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요관리에 의한 물수급변화 분석
A Study of Water Budget Analysis According to The Water Demand Management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3 no.11, 2011년, pp.797 - 803  

서재승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최시중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강성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물 사용관련 주요 지표인 1인1일 급수량을 이용하여 수요관리 추진 결과 분석 및 절감량을 산정하고, 수요관리를 통하여 발생하는 절감량을 물 수급전망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인1일 급수량 분석결과 상수도 여건이 열악한 지자체는 상수도 보급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래용수수요량 추정시에도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권역을 대상으로 수요관리 절감량을 산정하고 K-WEAP (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을 이용하여 물수지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유량 변화 및 지하수와 저수지저수량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ssessment method that evaluate the water demand management and calculate the water saving volume using water use indicator, and developed the system to link the water saving volume that occur through demand management and water supply and demand. The results from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K-WE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요관리에 의한 물수급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절감량 산정은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사업수단별 절감량 원단위를 이용하여 산정하는 방법과, 물수요관리계획 수립시 예측한 1인1일 급수량과 수요관리 시행 이후의 실제 1인1일 급수량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 강우-유출 모형인 Tank 모형을 이용하여 중권역별로 자연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용담댐과 대청댐은 2005년 방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구축된 물 수급 네트워크와 수요량 및 공급 시설에 대한 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 9 이상으로 예측값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시군 3개(c), 예측값을 기준으로 증가 혹은 감소를 번갈아 보이는 시군이 24개였다(d). 또한 상수도 보급률 및 1인1일 급수량의 크기에 따라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상수도 보급률이 낮은 지자체는 상수도 여건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수도 보급률 및 1인1일당 급수량 분포에 따른 그룹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룹은 기준년도인 1997년의 보급률과 1인1일 급수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시군 154개의 상수도 보급률과 1인 1일 급수량의 평균(각각 57%, 340 L) 및 표준편차(각각 25%, 108 L)를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요관리 전후의 1인1일 급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1인1일 급수량을 이용하여 절감량을 산정하여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원단위를 이용한 절감량과 비교하였다. 또한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Korea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을 이용하여 수요관리의 결과 발생하는 절감량이 물수급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분석하여 장래 물수급전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미호천의 물수지분석을 위하여 검증에 사용하였던 네트워크를 사용하였고, 수요관리에 따른 물수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요관리 전후의 모든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생활용수 수요량 자료만 변화하게 된다. 먼저 실적을 이용한 수요관리를 적용하여 물수지분석 수행후 미호천 최하류의 하천유량을 검토하였다. 실적을 고려한 경우 미호천의 최하류의 연중 하천유량은 Fig.
  • 물 수급 네트워크의 검증을 위하여 공주수위관측소의 관측유량과 K-WEAP을 통하여 모의된 유량을 비교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제곱근 평균제곱오차(DRMS; daily root mean square), 평균편차의 비율(PBIAS; percent bias), Nash-Sutcliffe 효율성 지수(NSE; Nash-Sutcliffe efficiency) 및 지속 모형 효율성 지수(PME; persistence model efficiency) 등의 통계값을 이용하였다.
  •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이 수요관리로 인해 발생한 절감량이 물수급변화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K-WEAP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을 위한 절감량 산정은 환경부에서 적용한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원단위를 고려하는 방법과 수요관리 전후의 1인1일 급수량 변화를 고려한 방법을 각각 적용하였다.
  • 물수지분석 수행 후 하천유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금강의 주요지점인 공주지점과 미호천을 선택하였다. 미호천은 댐방류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교적 큰 하천으로 회귀율이 물수급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공주지점은 상류에 위치하는 댐의 영향을 받고, 광역상수도에 의한 취수 물수급 네트워크가 복잡하므로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 미호천의 물수지분석을 위하여 검증에 사용하였던 네트워크를 사용하였고, 수요관리에 따른 물수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요관리 전후의 모든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생활용수 수요량 자료만 변화하게 된다. 먼저 실적을 이용한 수요관리를 적용하여 물수지분석 수행후 미호천 최하류의 하천유량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인1일 급수량을 분석하여 물수요관리 이후 상수도 사용량 변화를 파악하고 절감량을 산정하였고, K-WE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요관리 효과로 인한 절감량이 물수급변화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1인1일 급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사용하였던 1인1일 급수량 예측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요관리 정책추진 이전의 시계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예측된 1인1일 급수량과 물절약 정책 및 수요관리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의 실제 1인1일 급수량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요관리 전후의 1인1일 급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1인1일 급수량을 이용하여 절감량을 산정하여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원단위를 이용한 절감량과 비교하였다. 또한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인 K-WEAP (Korea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을 이용하여 수요관리의 결과 발생하는 절감량이 물수급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분석하여 장래 물수급전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서론에 정리하였듯이 수요관리의 결과 2009년까지 모두 8억 6천 8백만 톤의 절감효과를 거두었다는 정부의 발표가 있었다.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이 수요관리로 인해 발생한 절감량이 물수급변화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K-WEAP을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수지 분석을 위한 절감량 산정은 환경부에서 적용한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원단위를 고려하는 방법과 수요관리 전후의 1인1일 급수량 변화를 고려한 방법을 각각 적용하였다.
  • 수요관리에 의한 지하수, 댐저수지, 하천의 물수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물수지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요관리에 의한 댐 저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하류에 필요한 양만 방류되도록 부족공급방식(deficit supply)으로 댐운영을 하였고, 수요량 변화에 의한 지하수의 변동을 보기 위하여 지하수와 하천의 수요처선호도를 동일하게 하여 수요절감에 따라 지하수의 취수량도 변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수요관리 전후의 효과를 확실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절감량이 더 큰 수요관리 사업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 수요관리에 의한 지하수, 댐저수지, 하천의 물수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물수지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요관리에 의한 댐 저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하류에 필요한 양만 방류되도록 부족공급방식(deficit supply)으로 댐운영을 하였고, 수요량 변화에 의한 지하수의 변동을 보기 위하여 지하수와 하천의 수요처선호도를 동일하게 하여 수요절감에 따라 지하수의 취수량도 변화되도록 하였다.
  • 그룹은 기준년도인 1997년의 보급률과 1인1일 급수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시군 154개의 상수도 보급률과 1인 1일 급수량의 평균(각각 57%, 340 L) 및 표준편차(각각 25%, 108 L)를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시계열 예측의 기준년도인 1997년 이후 예측값에 대한 실측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 결과 보급률 40% 이하의 경우(Fig.
  • 본 연구에서는 1인1일 급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사용하였던 1인1일 급수량 예측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수요관리 정책추진 이전의 시계열 자료 분석을 통하여 예측된 1인1일 급수량과 물절약 정책 및 수요관리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의 실제 1인1일 급수량과 비교하였다. 실제 1인1일 급수량이 예측 1인1일 급수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정부의 발표와 같이 물수요관리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에는 물 수요관리에 의한 절감효과는 미미하며 오히려 증가추세라고 볼 수 있다.

