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라이다를 이용한 암반사면 불연속면거칠기에 대한 확률특성 분석
Analysis of Random Properties for JRC using Terrestrial LiDAR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21 no.1 = no.67, 2011년, pp.1 - 13  

박성욱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박혁진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불연속면의 거칠기는 암반사변의 안정성 해석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특히 암반사변에 대한 확률론적 안정성 해석에서는 파괴확률의 결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확률변수이다. 확률변수로서의 거칠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거칠기 자료가 요구되나 기존의 육안조사는 조사위치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자료의 획득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육안조사가 가지는 조사위치 및 조사수량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상라이다를 활용하여 거칠기의 자료를 획득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절리면거칠기의 정량적인 산정을 위하여 지상라이다로부터 얻어진 수치자료에 대해 통계파라미터를 이용한 변환과정을 거쳐 절리면거칠기를 얻었다. 불연속면의 거칠기에 대한 확률특성인 평균, 표준편차, 분포함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였으며, 기존 육안검사방법에 비해 정량적인 많은 자료를 얻는데 있어 지상라이다가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int rough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in analysis of rock slope stability. Especially in probabilistic analysis, the random properties of joint roughness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slope failure. Therefore, a large dataset on joint roughness is required for the probabilistic anal...

주제어

참고문헌 (10)

  1. 김열, 2005, 절리면 거칠기 정량화에 대한 연구, 석사논문, 강원대학교, 9-39. 

  2. 천병식, 김대영, 2001, 암석 절리면 거칠기의 정량화에 대한 수치적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17(1), 85-97. 

  3. Barton, N.R. and Choubey, V., 1977, The shear strength of rock joints in theory and practice, J. of Rock Mech, 10, 1-54. 

  4. Filliben, J.J., 1975, The Probability Plot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for Normality, Technometrics, American Society for Quality, 17(1), 111-117 

  5. Haldar, A. and S. Mahadevan, 2000, Probability, Reliability, and Statistical Methods in Engineering Design, John Wiley and Sons, 112-117. 

  6. Kulatilake, P.H.S.W., G. Shou, T.H. Huang and R.M. Morgan, 1995, New peak shear strength criteria for anisotropic rock joints, Int. J. Rock Mech. Min. Sci. and Geomech. Elsevier Science Ltd., 32(7), 673-697. 

  7. Myers, N.O., 1962, Characteristics of surface roughness, Wear 5, 182-189. 

  8. Patton, F.D., 1966, Multiple modes of shear failure in rock. Proc. 1st confr. Int. Soc. Rock Mech., Lisbon 1, 509-513. 

  9. Rieger, P., Ullrich, A. and Reichert, R., 2010, Laser scanners with echo digitization for full waveform analysis, RIEGL LMS GmbH, 3-4. 

  10. Tse, R. and Cruden, D.M., 1979, Estimating joint roughness coefficients. Int. Journal of Rock Mech. Min. Sci. Geomech. 16, 303-3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