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주 송산리 6호분 벽화의 제작기술 고찰
Making Technique Studies of Mural Paintings in the No. 6 Tomb of Songsanri, Gongju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no.4, 2011년, pp.451 - 458  

한경순 (건국대학교 회화보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광학적 및 과학적 분석조사를 토대로 송산리 6호분 벽화의 제작기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송산리 6호분의 전축방식은 공적법이 아닌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전(塼)을 축조하였고 줄눈(masonry joint) 재료로 석회, 모래 및 석고를 이용하였다. 전돌 표면에는 전체적으로 흑색을 칠한 다음 백색 회(灰)칠을 하였다. 그 위에 벽화제작을 위한 점토 바탕 층을 조성하였는데 수비가 잘된 점토를 흙손 등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붓으로 바르듯이 완성하였다. 바탕층에 사용된 점토의 재료적 특성은 $30{\mu}m$ 실트질 크기 이하의 광물입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 고대의 고분벽화에서 사신도의 채색 부위에만 점토 바탕층을 조성하여 제작된 고분벽화는 송산리 6호분이 유일하다. 이 송산리 6호분은 동양을 비롯한 한국의 다른 벽화에서 볼 수 없는 제작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1933년 발굴 당시에 벽화는 이미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였다고 가정하더라도 종합적으로 볼 때 미완의 벽화라고 추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wall painting production technique of Songsanri No. 6 tomb based on optical examin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f written records of ancient wall paintings. The result displays that bricks with mortar wer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이번 연구는 2010년도에 처음으로 조사 연구된 6호분 벽화제작기술에 관한 조사내용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조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산리 6호분 전에서 채취한 시료는 어떤 것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결정이 관찰되었나요? 송산리 6호분 전에서 채취한 시료는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에서와 같이 불규칙한 크기의 점토 광물 입자들로 구성 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전돌 표면에서 침상의 방해석 결정이 관찰된다(Figure 11). 또한 큰 광물 입자는 모래입자로 추정된다.
송산리 6호분 벽화의 제작 기법을 조사하기위해 어떻게 관찰하였나요? 송산리 6호분 벽화(Figure 1)의 제작기법을 조사하기위해서 우선적으로 조명의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한 사진자료와 휴대형 디지털 현미경(DG-3, Scalar Co., Japan)을 이용한 세부사진을 바탕으로 육안 관찰하였다. 육안관찰을 통하여 손상도면을 작성하고 전 표면 벽화 바탕층의 손상상태를 휴대형 현미경(60×, 100×)으로 촬영하였다.
송산리 6호분의 벽면은 어떻게 축조 되었나요? 송산리 6호분은 지하로 묘광을 파고 연도를 갖춘 횡혈식 묘실과 경사진 긴 배수로가 설치된 백제고분의 일반적인 축조방식을 보이고 있으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연대를 6세기 초로 추정하고 있다. 각 벽면은 문양이 새겨진 전을 이용해 길이쌓기가 일곱 줄, 세워쌓기가 한 줄로 번갈아가며 축조되었다. 길이쌓기 층과 세워쌓기 층을 하나로 묶을 때 모두 네 개의 층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렇게 나눈 네 개의 층이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천장방향으로 일곱 번째 길이쌓기 한 줄까지는 백색안료로 칠했고, 여덟 번째 줄부터는 흑색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Figure 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 무령왕릉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 

  2.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송산리 고분군의 현황과 보존대책: 송산리 고분군 종합정밀조사보고 ". 충청남도 공주시, (1997). 

  3. 서만철, 이창환, 정계옥, 김동현, "송산리 고분군의 지구물리학적 조사를 통한 고분축조방법 고찰". 보존과학학회지, 6, p61-70, (1997). 

  4.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송산리 고분군의 보존현황과 보존대책: 송산리 고분군 제2차 종합정밀보고 ". 충청남도 공주시, (2000). 

  5. 한국전통문화학교, "백제 송산리 6호 벽화고분 보존연구". 충청남도 공주시, (2010). 

  6. 안승주, "백제고분의 연구", 백제문화, 8, p12-18, (1975). 

  7. 한국전통문화학교, "백제 송산리 6호 벽화고분 보존연구 ". 충청남도 공주시, p50-54, 84, (2010). 

  8. 유혜선, "高句麗雙楹塚壁畵의 顔料分析". 박물관보존과학, 6, (2005). 

  9.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북공동고구려벽화고분보존실태조사보고서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10. 남북역사학자협의회, "남북공동고구려벽화고분보존실태조사보고서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11. 북경중앙미술학원벽화연구소, "중국고대벽화조사현황 ". 인민미술출판사, (2007). 

  12. 하북성문물연구소, "하북고대묘벽화 ". 문물출판사, (2000). 

  13. 내몽고문물고고연구소, "내몽고요대벽화 ". 문물출판사, (2009). 

  14. 감숙성박물관, "남북조벽화 ". 문물출판사,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