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주위 연조직의 3차원적 변화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using 3-D laser scanner 원문보기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v.41 no.6, 2011년, pp.411 - 422  

이원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이기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기형 연구소) ,  유형석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기형 연구소) ,  백형선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두개안면기형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심한 골격적 부조화가 존재하지 않는 18세 이상, 29세 미만의 성인 환자 중 포괄적 교정 치료를 위하여 상, 하악 치아의 순측에 브라켓을 접착한 45명을 대상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직전과 직후의 3차원 입체 영상을 획득하였다.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3차원 좌표계 상에서 분석하였다. 3차원 변화량(distance: 동일 계측점 간의 변화에 대한 최단 거리)에서 유의성을 보인 모든 계측점에서 전방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측면 계측점들은 측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상순의 계측점들은 상방으로, 하순의 계측점들과 B'는 하방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하순의 Li (labrale inferius)에서 1.39 mm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고 ($p$ < 0.01), Li Rt (labrale inferius right), Li Lt (labrale inferius left)에서 1.15 mm, 1.09 mm의 변화가 나타났다 ($p$ < 0.01). 상순의 양측 ULP (upper lip point), Ls (labrale superius), Ls Rt (labrale superius right), Ls Lt (labrale superius left)에서 0.81 mm, 0.85 mm, 0.82 mm, 0.97 mm, 0.92 mm의 변화를 보여 ($p$ < 0.01), 하순에 비하여 상순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다. 양측 Ch (cheilion)과 Stm (stomion)에서 1.17 mm, 1.16 mm, 1.02 mm ($p$ < 0.01), Sn (subnasale)와 B' (soft tissue B point)에서 0.46 mm, 0.63 mm ($p$ < 0.01, $p$ < 0.05)의 변화가 나타났다. 브라켓의 종류에 따른 연조직 변화량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성인 교정 환자에서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 변화의 예측에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changes after bracket bonding. Methods: The soft tissue changes in 45 adult patients (age greater than 18 years and less than 29 years) without severe skeletal discrepancy were evaluated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정치료의 목적은 치아와 악골을 포함한 경조직 관계의 개선을 통하여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고 치료 결과를 유지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안모는 연조직을 통하여 표현되므로 교정의와 환자는 교정치료 전후의 입술과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 하지만 브라켓 접착에 의한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교정의는 주관적인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브라켓의 접착에 의한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및 주위 연조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전과 후의 3차원 입체모델을 형성하고 이를 중첩하여 연조직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 환자의 포괄적 교정치료를 위하여 상, 하악 치아의 순면에 브라켓을 접착한 환자를 대상으로,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브라켓의 접착 전후 입술 및 입술 주위 연조직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정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교정치료의 목적은 치아와 악골을 포함한 경조직 관계의 개선을 통하여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고 치료 결과를 유지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안모는 연조직을 통하여 표현되므로 교정의와 환자는 교정치료 전후의 입술과 입술 주위 연조직의 변화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입술 주위 근육의 긴장이나 이완에 대해 다양한 연구를 하는 이유는? 입술 주위 근육(perioral musculature)에는 입둘레근(orbicularis oris), 볼근(buccinator), 윗입술 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입꼬리 올림근(levator anguli oris), 아랫입술 내림근(depressor labii inferioris), 입꼬리 내림근(depressor anguli oris), 턱끝근(metalis) 등 다양한 근육들이 있다. 이러한 근육들의 긴장이나 이완은 치료 전후 입술의 형태 비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학들은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보고 하였다. Oliver17는 입술을 이완시킬 경우 재현성이 낮아진다고 하였고, Erbay 등18은 일반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입술을 가볍게 다문 상태로 지내므로 입술을 가볍게 다물고 촬영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입술 주위 근육에는 무엇이 있는가? 입술 주위 근육(perioral musculature)에는 입둘레근(orbicularis oris), 볼근(buccinator), 윗입술 올림근(levator labii superioris), 입꼬리 올림근(levator anguli oris), 아랫입술 내림근(depressor labii inferioris), 입꼬리 내림근(depressor anguli oris), 턱끝근(metalis) 등 다양한 근육들이 있다. 이러한 근육들의 긴장이나 이완은 치료 전후 입술의 형태 비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선학들은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보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KS, Kim YJ, Lee KH, Kim YH, Kook YA. Level of perception of changed lip protrusion and asymmetry of the lower facial height. Korean J Orthod 2006;36:434-441. 

