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방안 연구
A Research for Administration Strategies of English Reading Programs at Public Children's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5 no.1, 2011년, pp.395 - 415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공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타당성, 문제점 및 효과성을 평가하고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사례로 서울시 소재 공공어린이도서관인 'S 어린이도서관'의 학부모 및 프로그램 참가 아동을 대상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 및 프로그램 관찰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tends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suitability of English reading programs at public children's libraries and provide their effective administration strategies.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operational practices of public children's library programs. Further, it con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및 적합성 그리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적절성, 독서프로그램과 아동의 학업 성과, 인지 및 창의성 발달과의 관계, 공공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효과성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공공어린이도서관 중 2010년 겨울방학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도서관에서 학부모 및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및 아동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해 영어독서지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확산 추이 및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 현황 조사에서는 공공(일반)도서관의 어린이 대상 영어독서프로그램은 제외하였으며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 현황만을 포함시켰다.
  • 셋째, 영어독서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운영사례 조사를 통해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효과성을 평가한다. 아울러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 전국의 대부분 공공도서관에서는 연중 실시되는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외에도 여름,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독서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어린이들에게 독서의 즐거움과 필요성을 깨닫게 해줄 뿐 아니라 책과 도서관에 대한 친밀감을 갖게 하여 평생 학습자로 유도하는데 있다. 최근 몇 년간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에 괄목할 만한 변화라 할 수 있는 것이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급격한 증가이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공공어린이도서관 중 2010년 겨울방학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도서관에서 학부모 및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학부모 및 아동들의 인식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해 영어독서지도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어린이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러한 영어독서프로그램이 어린이를 평생학습자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교육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독서교육이 아동의 학습능력, 인지 발달 및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은 여러 학자들의 연구에서 입증된 바 있다(조미아 2006; 송정숙, 한승록 2007; Krashen 1995, 2004). 인지(cognition)란 인간의 감각기관과 지각 기관을 통해 외부에서 받아들인 정보를 인간의 두뇌내의 작용에 의해, 창의적, 상징적, 논리적, 지적 사고 과정을 하도록 분석, 종합, 구체화하는 일체의 정신활동을 포함한다.
독서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전국의 대부분 공공도서관에서는 연중 실시 되는 어린이 독서프로그램 외에도 여름, 겨울방학을 이용하여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독서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어린이들에게 독서의 즐거움과 필요성을 깨닫게 해줄 뿐 아니라 책과 도서관에 대한 친밀감을 갖게 하여 평생 학습자로 유도하는데 있다. 최근 몇 년간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에 괄목할 만한 변화라 할 수 있는 것이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급격한 증가이다.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조사함으로써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및 적합성 그리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본 연구 조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조사를 통해 아직 모국어에 대한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에게 한국어 책이 없는 영어도서관 환경만을 제공하거나 모국어로 이루어지는 독서지도와 병행하지 않는 영어독서지도를 제공할 경우 언어 학습 및 독서교육의 효과성에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논의되었다. 아울러 공공어린이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영어독서프로그램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아동의 인지 발달 및 흥미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전국의 70개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 독서프로그램 조사 결과 60%에 해당하는 도서관이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독서프로그램 운영의 주요 대상은 7세 미만의 유아 혹은 초등학교 저학년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스토리텔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영어교육을 위한 연령별 프로그램, 동화극과 같은 체험프로그램 등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 도서관의 경우 영어독서프로그램의 목적, 강사, 내용, 레벨 등이 매우 다양하며 표준화되거나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독서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셋째, 공공어린이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운영사례 조사결과 학부모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는 대체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의 수월성에도 다소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많은 학부모들은 영어독서프로그램의 수가 증가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을 다양화 시킬 필요가 있다는 반응을 보여주었다. 넷째. 겨울방학 영어독서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한 느낌이나 흥미 정도에 대부분 응답자가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영어독서프로그램을 공부로 인식하는 정도 및 참여 동기에 대한 문항에 대하여 응답자 대부분은 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을 여전히 공부로 인식하고 있으며 영어공부를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술형 문항에서 ‘도서관의 영어독서프로그램에 대하여 가장 만족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재미있다’, ‘숙제가 없어서 좋다’, ‘선생님이 좋다’ 등으로 응답하여 도서관 프로그램을 공부로 인식하면서도 다른 영어수업에 비해 비교적 스트레스를 덜 받고 즐겁게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의 영어 독서프로그램 참가아동 설문조사 결과는 응답자 총 19명에 대한 것으로 보편화 하기는 어려우며 특히 ‘S 어린이도서관’의 지역적 특성이 수도권지역의 중상위권 아파트 밀집지역에 위치하였고 학부모의 교육열이 매우 높은 지역임을 감안할 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도 많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수도권 뿐 아닌 지방지자체 소속의 어린이도서관을 연구 대상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조사대상 도서관 수 및 조사대상자 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Gukka Doseogwan Tonggye Siseutem. .) 

