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탄회를 이용한 석탄광산 폐기물의 안정화 효율성 평가: 컬럼 시험
Evaluating Stabilization Efficiency of Coal Combustion Ash (CCA) for Coal Mine Wastes: Column Experiment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071 - 1079  

오세진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김성철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고주인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이진수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양재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석탄 광산에 적치된 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의 안정화를 위해 석탄회를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석탄폐석에 석탄회를 적용하여 컬럼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석탄회의 pH는 비산재와 바닥재가 각각 11.1, 9.7의 강알칼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강산성 조건의 폐석 (pH 3.5)를 교정하였으며 유기물을 비롯하여 식물 생장에 필요한 영양소인 인산, 칼슘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폐석과 혼합할 경우 비옥도가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폐석만을 충진한 컬럼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pH는 3.5~4.0의 수준을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석탄회의 처리량에 따라 40% (pH 5.0~6.0) > 20% (pH 4.5)로 나타나고, 동일 처리량 (40%)의 처리방법에 따른 효율성은 완전혼합 (pH 5.0~6.0) 방법이 층위처리 (pH 4.0~4.5)에 비해 pH 상승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침출수의 Ca과 Mg의 함량은 4 pore volume까지 빠르게 용탈되다 그 이후부터 안정화 되었으며 석탄회에서 용탈된 Ca과 Mg의 영향으로 폐석에 함유되었던 Cu, Pb, As, 및 Al 등이 탄산이온 ($CO_3^{2-}$) 또는 수산화이온 ($OH^-$)과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하여 안정화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철의 용존함유량에 대한 분석결과 석탄회 처리구의 용존량이 석탄회를 40% 층위처리한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에 비해 약 8-74%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석탄회를 이용한 폐석의 중화 및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을 평가한 결과 폐석의 중화 효율성은 석탄회를 40% 완전혼합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철의 용존량 감소 효율성은 석탄회를 20% 완전혼합한 경우가 가장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석탄회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폐석을 처리할 경우 약 20-40%의 석탄회를 처리해야 높은 효율성을 얻을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oal combustion ash (CCA) was evaluated for its stabilization effect on acidic mine waste with column experiment. Total of six treatments were installed depending on mixing ratio between coal wastes and CCA (0, 20, 40%) and mixing method (completely mixing and layered). Artificial a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량의 중금속을 함유하는 폐석탄 광산에 적치된 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침출수의 안정화를 위해 석탄회를 안정화제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석탄폐석에 석탄회를 적용하여 컬럼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 이후 많은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석탄광산 폐석으로부터 발생하는 산성광산배수의 안정화를 위해 석탄회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석탄회를 이용한 석탄광산 오염물질의 복원은 동일 자원의 순환이라는 큰 이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광업활동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광업활동은 해방 이전 금속, 비금속광산을 대상으로 전성기를 누리다 해방 이후 거의 미비한 상태였지만, 1960년대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다시 광산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특히 석탄광산의 경우 탄전형태로 개발되었으며 에너지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국가중점사업으로 개발되었다 (Lee et al., 2009). 하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사회적 변화, 대체에너지 수입 등의 이유로 광업활동이 감소하여 전성기 때의 약 97% (석탄광산 300여개 이상)가 활동을 중단하였다 (Kim et al., 2005; Kim et al.
산성광산배수의 복원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광해는 오염성, 지속성, 축적성, 확산성의 특징을 갖고 있어 광산 활동 시 뿐만 아니라 폐광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중금속은 환경에 유입될 경우 미생물의 활성 저해 및 식물체, 먹이연쇄를 통한 인체로의 유입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점점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Adriano, 1986; Nriagu and Pacyna, 1988; Yang et al., 2005).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산성광산배수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 2005). 환경문제를 유발하는 산성광산배수는 황화광물 중 황철석 (금속광에서 흔히 관찰되며, 석탄광에도 다량 함유), 자류철석, 백철석, 황동석, 유비철석 등이 지표에 노출되어 산화가 이루어져 H+이온을 방출함으로써 pH가 낮아져 발생한다 (Ko, 2007; Lee and Song, 2010; MKE, 2007; 2009; Yang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driano, D.C. 1986,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Springer Verlag New York Inc. 390-420. 

  2. James. V., J.R. Bothe., and W.B. Paul. 1999. Arsenic Immobilization by calcium arsenate formation. Environ. Sci. Technol. 33:3806-3811. 

  3. Jung, G.B., J.S. Lee, W.I. Kim, J.H. Kim, J.D. Shin, and S.G. Yun. 2005. Fractionation and Potential Mobility of Heavy Metals in Tailings and Paddy Soils near Abandoned Metalliferous Mines. J. Soil Sci. Fert. 38(5):259-268. 

  4. Jo, Y.D., H.S. Kim, and J.H. Ahn. 2007a.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s in Coal Mine Drainage. Journal of Miner. 20(2):125-134. 

  5. Jo, K.S., Y. Roh, and D.H. Chung. 2007b. A Biogeochemical Study on the Heavy Metal Leaching from Coal Fly Ash Disposed by Dangjin Fire Plant in the Coastal Environment. Jour. Korean Earth Sience Society. 28(1):112-122. 

  6. Ko, J.I. 2007. A Study on Cover System Design and Seepage Treatment System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the Waste Rock Pile in a Coal M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B.G., G.S. Lee, C.W. Nam, and C.L. Park. 2008a. Characteristics of Soil Conditioner Pellets fabriccated by Self-propagating Combustion Methods Using Coal Refuse. J. Soil Sci. Fert. 41(6):379-386. 

  8. Kim, K.J. and J.W. Kim. 1981. A Study on the Use of Dolomite as a Water Treatment Aid. Journal of Civil Engineers. 29(3):145-152. 

