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북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편마암류의 지구화학적 연구
Geochemistry of the Gneisses in the Jangsu Area, Jeonbuk,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hosun Natural Science = 조선자연과학논문집, v.4 no.1, 2011년, pp.58 - 71  

손정모 (전남발전연구원) ,  신인현 (조선대학교) ,  안건상 (조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cambrian gneisse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Jangsu a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metamorphic mineral assemblages and metamorphic P-T conditions of the gneiss. We have analyzed garnet, biotite and plagioclase among the gneiss through the EPMA analysis, and calculated the metamorphic tem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마암류가 경험한 변성온도와 압력을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결과를 정리해보면 어떻게 되는가? 지금까지 연구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지역에서 산출되는 석류석의 대부분 알만딘-파이로프 고용체를 보이며, 일부는 석류석에서 알만딘-스페살틴, 알만딘-그로슐라의 고용체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석류석 결정 내부에서 알만딘의 함량이 주변부와 중심부가 소폭의 변화를 보이지만, 그 변화가 미미해 석류석의 성장은 거의 일정했다고 추정된다. 사장석 성분은 올리고클레이스-안데신 영역(An=17-43)으로 연구지역의 북부에 위치한 김천-상주의 사장석 성분 범위보다 넓다. 분석된 광물의 화학성분을 지온지압계에 적용해 보면 본역의 변성작용은 남정석의 안정영역인 8 kbar, 600oC에서 최고에 도달한 다음, 규선석이 안정한 온도에도 압력이 하강하는 후퇴변성을 거쳐 홍주석의 안정영역인 4 kbar, 500oC에서 변성작용이 끝나는 시계방향의 변성과정을 경험했다. 이러한 변성경로는 본 연구지역 주변의 변성경로와도 유사하며, 덕유산 지역에서 규선석과 남정석이 발견되었다는 보고와도 조화를 이룬다.
소백산육괴는 무엇을 중심으로 경기육괴와 분리되어 있는가? 소백산육괴는 한반도의 선캠브리아대의 기반으로 옥천습곡대를 중심으로 경기육괴와 분리되어 있다. 소백산육괴는 경기육괴와는 달리 화성기원으로 보이는 편마암류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나기창, 1998).
한반도의 선캄브리아기 기반암은 어떻게 보고되는가? 소백산육괴(영남육괴)는 지리적으로 태백산지역의 북동부, 김천일대의 중앙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하는 남서부로 나눌 수 있다(송용선, 1986). 한반도의 선캄브리아기 기반암은 최고 백립암상에 이르는 변성작용을 겪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광진과 조문섭, 1992, 조문섭과 김종욱, 1993; 송용선과 류호정, 1994; 조윤호 외, 1996; Lee et al., 1997; 권용완 외, 1997,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용완, 김형식, 오창환, "경기육괴 북동부지역에 분포하는 오대산편마암복합체의 다변성작용", 암석학회지, Vol.6, no. 3, p. 22, 1997. 

  2. 권용완, 신의철, 오창환, 김형식, 강지훈, "풍기지역 소백산편마암복합체의 백립암상 변성작용", 암석학회지, Vol.8, no.3, p. 183, 1999. 

  3. 김규봉, 최위찬, "1/50,000 함양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p. 16, 1994. 

  4. 김동학, 이병주, "1/50,000 남원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40, 1984. 

  5. 김옥준, 윤석규, 박양대, 이하영, 홍만섭, 박희인, 김기태, "1/50,000 운봉도폭 지질보고서", 경상남도, p. 18, 1964. 

  6. 김주봉, 최위찬, 황재하, 김정환, "1/50,000 오수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38, 1984. 

  7. 송용선, 류호정, "지리산일대 소백산편마암체의 다변성작용", 한국암석학회 2차 학술발표회 요약집, p. 20, 1994. 

  8. 송용선, 이상만, "소백산육괴 중앙부 선캠브리아 변성암류의 암석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Vol. 25 no.4, p. 451, 1989. 

