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양호 다중매체 내 수은오염실태 조사
Study on Mercury Contamination in Multimedia Environment in Lake So-Yang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3 no.3, 2011년, pp.202 - 211  

박상영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유성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신형철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성락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김평래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안명찬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  한영지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양호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다매체 내 수은 농도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소양호 총수은(TM; total mercury) 농도는 $1.17{\pm}1.09ng/L$ 나타났다. 표층수 총 수은 농도를 보면 시간적 및 공간적 변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찾아볼 수 없었으나, 탁도 및 입자성 유기탄소(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의 농도와 뚜렷한 양의 상관성(P-value<0.01)이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소양호의 경우 수은 유입원이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대기 침적보다는 장마철 runoff로 인한 유입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어류 내 수은은 한강과 소양호에서 총 22종의 어류를 채취하였으며, 어류 내 평균 총수은 농도는 0.073 ppm(습중량)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기준치(0.5 ppm) 및 미국 EPA의 기준치(0.3 ppm)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였다. 그러나 미국 EPA의 RfD(reference dose)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계산된 적정 기준치인 0.07 ppm을 상회하는 어류가 전체의 42%를 차지해 우리나라만의 어류섭취 관리대책이 필요하다. 어류를 채취한 세 지점, 한강, 신이리, 양구는 동일한 종에서 뚜렷하게 다른 농도 분포를 보였는데, 상류일수록 더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는 호수의 부영양화 차이로 인한 지점별 어류 성장 속도의 차이가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소양호 저서퇴적물의 수은 농도 분포는 $69.9{\sim}98.3{\mu}g/kg$으로 나타나 미국 미네소타 주의 Voyageurs National Park에서의 연구 결과($102{\sim}364{\mu}g/kg$)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easonal and spatial pattern of mercury (Hg) concentrations in multimedia environments were investigated in Lake So-Yang. Total mercury (TM) in water column greatly enhanced as turbidity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POC) increased due to the severe runoff, suggesting that mos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절별 및 위치별 저서 퇴적물 내 총 수은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매 계절마다 세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저서퇴적물 내 평균 수은 농도는 8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의 호수인 소양호를 대상으로 다중매체 내 수은의 오염 실태를 장기간에 걸쳐 조사하여, 수중, 저서 퇴적물, 어류 내 수은 농도와 기타 물리-화학적 요인들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어류의 경우는 소양호뿐만 아니라 한강에서도 채취하여, 두 하천과 호수의 특성에 따른 어류 내 수은 농도를 비교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다매체 내 수은 농도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몇 가지 중요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첫째, 이제까지 연구된 대부분의 외국 선행연구에서 수은의 가장 중요한 유입원으로 호수 표면으로의 직접적인 대기 침적(건식 및 습식 침적)을 꼽았는데, 소양호의 경우 장마철 run-off가 가장 중요한 유입원이다.
  • 본 연구에서는 어류의 근육 조직과 껍질에서의 수은 농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껍질을 제거한 근육 조직(skin-off)과 껍질을 포함한 근육 조직(skin-on)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껍질을 제거한 시료(skin-off)의 평균 수은 농도는 0.