  2. Lee JS, Choy K, Park YC, Kim KH. Changes in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after bracket removal. Korean J Orthod 2007; 37:125-136. 

  3. Arnett GW, Jelic JS, Kim J, Cummings DR, Beress A, Worley CM Jr, et al.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dentofacial deformi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9;116:239-253. 

  4. Baumrind S. Integrate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mapping: background, principles, and perspectives. Semin Orthod 2001;7:223-232. 

  5. Brown T, Abbott AH. Computer-assisted location of reference points in three dimensions for radiographic cephalometr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5:490-498. 

  6. Arridge S, Moss JP, Linney AD, James DR. Three dimensional digitization of the face and skull. J Maxillofac Surg 1985;13:136-143. 

  7. Kanazawa E, Kamiishi H. Evaluation of facial osteotomy with the aid of Moire contourography. J Maxillofac Surg 1978; 6:233-238. 

  8. Ayoub A, Garrahy A, Hood C, White J, Bock M, Siebert JP, et al. Validation of a vision-based, three-dimensional facial imaging system. Cleft Palate Craniofac J 2003;40:523-529. 

  9. Han SY, Baik HS, Kim KD, Yu HS. Facial soft tissue measuring analysis of normal occlusion using three-dimensional CT imaging. Korean J Orthod 2005;35:409-419. 

  10. Park SH, Yu HS, Kim KD, Lee KJ, Baik HS. A proposal for a new analysis of craniofacial morphology by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6;129:600.e23-34. 

  11. Moss JP, Linney AD, Grindrod SR, Arridge SR, Clifton JS. Three-dimensional visualization of the face and skull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and laser scanning techniques. Eur J Orthod 1987;9:247-253. 

  12. Kusnoto B, Evans CA. Reliability of a 3D surface laser scanner for orthodontic applicat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2:342-348. 

  13. Baik HS, Lee HJ, Lee KJ. A proposal for soft tissue landmarks for craniofacial analysis using 3-dimensional laser scan imaging. World J Orthod 2006;7:7-14. 

  14. Baik HS, Jeon JM, Lee HJ. Facial soft-tissue analysis of Korean adults with normal occlusion using a 3-dimensional laser scanner.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7;131: 759-766. 

  15. Baik HS, Kim SY. Facial soft-tissue changes in skeletal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analyzed with 3-dimensional laser scanning.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10;138: 167-178. 

  16. Kau CH, Zhurov A, Richmond S, Bibb R, Sugar A, Knox J, et al. The 3-dimensional construction of the average 11- year-old child face: a clinical evaluation and application. J Oral Maxillofac Surg 2006;64:1086-1092. 

  17. Oliver BM. The influence of lip thickness and strain on upper lip response to incisor retraction. Am J Orthod 1982;82:141-149. 

  18. Erbay EF, Caniklioglu CM, Erbay SK. Soft tissue profile in Anatolian Turkish adults: Part I. Evaluation of horizontal lip position using different soft tissue analyse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2;121:57-64. 

  19. Burstone CJ. Lip pos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reatment planning. Am J Orthod 1967;53:262-284. 

  20. Hillesund E, Fjeld D, Zachrisson BU. Reliability of soft-tissue profile in cephalometrics. Am J Orthod 1978;74:537-550. 

  21. Day CJ, Robert T.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the facial soft tissue changes that occur postoperatively in orthognathic patients. World J Orthod 2006;7:15-26. 

  22. Soncul M, Bamber MA. Evaluation of facial soft tissue changes with optical surface scan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Class III deformities. J Oral Maxillofac Surg 2004;62:1331-1340. 

  23. McCance AM, Moss JP, Fright WR, Linney AD, James DR. Three-dimensional analysis techniques--Part 2: Laser scanning: a quantitative three-dimensional soft-tissue analysis using a color-coding system. Cleft Palate Craniofac J 1997;34: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