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규모 수치모델 WRF를 이용한 북한 풍력-기상자원지도 개발
Development of wind Map Over North Korea using the Mesoscale Model WRF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1 no.4, 2011년, pp.471 - 480  

서범근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변재영 (기상청 기상자원과)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wind in North Korea using mesoscale model WRF. Hourly wind fields were simulated for one year representing mean characteristics of an 11-years period from 1998 to 2008. The simulations were performed on a nested grid from 27 km to 1 km horizo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북한은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 풍력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상세한 북한 풍력-기상자원지도를 개발하여 남북 간의 기술교류 및 미래 에너지자원의 확보에 도움이 되고자 진행하였다.
  • 북한의 경우에도 서은경 등 (2009)은 관측값을 이용하여 50m와 80m 바람의 평가를 하였으며 이 중에서도 80m 고도에서 풍력에너지 생산에 용이한 고도임을 밝힌바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50 m와 80 m 고도 중에서 80 m에 초점을 맞추어 북한의 풍력-기상 자원지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이 80 m 높이에서의 풍력-기상자원지도가 수치모델을 통해서 산출되었으며, 이렇게 산출된 풍력-기상자원지도의 검증을 위해서는 지상으로부터 80 m 높이의 관측자료와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 따라서 복잡한 지형의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1km 해상도를 갖는 고해상도의 풍력-기상자원지도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풍력-기상자원지도의 작성을 위해 2장에서는 수치모의 방법을 기술하고, 작성된 지도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관측치를 이용한 검증방법과 검증결과를 3장에 제시하였고, 4장에 북한 풍력 자원의 평가의 순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또한 변재영 등 (2010)은 이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남한 풍력-기상자원지도를 작성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의 전 영역을 대상으로 1 km 해상도의 풍력-기상자원지도 개발을 위해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매우 상세한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기 때문에 WRF 모델은 본 연구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모델의 도메인은 Fig.
  • 이렇게 구축된 TMY의 월별, 연별 평균은 11년 동안에 대한 전체 월별, 연별 평균과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통계적인 기법들을 바탕으로 구성된 TMY의 기간을 이용하여 11년을 대표하는 북한 풍력-기상자원지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국면에 처한 북한은 풍력에너지를 원활히 확보하기 위해 국제사회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이에 우리나라에서의 북한 풍력-기상자원지도 개발은 남북의 기술 교류 확대와 미래 에너지자원의 확보를 위해서 그 의미가 크다 (서은경 등,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의 과학기술 현황 조사 연구에서 알 수 있는, 북한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신재생에너지는 무엇인가? 하지만 기존 화력·수력 설비의 노후화 및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확보문제 등 점차 어려움이 증가하여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양의석, 2004). 홍성범 등 (2001)의 북한의 과학기술 현황 조사 연구에서는 북한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신재생에너지가 바로 풍력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풍력은 에너지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농촌 지역과 교외 지역에 확대될 필요가 있다.
북한이 2009년에 UNFCCC에 제출한 온실가스 배출의 상황과 정책들에 대한 국가보고서를 정우진이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북한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92년 ‘기후변화에 관한 국제 연합 기본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에 가입하였으며, 북한은 2000년도에 온실가스 배출의 상황과 정책들에 대한 국가보고서를 UNFCCC에 제출한 바 있다. 정우진 (2009)이 조사한 이 보고서에서는 북한의 1990년대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201.9백만 tCO2eq (Ton of CO2 Equivalent)이며 온실가스 흡수량이 14.6백만 tCO2eq이고, 순 배출량은 187.3백만 tCO2eq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온실가스 배출의 비중은 에너지사용에서 88.62%, 농업에서 5.76%, 산업공정에서 4.88%, 폐기물에서 0.73%로 나타나 에너지사용이 온실가스 배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가스 중에서 CO2가 83.92%, CH4가 10.14%, N2O가 5.94%를 차지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CO2의 배출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우진, 2009).
북한의 에너지 사용의 실정은 어떠한가? 북한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자급자족 형태로 지하 자원인 석탄과 수자원을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입에너지원의 사용을 억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 화력·수력 설비의 노후화 및 화석연료 고갈에 따른 확보문제 등 점차 어려움이 증가하여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양의석,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유근, 정주희, 배주현, 오인보, 권지혜, 서장원, 2006: WRF 모형을 통한 복잡 연안 지역에서의 해상풍 모의 개선. 한국대기환경학회, 22(3), 309-323. 