가설 설정

  • 1) 수은은 오염원(source)에서 배출된 후 계속해서 침적(deposition)과 재배출(re-emission)을 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다른 중금속들과 차이가 있다. 수은에 대한 높은 관심은 유기 수은인 메틸수은이 높은 독성 및 생물 축적률을 지니기 때문에 촉발되었다.
  • 17) 1996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소양호의 탁수 발생은 1999년 집중강우에 의한 고농도의 탁수가 대량 유입됐고 이러한 현상은 2000년대 들어와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18) 이와 같은 소양호의 특성은 대기 수은이 평상시에 소양호 유역으로 지속적으로 침적된 후 장마철에 한꺼번에 소양호로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여름철에 runoff에 의해 지류와 유역으로부터 대규모의 탁수가 중층으로 유입되어 소양호의 중층 탁도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 또한 주된 메틸화 반응은 심층의 혐기성 상태에서 황환원 박테리아에 의해 일어나는 반응으로써,39) 소양호 상류가 한강과 소양호에 비해 혐기성 구역이 더 넓게 분포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세번째 가정이 소양호 상류 어류 내 높은 수은 농도를 설명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 있는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어류가 느리게 성장하면 어류의 나이(age)에 비해 길이나 몸무게가 상대적으로 작게 성장하기 때문에, 같은 길이의 어류를 비교하면 높은 수은 농도를 나타낸다.
  • 선행 연구들을 보면 어류 내 존재하는 수은은 거의 대부분(일반적으로 90% 이상) 메틸수은으로 존재한다고 제시하였으므로,7,35,36)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어류 내 총수은의 농도를 메틸수은의 농도로 가정하였다. 한강과 소양호에서 채취한 총 22(N=67)종의 어류를 습중량으로 계산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 평균 수은 농도는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은에 대한 높은 관심의 이유는? 1) 수은은 오염원(source)에서 배출된 후 계속해서 침적(deposition)과 재배출(re-emission)을 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다른 중금속들과 차이가 있다. 수은에 대한 높은 관심은 유기 수은인 메틸수은이 높은 독성 및 생물 축적률을 지니기 때문에 촉발되었다. 자연계에서 수은은 0, +1, +2의 산화상태로 존재하나, 이 중 +1가는 불안정해서 환경 중에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수은의 특징은? 수은은 높은 독성을 나타내는 오염물질로서 다양한 화학종으로 구성되며 환경 내 매체 사이를 거동한다.1) 수은은 오염원(source)에서 배출된 후 계속해서 침적(deposition)과 재배출(re-emission)을 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다른 중금속들과 차이가 있다.
수 생태계에 주로 존재하는 수은은 어디에 존재하는가? 따라서 수 생태계에 주로 존재하는 수은의 형태는 무기 및 유기 Hg2+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은은 수중, 퇴적물, 플랑크톤, 어류 등 다매체 사이를 거동하며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Vette, A. F., Landis, M. S. and Keeler, G. J., "Deposition and emission of gaseous mercury to and from lake michigan during the lake michigan mass balance study," Environ. Sci. Technol., 36, 4525-4532(2002). 

  2. Lynam, M. M. and Keeler, G. J., "Automated speciated mercury measurements in Michigan," Environ. Sci. Technol., 39, 9253-9262(2005). 

  3. Park, J. S., Oh, S., Shin, N. Y., Kim, M. K., Yi, S. M. and Zoh, K. D., "Seasonal variation in dissolved gaseous mercury and total mercury concentrations in Juam Reservoir, Korea," Environ. Pollut., 154, 12-20(2008). 

  4. Fleming, E. J., Mack, E. E., Green, P. G. and Nelson, D. C., "Mercury methylation from Unexpected Sources: Molybdate-Inhibited Freshwater sediments and an Iron-Reducing Bacterium," Appl, Environ. Microbiol., 72, 4457-464(2006). 

  5. U.S. EPA., "Mercury Update: Impact in Fish Advisorie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4305, EPA-823-F-01-011(2001). 

  6. Driscoll, C. T., Han, Y. J., Chen, C. Y., Evers, D. C., Lambert, K. F., Holsen, T. M., Kamman, N. C. and Munson, R. K., "Mercury Contamination in Forest and Freshwater Ecosystem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Bio. Sci., 57, 17-28(2007). 

  7. Meili, M., "The coupling of mercury and organic matter in the biogeochchemical cycle towards a mechanistic model for the boreal forest zone," Water Air Soil Pollut., 56, 333-347 (1991). 

  8. Ikingura, J. R. and Akagi, H.,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levels in fish from hydroelectric reservoirs in Tanzania,"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04(1-3), 355-68(2003). 