  2. 송정숙, 한승록. 2007. 초등학생의 독서활동과 창의성 및 학업적 자아개념의 관계. 교육연구, 21:72-101.(Song, Jeong-Sook & Han, Seung-Rock. 2007.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behavior and creativity, academic self-concep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72-101.) 

  3. 신의진. 2002. 조기교육과 발달 병리적 문제.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29-42.(Shin, Yee Jin. 2002. “Jogi gyoyukkwa baldal byeonglijeog munje.”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chungye hagsul daehoe jalyojib, 29-42.) 

  4. 우남희, 서아람. 2010. 그림책과 플래시카드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 방법의 비교분석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2): 23-47.(Woo, Nam Hee & Seo, Ah Ram.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ing English for young children with different methods: Picture-book and flash card.”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7(2): 23-47.) 

  5. 우남희, 서유현, 강영은. 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정책연구과제, 2002-16. 서울: 교육인적자원부.(Woo, Nam Hee, Suh, Yoo Hun, & Kang, Young En. 2002. Yeongyuae Daehan Jogi Yeongeo Gyoyugui Jeogjeolseonge Gwanhan Yeongu. Jeongchaek Yeongu Gwaje, 2002-16. Seoul: Ministry of Educational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6. 이귀옥, 우남희. 2008. 유아의 영어수준이 모국어 수준 및 영어경험과 상관이 있는가? 이중언어학, 38: 305-340.(Lee, Kwi Ok & Woo, Nam Hee. 2008. “Are there any relations between young children's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experience of leaning English?” Bilingual Research, 38: 305-340.) 

  7. 이명조. 1995. 유치원에서의 영어조기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107-126.(Lee, Myeong Jo. 1995. “Yuchiwoneseoui yeongeo jogi gyoyug.”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 107-126.) 

  8. 전예화. 2003. 영어교육 어릴수록 효과적인가? 유아교육연구, 20(2): 136-166.(Jun, Ye-Hwa. 2003. “Do younger children have an advantage over older children in learning English a foreign language?” Journal of Early Child Education, 20(2): 136-166.) 

  9.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53-71.(Cho, Mi-Ah. 2006. “A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instruction on the creative ability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53-71.) 

  10. 한유미, 조복희. 1999. 유아의 모국어 능력, 외국어 경험 정도와 상위언어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0(3): 199-216.(Han, You Me & Cho, Bok Hee. 1999. “Relationships among language ability, foreign languagelearning experience, and metalinguistic ability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3): 199-216.) 

  11. 한윤옥. 2008.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서울: 한국도서관협회.(Han, Yoon-Ok. 2008. Dogseo Gyoyukkwa Jaryoui Hwalyong.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12. 함정현, 김종남. 2010. 농촌지역 영어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방안. 농촌지도와 개발, 17(2): 261-277(Ham, Joung Hyun, & Kim, Jong Nam. 2010. “A study on application of English library to improve for English education envioronment in rural a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7(2): 261-277.) 

  13. 홍현진 외. 2009. 어린이도서관 프로그램 개발과 운용을 위한 도서관 실태조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53-90.(Hong, Hyun-Jin, et al. 2009. “An analysis of the state of libraries in pursuit of the efficient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hildren's library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53-90.) 

  14. 황혜신. 2004. 조기 영어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3(4): 497-506.(Hwang, Hae Shin. 2004. “The influe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on children's bilingual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3(4): 497-506.) 

  15. Campbell, R. & Sais, E. 1995. “Accelerated metalinguistic(phonological) awareness in bilingual children.”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3: 61-68. 

  16. Chomsky, N. 1972. Language and mind. New York: Harcourt Brace & Jovanovich. 

  17. Danley, Elizabeth. 2003. “The public children's librarian as educator.” Public Libraries, 42(2):98-101. 

  18. Elley, W. 2000. “The potential of book floods for raising literacy level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46(3): 233-255. 

  19. Krashen, Stephen D. 1995. “School libraries, public libraries, and the NAEP reading scores.”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23: 235-238. 

  20. Krashen, Stephen D. 2004. The Power of Reading: Insights from the Research. 2nd ed.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21. Stewart, Mark R. 2004. “Phonological awareness and bilingual preschoolers: Should we teach it and, if so,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2(1): 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