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구택일편집(鍼灸擇日編集)"과 "의방유취(醫方類聚)"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ilation of Chimgutaekil" and "Uibangryuchi" 원문보기

경락경혈학회지=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28 no.1, 2011년, pp.101 - 112  

오준호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research is aimed to consider the arranging process of the expertise on acupuncture & moxibustion in the corrective process of "Uibangyuchi"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ibangyuchi" and "Compilation of Chimgutaekil". Methods : This researcher scrutinized the compil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침구시술에서 진단, 변증, 선혈, 수기법, 자침법, 구법 등 다양한 지식들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鍼灸擇日編集』이 가장 처음 만들어진 것은, 침구택일이 전체 침구 시술 과정의 가장 첫 부분에 해당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鍼灸擇日編集』을 시작으로, 鍼灸擇日 이외에 침구전문지식을 정리하는 일련의 과정들이 계속 계획되고 수행되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鍼灸擇日編集』이 『醫方類聚』 와 동일한 편집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醫方類聚』에서 산삭된 내용을 가지고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통해 이런 추측을 뒷받침해보고자 한다.
  • 이에 필자는 『醫方類聚』와 『鍼灸擇日編集』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醫方類聚』 교정 과정에서 침구전문지식들이 刪削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에 『鍼灸擇日編集』을 필두로 침구 지식을 분문유취하려는 계획이 존재 하였을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 이런 일련의 정황들을 통해 필자는 세조가 『鍼灸擇日編集』을 시작으로 침구학 지식들을 ‘分門類聚’하는 작업을 계획하였을 것이라고 추정해 보았다.
  • 『醫方類聚』와 『鍼灸擇日編集』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醫方類聚』의 편찬과 교정 과정을 간략해 개술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실록기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 『醫方類聚』는그 분량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많은 시간과 노력 끝에 완성된 서적이다.
  • 다시 말해 『醫方類聚』에는 침구전문서를 인용서적으로 삼고, 편제상으로 침구학과 관련된 내용들을 염두해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현존 『醫方類聚』에는 침구전문서를 출전으로 한 내용이 없다9). 이에 필자는 『醫方類聚』와 『鍼灸擇日編集』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醫方類聚』 교정 과정에서 침구전문지식들이 刪削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에 『鍼灸擇日編集』을 필두로 침구 지식을 분문유취하려는 계획이 존재 하였을 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셋째, 그렇지만 침구택일이 당시까지 정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아 이것이 문제가 되어 왔다. 넷째, 책의 편집 의도는 침뜸을 시술할 날을 정확하게 가리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醫方類聚는 무엇인가? 『醫方類聚』는 세종 27년(1445) 1차 완성된 후오 성종 8년(1477) 간행된 현존하는 최대 분량의 동아시아 전통의학 전적이다. 1차 완성 당시 365권이었으나 30여년간의 교정과정을 거쳐 266권으로 최종 간행되었다.
醫方類聚는 1차 완성 당시 몇 권이었나? 『醫方類聚』는 세종 27년(1445) 1차 완성된 후오 성종 8년(1477) 간행된 현존하는 최대 분량의 동아시아 전통의학 전적이다. 1차 완성 당시 365권이었으나 30여년간의 교정과정을 거쳐 266권으로 최종 간행되었다. 이 책에는 모두 142종 가랑의 의서와 의학관련서가 인용되었으며13) 당, 송, 원, 명대 초기의 중국의학과 고려, 조선 초기까지의 고유의학이 담겨있다5).
醫方類聚는 전체 몇 문으로 나누어져 있는가? 이 책에는 모두 142종 가랑의 의서와 의학관련서가 인용되었으며13) 당, 송, 원, 명대 초기의 중국의학과 고려, 조선 초기까지의 고유의학이 담겨있다5). 『醫方類聚』는 전체 91문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문은 醫論, 方藥, 食治, 禁忌, 鍼灸, 導引 등의 순서로 수록되어 있다①.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성수. 朝鮮前期痘瘡流行과 瘡疹集.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10 ; 16(1) : 36-40. 

  2. 김영목, 윤종빈, 전병훈. 全循義의 생애와 저술활동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 ; 21(1) : 10-7. 

  3. 신순식, 최환수. 醫方類聚(醫方類聚)에 대한 판본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 ; 3(1) : 1-15. 

  4. 신순식. 醫方類聚의 편찬인물. 의사학회지. 1999 ; 8(2) : 187-206. 

  5. 안상우, 김남일. 醫方類聚총론의 체제와 인용방식 분석. 경희대 한의대 논문집. 1999 ; 22(1) : 86. 

  6. 안상우, 최환수. 醫方類聚 치법편의 구성과 특징.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0 ; 6(1) : 1-11. 

  7. 안상우. 醫方類聚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0 : 20-33. 

  8. 안상우. 醫方類聚 서지학적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1999 ; 12(2) : 19-28. 

  9. 오준호. 五臟辨證을 활용한 朝鮮鍼法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10 : 46. 

  10. 오준호. 醫書에 나타난 조선 침구택일법의 발전과정. 한국의사학회지. 2009 ; 22(2) : 33-42. 

  11. 윤종빈, 전병훈, 김영목. 全循義의 의학사상과 저작내용에 관한 소고.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 ; 21(2) : 353-61. 

  12. 이재동, 김남일. 중국 침뜸의학의 역사. 서울 : 집문당. 1997 : 219-49. 

  13. 최환수, 신순식. 醫方類聚의 인용서에 관한 연구(1).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997 ; 3(1) : 17-40. 

  14. 胡森. 醫方類聚의 文獻價値에 관한 管見.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8 ; 14(2) : 151-4. 

  15. 국사편찬위원회. (인터넷)조선왕조실록. 世宗實錄. Available from :URL:http://sillok.history.go.kr 

  16. 국사편찬위원회. (인터넷)조선왕조실록. 世祖實錄. Available from :URL:http://sillok.history.go.kr 

  17. 국사편찬위원회. (인터넷)조선왕조실록. 成宗實錄. Available from :URL:http://sillok.history.go.kr 

  18. 국사편찬위원회. (인터넷)조선왕조실록. 中宗實錄. Available from :URL:http://sillok.history.go.kr 

  19. 국사편찬위원회. (인터넷)조선왕조실록. 宣祖實錄. Available from :URL:http://sillok.history.go.kr 

  20. 醫方類聚 

  21. 鍼灸擇日編集 

  22. 국사편찬위원회. 承政院日記. Available from :URL:http://sjw.history.go.kr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