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산청군 밤나무 재배지의 조성 기간에 따른 토양 및 잎 양분 특성
Soil and Leaf Nutrient Properties by Establishment Periods of Ches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Orchards in Sancheong-gun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137 - 1143  

김춘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현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조현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임종택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 ,  변재경 (국립산림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과 신안면의 20년 이상 밤나무재배지 17개소, 19년 이하 재배지 13개소 등 총 30개소를 대상으로 조성 기간에 따른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잎의 형태적 특성과 양분함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물리적 특성 중 토양용적밀도는 20년 이상 재배지가 $1.16g\;cm^{-3}$으로 19년 이하 재배지 $1.03g\;cm^{-3}$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토양 화학적 특성 중 토양 pH는 20년 이상 재배지의 토양 pH가 4.56으로 19년 이하 재배지 토양 pH 4.73에 비해 토양 산성화가 심하였으나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칼륨 함량은 조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p>0.05). 또한, 잎 면적, 잎 건중량, 잎 내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함량도 조성 기간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밤나무재배지의 토양특성 중 조성 기간은 토양용적밀도 같은 물리적 특성에 변화를 초래하지만 토양 화학적 특성과 잎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ptimum soil management of chestnut orchards is important to ensure high quality and yields of chestnu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and green leaf characteristics by establishment period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orchards i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밤나무 재배지 조성이후 토양특성 변화의 이해가 재배지의 효과적인 토양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지만 아직까지 이 분야에 대한 자료는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밤나무 재배지 중 토양산성화가 가장 심하고 토양특성이 열악한 것으로 알려진 (Kim et al., 2007a) 산청군 지역을 대상으로 밤나무 재배지의 조성 기간이 토양특성 및 잎 내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밤 재배지의 일조량이 부족할 시 어떤 비료의 시비 효과가 탁월한가? 특히 밤 재배지의 낙과 방지 및 밤 수량 증대를 위한 붕소비료의 처방은 밤 생산성 향상 및 수익 증대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밤나무 재배지의 토양 관리와 관련한 가장 우수한 사례가 되고 있다. 또한, 일조량이 부족할시 마그네슘비료의 시비 효과가 탁월하였으며 무시비구에 비해 약 7배 증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Chung et al., 1982).
밤나무는 어떤 토양에서 적응성이 높은가? 밤나무는 토양 pH 4.8∼5.8 범위의 산성토양에 적응성이 높은 호산성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Chung and Park, 1978; Kim et al., 2007b) 화강암이나 화강편마암 같은 산성암을 모재로 생성된 우리나라 산림토양은 밤나무 재배 가능 지역이 넓어 21,465호의 농가가 평균 2.
우리나라 산림토양은 무엇을 모재로 생성되었는가? 8 범위의 산성토양에 적응성이 높은 호산성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Chung and Park, 1978; Kim et al., 2007b) 화강암이나 화강편마암 같은 산성암을 모재로 생성된 우리나라 산림토양은 밤나무 재배 가능 지역이 넓어 21,465호의 농가가 평균 2.4 ha의 면적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ung, I.K. and S.G. Park. 1978 Fertilization management to sustain and enhance chestnut production in chestnut orchards. Potassium Research Institute. pp. 295. 

  2. Chung, I.K. 1980. Response to specific fertilizer on chestnut tree (I) -Study on the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 on growth and nut-production of chestnut plantation- Jour. Korean For. Soc. 50:35-44. 

  3. Chung, I.K., S.W. Kang, and M.S. Lee. 1982. Response to specific fertilizer on chestnut tree (II) -Deficiency of insolation and effect of the compound fertilizer with MgO component- Jour. Korean For. Soc. 58:17-22. 

  4. GFERI (Gyeongsangnamdo Forest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2008. Effects of soil conditioner treatments in chestnut orchards. pp. 41. 

  5. Ha, H.S., D.B. Park, and J.S. Heo. 1982. Studies on the nutritional diagnosis of the soil and the plant leaves in sweet persimmon cultivation area of Jinyoung. J. Korean Soc. Soil Sci. Fert. 15:258-269. 

  6. Jeong, J.H., K.S. Koo, C.H. Lee, and C. Kim. 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 Korean For. Soc. 91:694-700. 

  7. Kim, C., J.T. Lim, H.S. Cho, and G.H. Goo. 2007a. Soil properties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stands by regions in Gyeongnam province. Jour. Korean For. Soc. 96:89-95. 

  8. Kim, M.J., S.C. Kim, and M.S. Hwang. 2007b. New techniques for cultivation of chestnut orchards to strength competition. Bull. Kor. For. Res. Inst. 23:1-256. 

  9. Kim, J.S. 2010. Survey of chestnut yield costs in 2009. For. Sci. Infor. 229:20-21. 

  10. Korea Forest Service. 2005. Integrated strategy of chestnut industry. p. 1-41. 

  11. Kowalenko, C.G. 1996. Interpretation of autumn soil tests for hazelnut. Can. J. Soil. Sci. 76:195-202. 

  12. Lee, J.H., C.H. Lee, B.S. Kang, and B.K. Ahn. 2010. Investigation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the cultivation fields of Rubus coreanus with different growth ages. Korean J. Soil Sci. Fert. 43:923-929. 

  13. Lee, S.H., K.H. Kim, J.K. Byun, J.K. Lee, and B.J. Moon. 2006. Effects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occurrence of chestnut blight in chesnut tree plantations. Jour. Korean For. Soc. 95:139-144. 

  14. MAF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5. Development of cultivation technology for renovation of aged chestnut orchards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pp. 321. 

  15.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 of soil and plant. Suwon, RDA. Korea. pp. 202. 

  16. Rhoades, C.C., S.L. Brosi, A.J. Dattilo, and P. Vincelli. 2003. Effect of soil compaction and moisture on incidence of phytophthora root rot on American chestnut (Castanea dentata) seedlings. For. Ecol. Manage. 184:47-54. 

  17. SAS Institute. 1989.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4th edition. Volume 2, Cary, NC U.S.A. pp. 1686. 

  18. Seo, Y.J., J.S. Kim, J.K. Kim, J.U. Cho, T.Y. Kwon, and J.S. Lee. 2002. Soil chemical properties of peach orchard and nutrient content of peach leaves in Gyeongbuk Area. Korean J. Soil Sci. Fer. 35:175-184. 

  19. Westerman, R.L. 1990. Soil testing and plant analysis. 3rd edit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pp. 7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