  9. Mlean, N., Larned, S. T., Nikora, V., and Kutter, V., "Mercury in lakes and lake fishes on a conservation-industry gradient in Brazil," Chemosphere, 60, 226-236(2005). 

  10. Kamman, N. C., Lorey, P. M., Driscoll, C. T., Estabrook, R., Major, A., Pientka, B. and Glassford, E., "Assessment of mercury in waters, sediments, and biota of New Hampshire and Vermont lakes, USA, sampled using ageographically randomized design," Environ. Toxicol. Chem., 23, 1172-1186(2004). 

  11. Essington, T. E. and Houser, J. N., "The effect of whole-lake nutrient enrichment on mercury concentration in age-1 yellow perch,"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Fisheries Society, 132, 57-68(2003). 

  12. Charles, T. Driscoll., Young-ji, Han., Celia Y. Chen., David C. Evers., Kathleen Fallon Lambert., Thomas M. Holsen., Neil C. Kamman., And Ronald K. Munson "Mercury Contamination in Forest and Freshwater Ecosystem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Bioscience, 57(1), 17-29(2007). 

  13. 정종수, 심상규, "국내 수은 연구 동향 및 관리 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5(2), 99-107(2009). 

  14. 김희연, 정도영, 노유섭, 오금순, 박성수, 서정혁, 이은주, 이윤동, 최우정,엄 지윤, 송민수, 이종옥, 우건조, 경인지방 식품안정청 시험분석팀, 식품의약품청 식품평가부, "어류 중 메틸수은 분석법 확립 및 모니터링," 한국식품과학회지, 882-888(2005). 

  15. U.S. EPA Method 1631, Revision E., "Mercury in Water by Oxidation, Purge and Trap, and Cold Vapor Atomic Fluorescence Spectrometr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Water, 4303. EPA-821-R-02-019(2002). 

  16. Chio, K. S., Kim, B. C. and Lee, U. H.,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in three layers of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Int. Rev. Hydrobiol., 86(1), 63-76 (2001). 

  17. Kim, B.-C., Chol, K.-S. Kim, C.-G., Lee, U. H. and Kim, Y.-H., "Effects of the summer monsoon on the distribution and loading of organic cabon in a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Elsevier Sci., 34(14), 3495-3504(2000). 

  18. Kim, Y.-H. and Kim, B.-C., "Application of a 2-dimensionalwater quality model (CE-QUAL-W2) to the turbidity interflow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22(3), 213-222(2006). 

  19. Amyot, M., Mierle, G., Lean, D. R. S. and McQueen, D. J., "Sunlight-induced formation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in lake waters," Environ. Sci. Technol., 28, 2366-2371(1994). 

  20. Scherbatskoy, T., Shanley, J. B. and Keeler, G. L., "Factors controlling mercury transport in an upland forested catchment," Water, Air, Soil Pollut., 105, 427-438(1998). 

  21. O'Driscoll, N. J., Sicilian, S. D. and Lean, D. R. D., "Continuous analysis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in freshwater lakes," Sci. Total Environ., 304, 285-294(2003). 

  22. O'Driscoll, N. J, Poissant, L. C., Ridal, J. and Lean, D. R. S., "Continuous analysis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and mercury volatilizatioin in the upper St. Lawrence river: exploring temporal relationships and UV attenuation," Environ. Sci. Technol., 41, 5342-5348(2007). 

  23. Dill, C., Kuiken, T., Zhang, H. and Ensor, M., "Diurnal variation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DGM) levels in a southern reservoir lake (Tennessee, USA) in relation to solar radiation," Sci. Total Environ., 357, 176-193(2006). 

  24. Zhang, H., Dill, C., Kuiken, T., Ensor, M. and Crocker, W. C., "Change of dissolved gaseous mercury concentration in a southern reservoir lake (Tennessee) following seasonal variation of solar radiation," Environ. Sci. Technol., 40, 2114-2119(2006). 