대상 데이터

  • 행정구역중 권역이 분리되는 시·군은 인구비 및 면적비를 적용하여 고려했고, 생활·공업용수와 농업용수의 회귀율은 각각 65%와 35%를 적용하였다. 강우-유출 모형인 Tank 모형을 이용하여 중권역별로 자연유출량을 산정하였고, 용담댐과 대청댐은 2005년 방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구축된 물 수급 네트워크와 수요량 및 공급 시설에 대한 2005년 자료를 이용하여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 또한 상수도 보급률 및 1인1일 급수량의 크기에 따라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상수도 보급률이 낮은 지자체는 상수도 여건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상수도 보급률 및 1인1일당 급수량 분포에 따른 그룹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룹은 기준년도인 1997년의 보급률과 1인1일 급수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상 시군 154개의 상수도 보급률과 1인 1일 급수량의 평균(각각 57%, 340 L) 및 표준편차(각각 25%, 108 L)를 고려하여 구분하였다. 시계열 예측의 기준년도인 1997년 이후 예측값에 대한 실측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 또한 수요관리 전후의 효과를 확실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절감량이 더 큰 수요관리 사업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금강본류의 하류에 위치한 공주지점을 기준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공주수위표 지점 상류의 하천 및 광역상수도에서 취수되는 지자체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요관리 절감량은 7,725 천m3/년이다. 물수지 분석결과 공주지점의 하천유량은 1,754 천m3/년 증가했고, 지하수저수량은 175 천m3/년, 댐 저수량은 128 천m3/년이 증가하여, 절감량의 약 27% 정도의 수량 변화가 있었다.
  • 수요관리에 의한 댐 저수량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하류에 필요한 양만 방류되도록 부족공급방식(deficit supply)으로 댐운영을 하였고, 수요량 변화에 의한 지하수의 변동을 보기 위하여 지하수와 하천의 수요처선호도를 동일하게 하여 수요절감에 따라 지하수의 취수량도 변화되도록 하였다. 또한 수요관리 전후의 효과를 확실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절감량이 더 큰 수요관리 사업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금강본류의 하류에 위치한 공주지점을 기준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공주수위표 지점 상류의 하천 및 광역상수도에서 취수되는 지자체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요관리 절감량은 7,725 천m3/년이다.
  • 물수지분석 수행 후 하천유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금강의 주요지점인 공주지점과 미호천을 선택하였다. 미호천은 댐방류량의 영향을 받지 않는 비교적 큰 하천으로 회귀율이 물수급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공주지점은 상류에 위치하는 댐의 영향을 받고, 광역상수도에 의한 취수 물수급 네트워크가 복잡하므로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 실제 1인1일 급수량이 예측 1인1일 급수량보다 낮은 경우에는 정부의 발표와 같이 물수요관리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동일하거나 높은 경우에는 물 수요관리에 의한 절감효과는 미미하며 오히려 증가추세라고 볼 수 있다. 분석대상 범위는 제주도 및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예측이 불가능한 곳을 제외한 154개 시군 자료이고, 각 년도의 상수도통계8)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Fig.

