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eadspace 법을 이용한 생굴 및 굴 자숙액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휘발성 냄새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aw Oyster and Oyster Cooking Drips by Gamma Irradiation Using Headspace Method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2, 2011년, pp.177 - 181  

최종일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  김현주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  이주운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change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raw oyster and its cooking drips using headspace methods.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raw oyster were identified as methylthiomethane and 1,5-hexadiene. When the raw oy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 및 굴 자숙액의 조미산업에서의 활용을 증대시키기위하기 위한 기초기반 연구로 굴 및 굴 자숙액의 주요 냄새 성분을 headspac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각 시료의 냄새 성분 패턴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굴 및 굴 자숙액을 조미산업에서의 활용을 증가하기 위하여 생굴 및 굴 자숙액의 주요 냄새 성분을 Headspace법을 이용해 분석하고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각 시료의 냄새 성분 패턴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굴의 경우 methylthiomethane 및 1,5-hexadiene이 검출되었으며, 5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 의해 동정할 수 있는 농도의 1-pentane이 생성되었다.
  • SPME법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시료로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어 headspace 법을 대신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headspace법에 비해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6]. 본 연구에서는 headspce GC-MSD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생굴 및 굴 자숙액의 냄새 성분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산물 내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로 기존에는 어떠한 분석이 이루어졌었는가? 굴과 같은 수산물은 특유의 맛과 냄새를 지니고 있으며, 이들의 맛과 냄새는 대부분의 경우 기호적인 측면에서 환영 받아 왔으며 풍미성분은 오래 전부터 수산가공 이용에 있어서도 흥미를 끌고 있다. 이러한 수산물 내 풍미성분에 관한 연구로 새우, 게 등의 냄새 성분의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2,3], 붉은 대게 자숙액을 조미 소스로 산업화하기 위하여 자숙액 내 냄새 성분을 평가한 연구 [4]가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굴 및굴 자숙액의 경우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미 산업으로의 활용은 미진한 실정이며, 특히 가공 처리에 따른 성분 변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굴 및 굴 자숙액에서 추출한 냄새 성분은 GC-MS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는데, 분석기는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굴 및 굴 자숙액에서 추출한 냄새 성분은 GC-MSD를 이용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기는 Agilent사의 GC (Agilent GC 6890, Palo Alto, CA)에 연결된 MSD (Agilent MSD 5975B) 를 사용하였다.
굴의 특징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굴은 연체동물 부족류 빈치목 굴과에 속하는 패류로서 우리나라의 연간 굴 생산량은 각부 굴 기준으로 20만톤 내외에 이르고 있으며, 글리코겐 함량이 많고 맛이 좋아지는 11~3월에 주로 생굴로서 식용하고, 산란 직전인 4~6월에 수확한 굴은 통조림과 개체동결품 등의 가공원료로 이용된다 [1]. 그러나 이와 같은 제품의 제조 중에는 다량의 자숙액이 발생하는데 다양한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활용 방안 없이 폐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S. M., S. T. Kang, Y. A. Kim, D. J. Choe, G. H. Nam, and K. S. Oh (2004) Optimal fermentation conditions for processing of the salt-dermented oysters in olive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90-1397. 

  2. Matiella, J. E. and T. C. Y. Hsieh (1990) Analysis of crab meat volatile compounds. J. Food Sci. 55: 962-966. 

  3. Lee, K. I., J. E. Cho, and H. K. Ahn (2007) Volatile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sauces made with waste of shrimp, crab and lobster. The Korean J. Culinary Res. 13: 119-128. 

  4. Ahn, J. S., W. J. Cho, E. J. Jeong, and Y. J. Cha (2006)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during concentration. J. Kor. Fish. Soc. 39: 437-440. 

  5. Byun, M. W. (1994) Application of irradiation techniques to food industry. Radioistope News 9: 32-37. 

  6. Thayer, D. W. (1990) Food irradiation; Benefits and concerns. J. Food Qual. 13: 147-169. 

  7. Jo, C., J. H. Son, and M. W. Byun (2003) Irradiation application for color removal and purification of green tea leaves extracts. Radiat. Phys. Chem. 66: 179-184. 

  8. Kim, H. J., J. Choi, H. S. Lee, J. H. Kim, M. W. Byun, B. S. Chun, D. H. Ahn, H. S. Yook, and J. W. Lee (2007) Improvement of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Enteroctopus dofleni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12-1616. 

  9. Lee, H. S., H. J. Kim, J. Choi, J. H. Kim, J. K. Kim, B. S. Chun, D. H. Ahn, Y. J. Chung, Y. J. Kim, M. W. Byun, and J. W. Lee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cooking drips of Thunnus thynnus by gamma irradi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0-814. 

  10. SPSS (1997)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Csiences, Norman. 

  11. Zhu, L., R. A. Seburg, E. Tsai, S. Puech, and J. C. Mifsud (2004) Flavor analysis in a pharmaceutical oral solution formulation using an electron nose. J. Pharm. Biomed. Analysis 34: 453-461. 

  12. Noh, B. S., Y. M. Yang, T. S. Lee, H. K. Hong, C. H. Kwon, and Y. K. Sung (1998) Prediction of fermentation time of Korean style soybean paste by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m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6-362. 

  13. Han, K. Y. (2006) Quality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shelf-life of food by using the electronic nose. Ph.D.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4. Lee, B. Y., J. S. Yuk, S. R. Oh, and H. K. Lee (2000) Aroma pattern analysis of various extracts of Agastache rugosa O. Kuntice by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hcnol. 32: 9-16. 

  15. Baranauskiene, R., P. R. Venskutomis, A. Galdikas, D. Senuliene, and A. Setkus (2005) Testing of microencapsulated flavours by electronic nose and SPME-GC. Food Chem. 92: 45-54. 

  16. Sarrazin, C., J. L. Quere, C. Gretsch, and R. Liardon (2000) Representativeness of coffee aroma extracts: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od Chem. 70: 99-106. 

  17. Venkateshwarlu, G., M. V. Chandravadana, M. Pandey, R. P. Tewari, and Y. Selvaraj (2000) Volatile flavour compounds from oyster mushroom (Pleurotus florida) in submerged culture. Flavour Fragr. J. 15: 320-322. 

  18. Cha, Y. J., H. H. Baek, and T. C. Y. Hsieh (1992) Volatile components in flavor concentrates from crayfish processing waste. J. Sci. Food Agric. 58: 239-248. 

  19. Maga, J. A. and C. E. Sizer (1973) Pyrazine in foods. A review. J. Agric. Food Chem. 21: 22-30. 

  20. Shibamato, T. and R. A. Bernhard (1976) Effect of time, temperature and reaction ratio on pyrazine formation in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4: 847-8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