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산간지역의 토사유출량 산정
Sediments Yield Estimation of Gangwon Mountain Region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1 no.3, 2011년, pp.127 - 132  

권혁재 (청주대학교 이공대학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산간지역에 대해 토사량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한 토사량과 실제 준설량을 비교하였다. MSDPM과 LADMP를 한국지형에 맞게 보정하고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두 식 모두 토사 유발 강우강도와 토사 유발 강우량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보정계수를 사용하여 식을 보정하였다. 계산 결과와 준설량을 비교한 결과, MSDPM의 계산결과가 LADMP보다 더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SDPM의 계산결과는 준설량과 약 27.6% 절대치 차이가 났으며 LADMP의 계산결과는 준설량과 약 50.6%의 절대치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보정된 두 개의 토사량 예측모형은 우리나라 산간지역의 토사량 예측을 위해서 사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alculation results of sediments yield prediction models were compared with the amount of dredging data for the Inje, Gangwon mountain region of Korea. MSDPM and LADMP were used as a sediments prediction model which was calibrated and modified to calculate the sediments yield of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손광익(2001)은 현재까지 개발된 각종 장. 단시간 호우에 대한 외국의 토사유출량 산정 기법들 중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의 국내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전국 7개 개발현장에서 실측한 강우 및 토사유출량 자료를 RUSLE공식에 적용, 그 적용범위 및 한계성 등을 검토한 결과 국내 개발지역에 대한 토사생산량 산정기법으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RUSLE공식의 적용 시 우리나라에서 많이 범하고 있는 각 인자별 산정 오류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 신승숙 등(2006a)은 유역의 토사유출률을 실측조사와 SEMMA의 적용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기후 특성인 강우크기에 따른 토사유출률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불 이후 5년 동안 산지 소유역의 시험유역을 운영하여 유출 및 토사유출량을 실측하여 자료를 구축하였고, 이 유역에 산지지역의 토양침식 모형인 SEMMA을 적용하여 토양침식량을 산정하였으며 유역출구로 이송한 실제 토사유출량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인제군 산간지역에 위치한 사방댐의 준설정보를 가지고 토사량 예측 모형의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토사량 예측 모형은 MSDPM과 LADMP를 사용하였으며 강원 산간지역에 맞도록 식을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사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무엇을 위한 과제인가? 하지만 산간지역의 표면침식에 의해서 적체될 토석량 혹은 토사량을 정확히 예측하지 못 한다면 축조된 사방댐은 금방 제구실을 못할 수도 있거나 혹은 과대 설계 및 시공되어 건설비를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토사량을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사방댐의 설계는 물론 토사유출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피해를 최소화하는 최우선 과제일 것이다.
사방댐을 축조하는 이유는? 이러한 자연재해는 모든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산간지역에 발생하는 토석류는 많은 재산피해를 일으키고 있으며 인명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산간지역의 토석, 토사, 혹은 부유잡목등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사방댐을 축조하고 있다. 특히, 강원 산간지역의 경우 약 600여개의 사방댐을 설치한 상태이며 앞으로 더 많은 사방댐을 축조할 방침이다.
집중호우에 의한 재해가 특히 위협적인 장소는 어디인가? 최근 지구 온난화나 기상이변으로 인해 세계각지에서 많은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 동안 각지에서 집중호우에 의한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는 모든 분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산간지역에 발생하는 토석류는 많은 재산피해를 일으키고 있으며 인명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산간지역의 토석, 토사, 혹은 부유잡목등의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많은 사방댐을 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경석 (2008) 토석류 발생 지형과 유발 강우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5호, pp. 263-271. 

  2. 손광익 (2001) 해외 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 (I) - RUSLE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3호, pp. 199-207. 

  3. 손광익, 노진욱 (2009) 도시유역에 대한 토사유출량 모의기법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9호, pp. 737-745. 

  4. 신승숙, 박상덕, 이규송, 김용민, 심재현 (2006a)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08-612. 

  5. 신승숙, 박상덕, 채국석, 송범호, 이철규 (2006b) 유역의 크기에 따른 산불지역 토사유출률,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556-1560. 

  6. 인제군 (2009) 2009년 사방댐 준설사업 설계서, 강원도 인제군. 

  7. Amar A.C. and Gatwood E.J. (1992) Los Angeles District Method for Prediction of Debris Yield from Coastal Southern California Watersheds, U.S.Army Corps of Engineers, Los Angeles District. 

  8. Ferrell, W.R. (1959) Report on debris reduction studies for mountain watersheds, Los Angeles County Flood Control District, Dam and Conservation Branch. 

  9. Gatwood, E., Pedersen, J., and Casey, K. (2000). Los Angeles District Method for prediction of debris yield. U.S. Army Corps of Engineers, Los Angeles District, Los Angeles, California. 

  10. McCuen, R.H. and Hromadka, T.V. II (1996) Estimating debris volumes for flood control, Lighthouse Publications. 

  11. Pak, J.H. (2005) A real-time debris prediction model (USCDPM) incorporating wildfire and subsequent storm event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CA, USA. 

  12. Pak, J.H. and Lee, J.J. (2008) A statistical sediment yield prediction model incorporating the effect of fires and subsequent storm events,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4, No. 3, pp. 689-699. 

  13. Tatum F.E. (1963) A New Method of Estimating Debris-Storage Requirements for Debris Basin, Second National Conference on Sedimentation of the Subcommittee on Sedimentation, ICWR, Jackson, Mississipp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