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악동 거상술을 동반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관한 기여인자
Factors Affecting Survival of Maxillary Sinus Augmented Implants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3 no.3, 2011년, pp.241 - 248  

인연수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박영욱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linical results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implant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implant survival rate. Methods: In a total of 112 patients, 293 implants after sinus augmentation were performed. The total survival r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잔존 치조골의 높이는 상악동 기저부에서 잔존 치조제의 정상부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모든 계측은 술자를 포함한 상악동 골이식술의 경험이 있는 6명의 치과의사가 술자의 지도 감독하에 진행하였다. 잔존 치조골 높이(h)에 따라 0≤h<3 mm, 3≤h<5 mm, 5≤h <7 mm, 7 mm≤h으로 나누었다.
  • 본 연구에서는 상악동 골이식을 동반한 임플란트 식립 시, 임플란트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다양한 요소들을 조사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임플란트의 생존율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잔존 치조골 높이에 따른 임플란트의 식립 방법은 어떻게 구분 되어 시행되는가? 상악동 거상술 후 임플란트의 식립시기에 있어 골이식과 동시에 임프란트를 식립하는 즉시식립 법(1회법)과, 골이식 후 6개월에서 1년 정도 골화과정을 거친 후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지연식립법(2회법)이 있다. 통상적으로 잔존 치조골 높이가 5 mm 이상인 경우에는 즉시식립법, 적절한 기계적 안정성이 없는 5 mm 미만의 잔존 치조골에서는 지연식립법이 주로 시행되어 왔다[9]. 임플란트의 초기 안정성을 결정하는 주 요소는 골-임플란트 간에 발생하는 압축력과 표면적으로, 골질과 골량, 외과적 술식, 임플란트의 형태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0].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상악동 골이식술 시 자가골(autogeous bone)을 비롯하여 동종골(allograft), 이종골(xenograft), 합성골(alloplast) 등의 다양한 이식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임플란트의 골융합에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인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에 있어, 초기의 기계 절삭표 면에서부터, 골조직의 구성성분인 hydroxyapatite (HA)을 피복 시켜 빠른 골융합을 유도하는 방법[6-8], HA powder로 blasting 을 시행한 후 산처리를 하는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표면 처리 방식, 큰 입자의 금속 알갱이를 강한 압력으로 sand blasting한 후 250∼500μm의 large grit으로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고 hydrochloric-sulfuric acid로 etching하는 Sandblast Large grit Acid etch (SLA) 표면 처리 방식, 양극산화에 의해 다공성의 oxide layer를 표면에 형성하여 TiO2로 임플란트 표면을 grit blasting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임플란트의 표면 구조에 변화를 주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있어 왔다.
상악동 골이식술 시 사용되는 이식재는 무엇이 있는가? 상악동 골이식술 시 자가골(autogeous bone)을 비롯하여 동종골(allograft), 이종골(xenograft), 합성골(alloplast) 등의 다양한 이식재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임플란트의 골융합에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인 임플란트의 표면 처리에 있어, 초기의 기계 절삭표 면에서부터, 골조직의 구성성분인 hydroxyapatite (HA)을 피복 시켜 빠른 골융합을 유도하는 방법[6-8], HA powder로 blasting 을 시행한 후 산처리를 하는 Resorbable blasting media (RBM) 표면 처리 방식, 큰 입자의 금속 알갱이를 강한 압력으로 sand blasting한 후 250∼500μm의 large grit으로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고 hydrochloric-sulfuric acid로 etching하는 Sandblast Large grit Acid etch (SLA) 표면 처리 방식, 양극산화에 의해 다공성의 oxide layer를 표면에 형성하여 TiO2로 임플란트 표면을 grit blasting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임플란트의 표면 구조에 변화를 주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있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atum H Jr. Maxillary sinus grafting for endosseous implants. Lecture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labama Implant Study Group. Birmingham: AL; 1977. p.13-4. 

  2. Tatum H Jr. Maxillary and sinus implant reconstructions. Dent Clin North Am 1986;30:207-29. 

  3. Boyne PJ, James RA. Grafting of the maxillary sinus floor with autogenous marrow and bone. J Oral Surg 1980;38:613-6. 

  4. Summers RB. The osteotome technique: Part 3--Less invasive methods of elevating the sinus floor. Compendium 1994;15:698,700,702-4. 

  5. Summers RB. A new concept in maxillary implant surgery: the osteotome technique. Compendium 1994;15:152,154-6,158. 

  6. Denissen HW, Kalk W, de Nieuport HM, Maltha JC, van de Hooff A. Mandibular bone response to plasma-sprayed coatings of hydroxyapatite. Int J Prosthodont 1990;3:53-8. 

