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osition of the hyoid bone and soft palate and the amount of airway space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Methods: This study is a review of lateral cephalometric tracings of 30 patients who underwent B-SS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양측시상지분할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을 시행하여 하악골을 후방이동시킨 후 설골의 위치변화와 비인두부, 구인두부, 하인두부로 나뉘어진 기도공간의 변화를 평가하고 장기간에 걸친 추적검사를 통해 나타난 변화의 적응양상 및 변화양상에 대한 파악과 재발에 대한 평가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이밖에도 여러 연구들을 보면 하악골의 후방이동술 후 기도공간의 변화와 그 회귀에 대해서 유사하면서도 상반된 결과들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부규격방사선 사진에서 FH평면과 PTV 평면을 기준선으로 삼고 기존에 있던 여러 기준점을 참고하여 비인두부, 구인두부, 하인두부로 구분하여 기도부위를 나누어 측정하여 각각의 변화와 그 회귀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악 후방이동술 후 장기간의 설골과 기도량의 변화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악 후방이동술 후 장기간의 설골과 기도량의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는데 Takagi 등[4]은 하악골 후방이동술 직후 설골은 하방이동되었지만 경추에 대한 전후방 위치는 거의 변화가 없으며 이는 일정기간이 지난 후 술 전 상태로 복귀한다고 하였다. Wickwire 등[5]과 Athanasiou 등[6]도 하악골 후방이동술 후 설골의 하방이동을 관찰하였으며 이는 술 후 안정기 동안 원래의 위치로 회귀하며, 술 후 설골의 위치 변화는 기도 유지를 위한 생리적 반사로 해석하였다. Enacar 등[7]과 Park과 Kim[8]은 하악후방이동술 후 하기도량의 현저한 감소를 보고하면서 장기간의 추적조사기간 후에도 줄어든 기도량은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악교정 수술 후 연조직부 변화에는 어떤 요소들이 포함되는가? Rix[1], Ballard[2], Vig와 Cohen[3]은 악구강계 구조물의 위치는 골격계 및 신경근육계 요소들의 상호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하였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 후의 골격계의 변화뿐 아니라 연조직부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연조직의 변화에는 전방부 안모의 변화뿐 아니라 혀 및 설골을 포함하는 주위 조직과 후방기도량의 변화도 포함된다.
악교정 수술 시행 전, 환자의 골격적인 변화에 대한 평가 및 연조직의 변화, 기도의 변화, 재발 등의 부수적인 요소들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악교정 수술 시행 전 환자의 골격적인 변화에 대한 평가뿐 만 아니라 그에 따른 연조직의 변화, 기도의 변화, 재발 등의 부수적인 요소들에 대한 평가 역시 중요한데 이는 악교정수술의 시행으로 인해 골격적인 위치의 변화가 악구강계의 주변 연조직의 변화를 동시에 야기시키고, 서로 복합적으로 기도의 변화와 재발 등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Rix[1], Ballard[2], Vig와 Cohen[3]은 악구강계 구조물의 위치는 골격계 및 신경근육계 요소들의 상호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하였는데 이는 악교정 수술 후의 골격계의 변화뿐 아니라 연조직부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Rix RE. Some observations upon the environment of the incisiors. Dent Rec 53 1953;53:427-41. 

  2. Ballard CF. The etiology of malocclusion-an assessment. Trans Br Soc Study Orthod 1957:15-27. 

  3. Vig PS, Cohen AM. The size of the tongue and the intermaxillary space. Angle Orthod 1974;44:25-8. 

  4. Takagi Y, Gamble JW, Proffit WR, Christiansen RL. Postural change of the hyoid bone following osteotomy of the mandibl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67;23:688-92. 

  5. Wickwire NA, White RP Jr, Proffit WR. The effect of mandibular osteotomy on tongue position. J Oral Surg 1972;30:184-90. 

  6. Athanasiou AE, Toutountzakis N, Mavreas D, Ritzau M, Wenzel A. Alterations of hyoid bone position and pharyngeal depth and their relationship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1;100:259-65. 

  7. Enacar A, Aksoy AU, Sencift Y, Haydar B, Aras K. Changes in hypopharyngeal airway space and in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4;9:285-90. 

  8. Park BW, Kim JR. A cephalometric study on changes in pharyngeal airway space,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0;26:164-71. 

  9. Joseph AA, Elbaum J, Cisneros GJ, Eisig SB. A cephalometric comparative study of the soft tissue airway dimensions in persons with hyperdivergent and normodivergent facial patterns. J Oral Maxillofac Surg 1998;56:135-9; discussion 139-40. 

  10. Riley R, Guilleminault C, Herran J, Powell N. Cephalometric analyses and flow-volume loop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Sleep 1983;6:303-11. 

  11. Ricketts RM. The cranial base and soft structures in cleft palate speech and breathing. Plast Reconstr Surg (1946) 1954;14:47-61. 

  12. Lowe AA, Fleetham JA, Adachi S, Ryan CF. Cephalometric and computed tomographic predictor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everit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95;107:589-95. 

  13. Greco JM, Frohberg U, Van Sickels JE. Long-term airway space changes after mandibular setback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osteotomy.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0;19:103-5. 

  14. Lew KK. Changes in tongue and hyoid bone positions following anterior mandibular subapical osteotomy in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Int J Adult Orthodon Orthognath Surg 1993;8:123-8. 

  15. Wenzel A, Williams S, Ritzau M. Relationships of changes in craniofacial morphology, head posture, and nasopharyngeal airway size following mandibular osteotomy.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989;96:138-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