데이터처리

  • 물 수급 네트워크의 검증을 위하여 공주수위관측소의 관측유량과 K-WEAP을 통하여 모의된 유량을 비교하였다.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제곱근 평균제곱오차(DRMS; daily root mean square), 평균편차의 비율(PBIAS; percent bias), Nash-Sutcliffe 효율성 지수(NSE; Nash-Sutcliffe efficiency) 및 지속 모형 효율성 지수(PME; persistence model efficiency) 등의 통계값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야하는가? 물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는 1)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2) 평가 대상을 선정하여, 3)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의 주요내용은 ① 물 절감량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② 장래의 물 절감량을 어떻게 전망하는가? ③ 물 절감량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불확실성의 수준은 어느정도인가? ④ 전망된 물 절감량은 수요관리 프로그램 운용비용 측면에서 적당한가? 그리고 장기 물 공급계획에 반영할 수 있을 만큼 신뢰성이 있는가? 이다.
물 수요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물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해서는 1)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2) 평가 대상을 선정하여, 3)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의 주요내용은 ① 물 절감량을 어떻게 측정하는가? ② 장래의 물 절감량을 어떻게 전망하는가? ③ 물 절감량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불확실성의 수준은 어느정도인가? ④ 전망된 물 절감량은 수요관리 프로그램 운용비용 측면에서 적당한가? 그리고 장기 물 공급계획에 반영할 수 있을 만큼 신뢰성이 있는가? 이다. 평가방법에는 공학적인 방법과 통계학적인 방법 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연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총계법을 이용하여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원단위를 적용하는 방법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총계법을 이용하여 수요관리 사업실적 및 원단위를 적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타가정(프로그램에 속해 있지 않은 사용자 정의 변수 및 수식을 만들 수 있음)에 사업실적 별 원단위를 정의하고, 생공용수 수요처의 사회경제지표에 사업실적을 입력한다(Fig. 4(a)). 수식편집기를 이용하여 수요관리절감률(총수요량에 대한 수요관리 절감량의 비율)을 산정하면(Fig. 4(b)) 그에 따른 따라 수요량이 적용되어 물수지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수요관리 전후의 1인1일 급수량 자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수요처의 사회경제지표에 1인1일 급수량 및 급수인구를 입력하고 수식편집기를 통하여 수요량을 산정하여 물수지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을 구축하면 이후 사업실적이나 1인1일 급수량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수요량 산정 및 물수지 분석이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환경부, 2007 환경백서, pp.618-619(2007). 

  2. 환경부, 전국수도종합계획(2007). 

  3. 건설교통부, 수자원장기종합계획(2006-2020)(2006). 

  4. Dauane D. Baumann, John J. Boland, and W. Michae Hanemann, "Urban Water Demand Management and Planning", McGraw-Hill, Inc., p.283-301(1997). 

  5. 한국정책평가연구원, 친환경상품진흥원, 물 수요관리 종합 대책 수립연구, p.7, p.24(2006). 

  6. 국토연구원, 물 수요관리 평가모형의 구축방안 연구(2006). 

  7. 환경부, 물수요관리 종합계획 추진성과 시범평가 결과보고, (http://www.me.go.kr/). 

  8. 환경부, 상수도통계(1983-2009). 

  9.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안), 각 시도(2004-2006). 

  10. 최시중, 이동률, 문장원, 강성규,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 K-WEAP의 적용성," 한국수자원학회지, 43(7), 625-633 (2010).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4). 통합수자원평가계획 모형 사용자 안내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4-32. 

  12. 최시중, 서재승, 이동률, 문장원, "K-WEAP을 통한 수요관리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지, 경주, pp.560-564(2008). 

  13. Gupta, H. V,. Sorooshian, S., and Yapo, P. O, "Status of automatic calibration for hydrologic model: Comparison with multilevel expert calibration." J. Hydrol. Engineering, ASCE, 4(2), 135-143(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