  9. Kim, K.R., Park, J.S., Kim, M.S., Kim, J.K., Yeon, K.H., Yang, J.E., and Hong, S.J. 2010a. Application of heavy metal immobilization using soil amendments in association with appropriate crop selection. J. Mine Reclam. Technol. 4(2):135-143. 

  10. Kim, H.J., J.E. Yang, Y.S. Ok, K.Y. Yoo, B.K. Park, J.Y. Lee, and S.H. Jun. 2004. Reclamation of the Closed/Abandoned Coal Mine Overburden Using Lime Wastes from Soda Ash Production. J. Soil and Groundwater Env. 37-47. 

  11. Kim, H.J., J.E. Yang, Y.S. Ok, J.Y. Lee, B.K. Park, S.H. Kong, and S.H. Jun. 2005. Assessment of Water Pollution by Discharge of Abandoned Mines. J. Soil and Groundwater Env. 10(5):25-36. 

  12. Kim, H.J., J.E. Yang, J.Y. Lee, and S.H. Jun. 2006. Treatment of the Closed Mine Wastes Using Lime Cake from Soda Ash Production. J. Soil and Groundwater Env. 171-182. 

  13. Kim, H.S., S.W. Hong, S.D. Cho, and J.H. Kim. 1995. The Assessment of Water Quality Contamination Following the Utilization of Coal Ash as Fill Materials. J. Geotechnical Soi. 11(3):5-15. 

  14. Kim, J.G. 1999. Crystallinity and Chemical Reactivity of Birnessite Influenced by Iron. J. Soil Sci. Fert. 32(4):327-332. 

  15. Kim, P.G., K.Y. Sung, and M.E. Park. 2008b. Assessment on the Mechanical-Chemical Stabilities of Coal Ash Blocks in Sea Water. Econ. Environ. Geol. 41(4):383-392. 

  16. Kim, W.I., J.J. Kim, J.H. Yoo, J.Y. Kim, J.H. Lee, M.K. Paik, R.Y. Kim, and G.J. Im. 2010b. Arsenic Fractionation and Bioavailability in Paddy Soils Near Closed Mines in Korea. J. Soil Sci. Fert. 43(6):917-922. 

  17. Lee, G.S. and Y.J. Song. 2010. Characterization of Leaching of Heavy Metal and Formation of Acid Mine Drainage from Coal Mine Tailings. J. of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9(2):54-62. 

  18. Lee, J.Y., M.Y. Han, J.S. Yang, and J.Y. Choi. 2009. A Study on Environmental.M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roach for the Sustainable Min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Mine Hazards. J. Envir. Policy. 8(1): 130-143. 

  19.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02. The Korean standard method of environmental pollutions for soil pollution. 

  20. MK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05. A Study on the Mine Pollution Control for the Mine Colsure (Sa book, Go han, Tae back Region). 

  21. MK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07. Development of Practical Technologies for Damage Assessments and Countermeasure for Geohazards. 

  22. MK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09. Development of Practical Technologies for Countermeasures for Hazards in Steep Slope and Abandoned Mine Areas. 

  23. Moon, D.H., K.H. Cheong, T.S. Kim, J.H. Kim, S.B. Choi, Y.S. Ok, and O.R. Moon. 2010. Stabilization of Pb Contaminated Army Firing Range Soil using Calcined Waste Oyster Shells. Environ. Eng. Res. 32:185-192. 

  24. Moon, Y.H., Y.G. Song, H.S. Moon, and Y.S. Zhang. 2010. Mobility of Matals in Tailings Using a Column Experiment from the Guryong Copper Mine. J. Soil Sci. Fert. 43(3):275-282. 

  25. NIAST. 200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Korea. 

  26. Nriagu J.O. and J.M. Pacyna. 1988, Quantitative Assessment of Worldwide Contamination of Air, Water and Soil by Trace Metal. Nature. 333:134-139. 

  27. Park, C.J., W.I. Kim, G.B. Jeong, J.S. Lee, J.S. Ryu, and J.E. Yang. 2006.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Release from the Abandoned Dogog Mine Tailing in Korea. Korea J. Environ. Agric. 25(4):316-322. 

  28. Roo, W.H., W.M. Lee, P.S. Hong, C.H. Yang, J.Y. Ahn, I.H. Baek, and B.R. Lee. 2003. The Synthesis of Zeolite Using Fly Ash and Its Heavy Metal Adsorption Performance. J. Che. Eng. 41(5):655-660. 

  29. Skoog, D.A. and J.J. Leary. 1991.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Saunders College Publishing. 357-400. 

  30. Tony. S.S, and K.K. Pant. 2006 Solidifiaction stabilization of arsenic containing solid wastes using portland cement, fly ash and polymeric meterial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1:29-36 

  31. Yang, J.E., J. Scousen, Y.S. Ko, K.Y. Yoo, and H.J. Kim. 2006. Reclamation of Abandened Coal Mine Waste in Korea Using Lime Cake By-Products. Mine Wat. Env. 25:227-232. 

  32. Yang, J.E., H.J. Kim, Y.S. Ok, J.Y. Lee, and J.H. Park. 2007. Treatment of Abandoned Coal Mine Discharged Waters Using Lime Wastes. Geosci. Journal. 11(2):111-114. 

  33. Yoo, K.Y., Y.W. Cheong, Y.S. Ok, and J.E. Yang. 2005. Neutralization of Pyrophyllite Mine Wastes by the Lime Cake By-Product. Korea J. Environ. Agric. 24(3):215-221. 

  34. Yoo, J.K., S.H. Choi, and M.S. Lee. 2001. Separation of Fe Component from Zn, Fe Mixed Solution by Fly Ash. Environ. Eng. Res. 23(10):1675-16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