  2. 김혜중, 정선, 최영진, 김규량, 정영림, 2009: 한반도 바람자원의 TMY (typical meteorological year) 구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22(5), 943-960. 

  3. 김현구, 장문석, 경남호, 이화운, 최현정, 김동혁, 2006: 수치 바람모의에 의한 저해상도 국가 바람지도의 구축.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0(4), 31-38. 

  4. 변재영, 최영진, 서범근, 2010: 중규모 모델 WRF로부터 모의된 한반도 풍력-기장자원 특성. 대기, 20(2), 195-210. 

  5. 변재영, 최영진, 서범근, 2010: WRF-UCM (Urban Canopy Model)을 이용한 서울 지역의 도시기상 예보 평가. 대기, 20(1), 13-26. 

  6. 서범근, 변재영, 최영진, 2010: WRF 모델을 이용한 지표층 바람장의 대기경계층 모수화와 지면모델 민감도 평가. 대기, 20(3), 319-332. 

  7. 서은경, 윤준희, 박영산, 2009: 북한 지역에서의 30년 동안의 평균 바람 지도.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0(7), 845-854. 

  8. 양의석, 2004: 북한 에너지산업 재건 및 개발을 위한 투자재원 조달 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9 p. 

  9. 정우진, 2009: 북한 CDM 사업 잠재력 분석 및 남북 협력 방안. 에너지경제연구원, 3-8 p. 

  10. 함수련, 박선주, 방철한, 정병주, 홍성유, 2005: WRF, MM5, RSM 모형에서 모의한 2004년 7월 11-18일의 동아시아 몬순의 비교. 대기, 15(2), 91-99. 

  11. 허철운, 이용섭, 이은정, 2010: 기상정보를 활용한 한반도 풍력자원지도 공간적 분포 특성. 대기, 20(2), 63-71. 

  12. 홍성범, 임기철, 임덕순, 이춘근 홍사균, 2001: 북한의 주요분야 별 과학기술 현황 조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08 p. 

  13. Archer, C. L. and M. Z. Jacobson, 2005: Evaluation of global wind power. J. Geophys. Res., 110, D12110,doi:`0.`019/2004JD005462. 

  14. Chen, F. and J. Dudhia, 2001: Coupling an Advanced Land Surface-Hydorlogy Model with the Penn state - NCAR MM5 Modeling System. Part I: Implementation and Sensitivity. Mon. Wea. Rev., 129, 569-585. 

  15. Elliott, D. and M. Schwartz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ight Resolution State Wind Resource Maps for the United States. Technical Report, NREL/TP-500-38127. 

  16. Lin, C.Y., F. Chen, J.C. Huang, W.-C. Chen, Y.-A. Liou, W.-N. Chen, and S.-C. Liu, 2008: Urban heat island effect and its impact on boundary layer development and land-sea circulation over northern Taiwan. Atmos. Sci., 42, 5635-5649. 

  17. Lim, K.S. and S. Y. Hong, 2010: Development of an Effective Double-Moment Cloud Microphysics Scheme with Prognostic Cloud Condensation Nuclei(CCN) for weather and climate models. Mon. Wea. Rev., 138, 1587-1612. 

  18. Mellor, G. L. and T. Yamada, 1974: A Hierarchy of Turbulence Closure Models for Planetary Boundary Layers. J. Atmos. Sci., 31, 1791-1806. 

  19. Skamarock, W.C., J. B. Klemp, J. Dudhia, D. O. Gill, D. M. Barker, M. G. Duda, X. Huang, W. Wang, and J. G. Powe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 Note NCAR/TN-475+STR,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Boulder, CO, 125 pp. 

  20. Zhang Y., X.-Y. Wen, and C.J. Jang, 2010: Simulating chemistryaerosol- cloud-radiation-climate feedbacks over the continental U.S. using the online-coupled Weather Reserch Forecasting Model with chemistry (WRF/Chem). Atmos. Sci., 44, 3568-35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