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중.일 전통주거의 공간구조 및 공간이용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 충효당, 4진 사합원, 니노마루고덴 사례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ditional Housing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Respect of Spatial Structure and Space Use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2, 2011년, pp.101 - 109  

김민석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til now, several comparative approaches were developed within the studi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housings. In those studies, however, each space in the traditional houses was only treated in individual and fragmentary manners, and they lacked the interpretation of the topolo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한·중·일 3국 전통주거의 비교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석대상 전통주거들에 대하여 각각 볼록공간도를 작성한 후 그로부터 통합도를 각각 산출한다.
  •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이 주거공간 배치구조에 있으므로, 공간배치적 특성에 입각하여 각 국의 대표사례를 선정하도록 한다. 또한 현재에도 관련 자료는 물론 그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보다 면밀한 고찰이 가능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선정하도록 한다.
  • 본 연구는 한·중·일 3국의 전통주거를 공간구조와 공간이용의 측면에서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공간구문론 기법의 적용에 있어서 분석 대상 주거 공간들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방법론적 장치들을 설정하고, 이를 통하여 분석 대상 주거 공간들을 분석하고 각각 비교한 후, 그 문화적 · 행태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반가, 명·청시대 사합원, 에도시대 쇼인즈쿠리를 중심으로 한·중·일 3국의 전통주거를 공간구조와 공간이용의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 또한 이상은(2002)에 의하면, 한국 전통건축에서 외부 공간과 내부공간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고, 그 내부에서의 생활·이용 메커니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부공간을 외부공간과 따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이는 사합원이나 쇼인즈쿠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내부공간과 마찬가지로 외부공간 또한 작성 대상에 포함시켜서 외부공간의 볼록공간(convex space)의 작성 원칙을 수립하도록 한다. 또한 초수유랑(抄手游廊)과 같이 지붕으로 덮힌 회랑의 경우는 복도 공간의 개념으로 보아 그 주변의 외부공간과 따로 구분하여 각각의 볼록공간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 그러나 이렇게 산출된 통합도 지표마져도 노드 개수에 의한 영향에서 완벽히 자유롭지 못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드 개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즉 규모의 차이에 의해 비교분석의 신뢰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으로 표준화된(standardized) 통합도 지표를 활용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서로다른 규모의 주거공간들에 대한 비교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3국의 전통주거를 공간구조 전반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로부터 각국 전통주거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공간이용 특성과 연계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구문론이란? 공간구문론은 런던대(UCL) 바틀렛 건축학부의 힐리어(Hiller, B.) 교수 등에 의해 개발된 정량적 공간분석기법으로, 사회현상을 유도하는 건축적 요소로서 공간의 상대적 배치(configuration), 즉 단위공간 간의 상호관계성에 주목하여 공간배치구조상의 위상학적 중심성, 접근성, 동선효율성 등의 속성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다시 말해서, 공간구문론은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에 근거하여 건축 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적 특성을 공간구조 전반적 차원에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식으로 파악하는 방법론이다.
한·중·일 3국의 전통주거를 공간구조와 공간이용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기 위해 어떤 속성을 살펴보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반가, 명·청시대 사합원, 에도시대 쇼인즈쿠리를 중심으로 한·중·일 3국의 전통주거를 공간구조와 공간이용의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공간구조의 측면에서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 전반에서의 개별 공간의 속성을 살펴보았고, 공간이용의 측면에서는 주요한 전통주거 생활행위별 공간이용 특성 및 공간구조와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공간구조의 그래프 재현 방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공간구문론 기법을 통한 분석에 있어서, 분석대상 공간구조에 적합한 그래프 재현(representation)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간구조의 그래프 재현 방식으로 축선도(axial map), 볼록공간도(convex map), 격자배열도(grid map) 등이 활용되고 있는데, 축선도는 주로 가로공간과 같은 대규모 외부공간에, 볼록공간도는 주로 주거공간이나 단일 건축물 공간과 같은 중·소규모 건축공간에, 그리고 격자배열도는 개방형 평면의 건축공간 및 소규모 도시공간에 활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미나.조성기 (2002). 韓.中.日의 경계의식에 따른 주거공간의 경계구조.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18(1), 123-132. 

  2. 김봉렬 (1999). 한국건축 이야기 3. 파주: 돌베개. 

  3. 김화봉 (1999). 朝鮮時代 安東文化圈의 '뜰집'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4. 박형진.박세정.김문덕 (2005). 한.일 전통 주거공간의 '중간영역'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4(3), 84-94. 

  5. 손세관 (2001). 넓게 본 중국의 주택(上). 서울: 열화당. 

  6. 윤일이 (2005). 儒敎 受容에 따른 傳統住宅 男性空間의 變遷에 관한 比較硏究. 한국건축역사학회지, 14(1), 123-134. 

  7. 윤장섭 (2000). 日本의 建築. 서울대학교 출판부. 

  8. 윤장섭 (2002). 한국건축사. 서울: 동명사. 

  9. 이상은 (2002). 주생활과 공간구조와의 관계에 따른 조선시대 상류주택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0. 이원식 (2002). 생활행위별 韓.中.日 전통주거의 공간이용 특성에 따른 비교문화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장동국 (1999). 전통주거공간의 형상학적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5(10), 111-120. 

  12. 장동국 (2002). 영.호남 전통상류주택 공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8(11), 125-132. 

  13. 주남철 (1980). 한국주택건축. 서울: 일지사. 

  14. 최윤경 (2003). 사회와 건축공간. 서울: 스페이스타임. 

  15. 최일 (1989). 朝鮮 中期以後 南部地方 中上流住居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6. 한국건축역사학회 편 (2003). 한국 건축사 연구 1. 서울: 발언. 

  17. Hillier, B., & Hanson, J.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Hanson, J. (1998). Decoding Homes and Hou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Orhun, D., Hillier, B., & Hanson, J. (1995). Spatial types in traditional Turkish houses. Environment and Planning B, 22(4), 475-49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