  9. 송용선, "소백산육괴 중앙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서의 흑운모-석류석 지온계", 이상만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p. 155, 1986. 

  10. 송용선, "소백산육괴 서남부 지리산지역의 반상변정 질편마암에서 산출되는 백립암질 포획암", 암석학회지, Vol. 8, no. 1, p. 34, 1999. 

  11. 이광진, 조문섭, "가평-청평지역 경기육괴의 변성작용", 암석학회지, Vol. 1, no.1, p. 1, 1992. 

  12.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250,000 광주지질도폭설명서", 과학기술부, p. 47, 1997. 

  13. 이상만, "지리산(하동-산청)지역의 변성니질암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Vol. 16, no.1, p. 1. 1980. 

  14.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이상원, "소백산육괴(동남부)의 변성암복합체에 대한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Vol. 20, no. 3, p. 169, 1981. 

  15. 이상원, "소백산육괴 서남부(구례-곡성-남원)의 편마암복합체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ol. 8, p. 285, 1984. 

  16. 이상원, "지리산지역 편마암류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ol. 9, p. 53, 1984. 

  17. 이상원,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편마암복합체의 변성 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논문집, Vol. 10, p. 229, 1985. 

  18. 이상원,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편마암복합체의 변성 작용에 관한 연구", 이상만 교수 송수기념 논문집, p. 133, 1986. 

  19. 이춘희, 이상원, 옥수석, 송용선,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잔류반상 화강편마암의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Vol. 22, no. 6, p. 528, 2001. 

  20. 이호선, "소백산육괴 중부지역 김천일대에 분포하는 선캠브리아기 편마암류의 기원과 저어콘 CHIME 연대",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 101, 2000. 

  21. 정증효, "하동-산청지역의 정편마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22. 조문섭, 김종욱, "춘천-홍천지역 용두리 편마암 복합체내에 산출하는 남정석", 암석학회지, Vol. 2, no.1, p. 1, 1993. 

  23. 조윤호, 조문섭, 이승렬, "청평-양평지역에 분포하는 근청석편마암의 백립암상 변성작용과 P-T 진화 경로", 암석학회지, Vol. 5, no. 1, p. 52, 1996. 

  24. 최유구, 정창희, 이대성, 김서운, 김수진, "1/50,000 단성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p. 28, 1964. 

  25. 홍승호, 윤욱, "1/50,000 장계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p. 17, 1993. 

  26. J. M. Ferry and F. S. Spear, "Experimental calibration of the partitioning of Fe and Mg between biotite and garnet, 66", Contributions to the Mineralogy and Petrology, Vol. 66, p. 113, 1978. 

  27. T. D. Hoisch, "Empirical calibration of six geobarometers for the mineral assemblage quartz+muscovite+ biotite+plagioclase+garnet", Contribution to the Mineralogy and Petrology, Vol. 104, p. 225, 1990. 

  28. M. J. Holdaway, "Stability of andalusite and the aluminium silicate phase diagram", American Journal of Science, Vol. 271, p. 97, 1971. 

  29. M. J. Holdaway and S. M., Lee, "Fe-Mg cordierite stability in high-grade rocks based on experimental, theoretical and natral observations", Contributions to the Mineralogy and Petrology, Vol. 63, p. 175, 1977. 

  30. A. Indres and J. Martingnole, "Biotite-garnet geo-thermometry in the granulite facies: The influence of Ti and Al in biotite", American Mineralogist, Vol. 70, p. 272, 1978. 

  31. I. V. Lavent'eva, and ,Phase correspondence in the system biotite-garnet experimental data", Doklady Akademii nauk SSSR, Vol. 260, p. 731, 1983. 

  32. L. L. Perchuck and I. V. Lavrent'eva,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xchange equilibria in the system cordierite-garnet-biotite, In Saxena, S.K.,(ed.), Kinetics and Equilibrium in Mineral Reactions", Advances in Physical Geochemistry, Springer, New York, USA, p, 199,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