분석을 위한 자료는 조사구의 우점도 측정치를 Maarel(1979)의 식생등급계급치 (1, 2, 3, 4, 5, 6, 7, 8, 9)로 환산하여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한 자료는 식생등급계급치와 동일한 cut level을 적용한 후 전산분석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문동속 식물은 어떻게 알려져 있는가? , 1978) 등의 분야에서 많이 수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맥문동속 식물은 항체생산억제 (Mita et al., 1979)와 사포닌 항암활성 (Baek et al., 1998) 연구 등 생약이나 한약재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맥문동속 (Liriope) 식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맥문동속 (Liriope) 식물은 상록성의 다년초로서 10종이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Li et al., 1978), 한반도에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F. T. Wang & T. Tang)과 개맥문동(Liriope spicata (Thunb.) Lour.)이 자생하고 있다.
맥문동속과 맥문아재비속 (Ophiopogon)의 자생지 환경과 식생구조 밝힌 연구의 특징은? 그리고 한반도 맥문동속 식물의 생태학적 연구는 미미하였으나 Shin 등 (2002)은 맥문동속과 맥문아재비속 (Ophiopogon)의 자생지 환경과 식생구조를 식물사회학적으로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맥문동속과 맥문아재비속 식물의 조사지역을 남서부에 편중함과 아울러 중복 분포와 출현을 인정하였음은 물론 조사구를 출현지역의 일원으로 크게 하여 식생구조를 분석한 일면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NI, Cho SJ, Bang MH, Lee IJ, Park CG, Kim MS, Kim KS and Sung JD. (1998). Cytotoxicity of steroid-saponins from the tuber of Liriope platyphylla W.T.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41:390-394.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 Wien, New York, USA. p. 631. 

  3. Chun YM, Lee HJ and Hayashi I. (2007).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257-277. 

  4. Ellenberg H. (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Germany. p. 136. 

  5. Hill MO. (1994). DECORANA and TWINSPAN, fo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variate species data. Huntingdon, England. p. 58. 

  6. Huh MK, Huh HW, Choi JS and Lee BK. (2007).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Liriope platyphylla (Liliaceae) in Korea. Jounal of Life Science. 17:328-333. 

  7. Kim CH, Kang SH and Kil BS. (1994). Classification analysis and gradient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Mudung. Korean Journal of Ecology. 17:471-484. 

  8. Kim SM, Lee CY, Kim YC, Choi IS, Min KK and Seong JD. (2007).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on growth and yield in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48-151. 

  9. Lee WT and Lee CH. (1989). Plant sociological studies o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12:257-284. 

  10. Li HL, Liu TS, Huang TC, Koyama T and DeVel CE. (1978). Flora of Taiwan (5). Epoch Publishing. Taipei, Taiwan. p. 62-64 

  11. Maarel E van der. (1979). Multivariate methods in phytosociology with reference to the Netherlands. In M. J. A. Werger (ed.), The study of vegetation. p. 225. 

  12. McCune B and Mefford MJ. (1999).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 221. 

  13. Mita A, Shida R, Kasai N and Shoji J. (1979). Enhancement and suppression in production of IgM-antibody in mice treated with purified saponins. Biomedicine. 31:223-227. 

  14. Muella-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p. 547. 

  15. Palibin J. (1901). Conspectus florae Koreae III. Acta Horti Petrop. 19:101-151. 

  16. Shin JS, Kim WH and Kim JH. (2002).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Ophiopogon and Liriope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5:21-31. 

  17. Song HS and Cho W. (2007).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356-365. 

  18. Tanaka T, Mizuno M, Noro Y and Kimura K. (1978). Pharmacognostical studieis on Mai-Men-Tung originated from Ophiopogon. Shoyakugaku Zasshi. 32:136-148. 

  19. Zechmeister H and Mucina L. (1994). Vegetation of european springs;High rank syntaxa of the Montio-Cardaminetea.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5:385-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