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되먹임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가 30%체중지지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back Methods and Ambulatory Assistive Aids on Accuracy of Partial Weight Bear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4, 2011년, pp.207 - 214  

박은영 (전주대학교 중등특수교육) ,  김원호 (울산과학대학 물리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30%체중지지 수행력이 되먹임 형태와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체중지지 훈련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명의 건강한 성인이 참여하였으며, 겨드랑이 목발과 바퀴보행기를 이용하여 3점 보행을 하는 동안 오른쪽 발에 체중의 30%만 부하하도록 하였다. 훈련을 위해 동적 되먹임과 정적 되먹임을 제공하였다. 훈련 직후와 훈련 3일 후, 보행 동안 %체중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힘판을 이용하였고 보행관련 변수를 측정하기 GAITRite를 사용하였다. 30%체중지지의 정확성은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고 동적 되먹임을 받았을 때가 가장 정확하였다(p>0.05). 보행보조도구와 되먹임 형태에 따라 %체중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훈련 직후와 훈련 3일후의 %체중지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보행속도와 입각기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효과적인 체중지지 훈련을 위해서는 가능한 경우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여 동적 되먹임을 통한 %체중지지를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feedback methods and ambulatory assistive aids on accuracy of partial weight bearing in healthy adults. Twenty subjects were recruited and trained to 30% weight bearing of body weight (BW) using 3-point gait crutches and wheeled walker patter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부분 체중지지 능력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되먹임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에 따라 부분 체중지지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정확하게 30%체중지지를 할 수 있는지, 동적 및 정적 되먹임 훈련방법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에 따라 %체중지지가 차이를 보이는지, 훈련 직후와 3일후 %체중지지가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겨드랑이 목발과 바퀴보행기에 따라 보행관련 변수가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는 것이었다.
  • 하지만, 이전 연구들은 체중계를 사용하여 정적 되먹임을 주로 제공하고 동적 환경에서 결과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되먹임의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30%체중지지 수행력이 되먹임 형태와 보행보조도구에 따라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훈련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 이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되먹임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에 따라 30%체중지지의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30%체중지지의 정확성은 정적 되먹임보다는 동적 되먹임이 바퀴보행기보다는 겨드랑이 목발을 이용하는 것이 높았다.
  • 이 연구는 부분 체중지지 능력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되먹임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에 따라 부분 체중지지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정확하게 30%체중지지를 할 수 있는지, 동적 및 정적 되먹임 훈련방법과 보행보조도구의 형태에 따라 %체중지지가 차이를 보이는지, 훈련 직후와 3일후 %체중지지가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겨드랑이 목발과 바퀴보행기에 따라 보행관련 변수가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중지지를 줄이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지 골절, 질병, 또는 수술 후 안정적인 회복을 위해 하지를 통한 체중지지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1]. 체중지지를 줄이는 방법에는 비-체중지지에서부터 발가락닿기 체중지지(toe-touch weight bearing), 부분(partial) 체중지지 등의 형태가 있다. 체중지지비율은 손상의 심각성, 손상부위, 손상 및 수술 후 경과시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2].
Dabke가 6명의 건강한 사람과 하지골절이나 수술을 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힘판을 보행하는 동안 특정 %의 체중지지여부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대상자들은 체중계를 이용하여 특정 %의 체중지지를 정적 되먹임을 통해 훈련받았다. 그 결과 건강한 성인 중 4명과 환자 중 21명은 특정 %체중지지보다 높게 체중지지를 하였다. 저자는 대상자들이 특정 %의 체중지지를 잘 수행하지 못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Vasarhelyi 등[12] 역시 정적 되먹임을 체중계를 통해 실시하고 보행 중 특정 %체중지지를 연구한 결과, 환자뿐만 아니라 건강한 성인도 특정 %의 체중지지를 수행하기 힘들다고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의 제한점은 대상자들에게 체중계를 이용하여 정적 되먹임을 제공하면서 훈련을 실시하고, 훈련효과를 위한 검증은 보행 동안 동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부분 체중지지를 위한 되먹임 훈련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치료사들은 부분 체중지지비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환자에게 부분 체중지지방법을 교육하고 있다. 부분 체중지지를 위한 되먹임 훈련방법에는 언어적 지시[5], 환자의 발밑에 치료사의 손을 넣어 교육하는 방법[7] 같은 주관적인 것과 체중계[2] 또는 사지부하감지기(limb load monitor)[8], 힘판(force plate) 같은 장비[7]를 이용하는 객관적인 방법이 있다. 이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체중계를 이용하는 방법[9]이지만, 훈련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Vasarhelyi, T. Baumert, C. Fritsch, W. Hopfenmuller, G. Gradl, and T. Mittlmeier, "Partial weight bearing after surgery for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Is it achievable?," Gait & Posture, Vol.23, No.1, pp.99-105, 2006. 

  2. M. H. Cameron and L. G. Monroe,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St. Louis, Saunders Co., pp.209-210, 2007. 

