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condary effluent contains particle compounds which are comprised of microorganisms that occurs membrane fouling when the water is reused. This study evaluates th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fouling of secondary effluent reuse. Effects of chemical backwashing are analyzed to reduce membrane foul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막 여과 공정에서 오염된 막의 특성을 파악하여 막오염 물질을 규명하고, 막오염 제어를 위하여 주기적인 약품역세를 실시하여 막오염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약품 역세 농도, 역세 주기, 정치 시간 등의 조건 변화에 따른 투과능 회복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막오염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약품 역세 농도, 역세 주기, 정치 시간 등의 조건 변화에 따른 투과능 회복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하수재이용 막여과 공정의 막오염 특성을 평가하였고, 막오염 제어를 위한 주기적인 약품역세를 실시하여 약품역세에 의한 막오염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sano, T., (1998),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e, CRC press, USA, Technomic publishing company 

  2. Chang S. and Lee C. H., (1999), Membrane filtration characteristics in membrane-coupled activated sludge system; the effect of floc structure on membrane fouling, Seperation Sci. Tech., 34, pp. 1743-1758 

  3. EPA, (1992), Manual-guidelline for water reuse, EPA/625/R-92/00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d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washington, DC. 

  4. Field R. W., Wu D., Howell J. A. and Gupta B. B., (1995), Critical flux concept for microfiltration fouling,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00, pp. 259-272 

  5. Hamoda, M. F., Al-Ghusain, I. and Al-Mutairi, N. Z., (2004), Sand filtration of wastewater for tertiary treatment and water reuse, Desalination, 164, pp. 203-211 

  6. Ivnitsky H., Katz I., Minz D., Shimoni E., Chen Y., Tarchitzky J., Semiat R. and Dosoretz C. G., (2005), Characterization of membrane biofouling in nanofiltration processes of wastewater treatment, Desalination, 185, pp. 255-268 

  7. Kumar M., Adham S. S. and Pearce W. R., (2006), Investigation of seawater reverse osmosis fouling and its relationship to pretreatment type, Environ. Sci. & Tech., 40(6), pp. 2037-2044 

  8. Maruyama T., Katoh S., Nakajima M., Nabetani H., Abbott T. P., Shono A. and Satoh K., (2001). FT-IR analysis of BSA fouled on ultrafiltration and microfiltration membrane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92 (1-2), pp. 201-207 

  9. Roorda, J. H., Wortel, N. C., and Dalen, R., (2005), New process for treatment of organically fouled water; experiences with WWTP effluent, Desalination, 178, pp. 141-148 

  10. Wang Z. W., Wu Z. C., Ying X. and Tian L. M., (2008), Membrane fouling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MBR) under sub-critical flux operation; membrane foulant and gel layer characterization, Journal of Membrane Science, 325(1), pp. 238-244 

  11. Wang Zhiwei, Wu Zhichao and Tang Shujuan, (2009)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properties and their effects on membrane fouling in a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Water Research, 43, pp. 2504-2512 

  12. 박기영, 맹승규, 김기팔, 이석헌, 권지향, 안규홍, (2004), 물 재이용을 위한 하수처리장 방류수 색도의 자외선처리에 미치는 과산화수소의 영향, 상하수도학회지, 18(3), pp. 377-384 

  13. 안규홍, 송경근, (1998),하수 재이용(중수도)을 위한 한외여과 공정에서 역세척 운전인자의 특성, 한국수처리기술연구회, 6(1), pp. 25-32 

  14. 안규홍, 안석, 맹승규, 김기팔, 홍준석, 정민우, 권지향, Zubair Ahmed, (2003), 하수 2차 처리수 재이용을 위한 저압 및 중압 고도산화시스템의 성능평가, 상하수도학회지, 17(4), pp. 493-501 

  15. 이용두, 김창영, 박형건, (2007),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을 위한 섬유사여과기(PCF)/RO 적용에 관한 연구(1), 공동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 대한상하수도학회, pp. 183 

  16. 현승훈, 김응도, 홍승관, 안원영, 임성균, 김건태, (2005), 침지형 MF 중공사막을 이용한 하수 2차 처리수의 재이용 연구, 상하수도학회지, 19(1), pp. 47-5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