  7. Gottlander M, Albrektsson T. Histomorphometric studies of hydroxylapatite-coated and uncoated CP titanium threaded implants in bone.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1;6:399-404. 

  8. Oonishi H, Yamamoto M, Ishimaru H, et al. The effect of hydroxyapatite coating on bone growth into porous titanium alloy implants. J Bone Joint Surg Br 1989;71:213-6. 

  9. Smiler DG, Johnson PW, Lozada JL, et al. Sinus lift grafts and endosseous implants. Treatment of the atrophic posterior maxilla. Dent Clin North Am 1992;36:151-86. 

  10. Meredith N. Assessment of implant stability as a prognostic determinant. Int J Prosthodont 1998;11:491-501. 

  11. O'Sullivan D, Sennerby L, Meredith N. Measurements comparing the initial stability of five designs of dental implants: a human cadaver study. Clin Implant Dent Relat Res 2000;2:85-92. 

  12. Gentile MA, Chuang SK, Dodson TB. Survival estimates and risk factors for failure with 6 x 5.7-mm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5;20:930-7. 

  13. Graves SL, Jansen CE, Siddiqui AA, Beaty KD. Wide diameter implants: indications,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over a two-year period. Aust Prosthodont J 1994;8:31-7. 

  14. Ivanoff CJ, Sennerby L, Johansson C, Rangert B, Lekholm U. Influence of implant diameters on the integration of screw implants. An experimental study in rabbits.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7;26:141-8. 

  15. Tarnow DP, Wallace SS, Froum SJ, Rohrer MD, Cho SC. Histologic and clinical comparison of bilateral sinus floor elevations with and without barrier membrane placement in 12 patients: Part 3 of an ongoing prospective study.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0;20:117-25. 

  16. Tawil G, Mawla M. Sinus floor elevation using a bovine bone mineral (Bio-Oss) with or without the concomitant use of a bilayered collagen barrier (Bio-Gide): a clinical report of immediate and delayed implant placem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1;16:713-21. 

  17. Wallace SS, Froum SJ. Effect of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on the survival of endosseous dental implants. A systematic review. Ann Periodontol 2003;8:328-43. 

  18. Jemt T, Chai J, Harnett J, et al. A 5-year prospective multicenter follow-up report on overdentures supported by osseointegrated implants.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291-8. 

  19. Strietzel FP, Reichart PA, Kale A, Kulkarni M, Wegner B, Kuchler I. Smoking interferes with the prognosis of dental implant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Clin Periodontol 2007;34:523-44. 

  20. Zitzmann NU, Scharer P. Sinus elevation procedures in the resorbed posterior maxilla. Comparison of the crestal and lateral approach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8;85:8-17. 

  21. Peleg M, Mazor Z, Garg AK. Augmentation grafting of the maxillary sinus and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in patients with 3 to 5 mm of residual alveolar bone heigh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9;14:549-56. 

  22. Block MS, Kent JN. Sinus augmentation for dental implants: the use of autogenous bone. J Oral Maxillofac Surg 1997;55:1281-6. 

  23. Albrektsson T, Johansson C, Lundgren AK, Sul Y, Gottlow J. Experimental studies on oxidized implants. A histomorphometrical and biomechanical analysis. Appl Osseointegration Res 2000;1:21-4. 

  24. Hall J, Lausmaa J. Properties of a new porous oxide surface on titanium implants. Applied Osseointegration Research 2000;1:5-8. 

  25. Hurzeler MB, Kirsch A, Ackermann KL, Quinones CR. Reconstruction of the severely resorbed maxilla with dental implants in the augmented maxillary sinus: a 5-year clinical investigation.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6;11:466-75. 

  26. Jensen OT, Shulman LB, Block MS, Iacono VJ. Report of the Sinus Consensus Conference of 1996.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8;13(Suppl):11-45. 

  27. Del Fabbro M, Testori T, Francetti L, Weinstein R. Systematic review of survival rates for implants placed in the grafted maxillary sinus. Int J Periodontics Restorative Dent 2004;24:565-77. 

  28. Toffler M. Minimally invasive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 for simultaneous and staged implant placement. N Y State Dent J 2004;70:38-44. 

  29. O'Roark WL. Improving implant survival rates by using a new method of at risk analysis. Int J Oral Implantol 1991;8:31-57. 

  30. Schmitt A, Zarb GA. The longitudinal clinical effectivenes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for single-tooth replacement. Int J Prosthodont 1993;6:197-20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