  3. W. B. Robertson, H. Gilbey, and T. Ackland, Standard practice exercise rehabilitation protocols for Matrix Induced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Femoral Condyles, Hollywood Functional Rehabilitation Clinic Pub, 2004. 

  4. G. Rubin, O. Monder, R. Zohar, A. Oster, O. Konra, and N. Rozen, "Toe-touch weight bearing: myth or reality?," Orthopedics, Vol.11, No.10, p.729, 2010. 

  5. H. L. Hurkmans, J. B. Bussmann, R. W. Selles, E. Benda, H. J. Stam, and J. A. Verhaar,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prescribed weight bearing of total hip patients with a trochanteric osteotomy: Long term vertical force measurements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8, No.2, pp.200-206, 2007. 

  6. H. L. Hurkmans, J. B. Bussmann, E. Benda, J. A. Haisma, J. A. Verhaar, and H. J. Stam, "Predictors of partial weight-bearing performance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J. Rehabilitation Medicine, Vol.42, No.1, pp.242-48, 2010. 

  7. F. B. Gray, C. Gray, and J. W. McClanahan, "Assessing the accuracy of partial weightbearing instruction," American Journal of orthopedics, Vol.27, No.8, pp.558-560, 1998. 

  8. J. J. Gapsis, M. Grabois, R. M. Borrell, S. A, Menken, and M. Kelly, "Limb load monitor: Evaluation of a sensory feedback device for controlled weight bear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63, No.1, pp.38-41, 1982. 

  9. A. Malviya, J. Richards, R. K. Jones, A. Udwadia, and J. Doyle, "Reproducibilty of partial weight bearing," Injury, Vol.36, No.4, pp.556-559, 2005. 

  10. J. R. Ebert, T. R. Ackland, D. G. Lloyd, and D. J. Wood, "Accuracy of partial weight bearing after 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9, No.8, pp.1528-1534, 2008. 

  11. H. V. Dabke, S. K. Gupta, C. A. Holt, P. O'Callaghan, and C. M. Dent, "How accurate is partial weight bearing?,"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Vol.421, pp.282-286, 2004. 

  12. A. Vasarhelyi, T. Baumert, C. Fritsch, W. Hopfenmuller, G. Gradl, and T. Mittlmeier. "Partial weight bearing after surgery for fractures of the lower extremity: Is it achievable?," Gait & Posture, Vol.23, No.1, pp.99-105, 2006. 

  13. I. Klopfer-Kramer and P. Augat. "Partial weight-bearing in rehabilitation: Strategies for instruction and limitations," Der Unfallchirurg. Vol.113, No.1, pp.14-20, 2010. 

  14. B. C. Clark, T. M. Manini, N. R. Ordway, and L. L. Ploutz-Snyder, "Leg muscle activity during walking with assistive devices at varying levels of weight bear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5, No.9, pp.1555-1560, 2004. 

  15. S. Li, C. W. Armstrong, and D. Cipriani, "Three-point gait crutch walking: Variability in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weight bear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2, No.1, pp.86-92, 2001. 

  16. J. W. Youdas, B. J. Kotajarvi, D. J. Padjett, K. and R. Kaufman, "Partial weight bearing gait using conventional assistive devic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6, No.3, pp.94-39, 2005. 

  17. T. Perren and P. Matter, "Feedback-controlled weight bearing following osteosynthesis of the lower extremity," Swiss Surgery, Vol.2, No.6, pp.252-258, 2001. 

  18. 김장환, 박윤서, 송준찬, 의지.보조기학, 탑메디오피아, 2006. 

  19. J. R. Ebert, D. G. Lloyd, A. Smith, T. Ackland, and D. J. Wood, "The association between external-ground-reaction force and knee-joint kinetics during partial and full-weight-bearing gait," Clinical Biomechanics, Vol.25, No.4, pp.359-364, 2010. 

  20. C. J. Winstein, P. S. Pohl, C. Cardinale, A. Green, L. Scholtz, and C. S. Waters, "Learning a partial-weight-bearing skill: Effectiveness of two forms of feedback," Physical Therapy, Vol.76, No.9, pp.985-993, 1996. 

  21. A. Shumway-Cook and M. H. Woollacott, Motor Control: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1. 

  22. Z. Pataky, D. De Leon Rodriguez, A. Golay, M. Assal, J. P. Assal, and C. A. Hauert, "Biofeedback training for partial weight bearing in patients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0, No.8, pp.1435-1438, 2009. 

  23. C. G. Holder, E. M. Haskvitz, and A. Weltman. "The effects of assistive devices on the oxygen cost, cardiovascular stress, and perception of nonweight-bearing ambulation," J.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Vol.18, No.4, pp.537-542, 1993. 

  24. T. Ishikura, "Biomechanical analysis of weight bearing force and muscle activation levels in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gait with a walker," Acta Medica Okayama, Vol.55, No.2, pp.73-8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