  25. Siciliano, S. D., O'Driscoll, N. J. and Lean, D. R. S., "Microbial reduction and oxidation of mercury in freshwater lakes," Environ. Sci. Technol., 36, 3064-3068(2002). 

  26. Wiatrowski, H. A., Ward, P. M. and Barkay, T., "Novel reduction of mercury(II) by mercury-sensitive dissimilatory metal reducing bacteria," Environ. Sci. Technol., 40, 6690-6696(2006). 

  27. Landis M. S. and Keeler G. J., "Atmospheric mercury deposition to Lake Michigan during the Lake Michigan Mass Balance Study," Environ. Sci. Technol., 36, 4518-4524(2002). 

  28. Han, Y. J., Kim, T. S. and Kim, H. K., "Ionic constiuents and source analysis of PM2.5 in three Korean cities," Atmospheric Environ., 42, 4735-4746(2008). 

  29. Orihel, D. M., Paterson, M. J., Bodaly, R. A. and Hintelmann H., "Experimental evidence of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organic mercury loading and methylmercury accumulation by aquatic biota," Environ. Sci. Technol., 41, 4952-4958(2007). 

  30. 김성연, 정문호, 손부순, 양원호, 최경호 "서울시 일부 지역의 대기 중 미세먼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1(4), 301-208(2005). 

  31. 김용표 "서울의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5), 535-553(2006). 

  32. 전진희, 한영지 "춘천시 $PM_{2.5}$ 의 질량농도 및 이온성분 농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6) 682-692(2008). 

  33. Wiener, J. G. and Knights, B. C., "Mercury in Soils, Lakes, and Fish in Voyageurs National Park (Minnesota): Importance of Atmospheric Deposition and Ecosystem Factors," Environ. Sci. Technol., 40, 6261-6268(2006). 

  34. UNEP, "Global mercury assessment, Issued by UNEP Chemicals Geneva, Switzerland,"(2002). 

  35. Mason, R. P., Laporte, J. M. and Andres, S., "Factors controlling the bioaccumulation of mercury, methylmercury, arsenic, selenium, and cadmium by freshwater invertebrates and fish," Arch. Environ. Contam. Toxicol., 38, 283-297 (2000). 

  36. Oh, S. H., Kim, M. K., Yi, S. M. and Zoh, K. D., "Distributions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surface sediments and fishes in Lake Shihwa, Korea," Sci. Total Environ., 408, 1059-1068(2010). 

  37. Wiener, J. G., Krabbenhoft, D. P., Heinz, G. H. and Scheuhammer, A. M., "Ecotoxicology of mercury. In: Handbook of Ecotoxicology (2nd ed). Hoffman, D.J., Rattner, B.A., Burton, G.A. and Cairns, J. (eds)," CRC Press, Boca Raton, Florida, pp. 409-463(2003). 

  38. Howard A. Simonin., Jefferey J. Loukmas., Lawrence C. Skinner., Karen M. Roy., "Lake variability: Key factors controlling mercury concentrations in New York State Fish," Environ. Pollut., 154, 107-115(2008). 

  39. Pak, K. R. and R. Bartha., "Mercury methylation and demethylation inanoxic lake sediments and by strictly anaerobic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4, 1013-1017 (1998). 

  40. John E. Gray., Mark E. Hines., "Biogeochemical mercury methylation influenced by reservoir eutrophication, Salmon Falls Creek Reservoir, Idaho, USA," Chem. Geol., 258, 157-167(2009). 

  41. Adam R. Schwindt., John W. Fournie., Dixon H. Landers., Carl B. Schreck and Michael L. Kent., "Mercury Concentrations in Salmonids from Western U.S National Parks and Relationships With Age and Macrophage Aggregates," Environ. Sci. Technol., 42(8), 1365-1370(2008). 

  42. Kim, B. C. and Kim, Y. H., "Phosphorus cycle in a deep reservoir in Asian monsoon area and the modeling with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Korean J. Limnol., 37(2), 205-212(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