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지역 논 토양 지형과 미생물 군집의 관계
Relationship of Topography and Microbial Community from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158 - 1163  

이영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지역 논 토양 곡간 및 선상지 10개소와 하성평탄지 10개소를 대상으로 2011년에 미생물 세포벽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여 미생물 다양성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미생물체량은 곡간 및 선상지가 $1,266mg\;kg^{-1}$으로 하성평탄지 $578mg\;kg^{-1}$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탈수소효소 활성도 곡간 및 선상지가 $204{\mu}g\;TPF\;g^{-1}\;24h^{-1}$으로 하성평탄지 $93{\mu}g\;TPF\;g^{-1}\;24h^{-1}$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논 토양 평균 미생물 군집은 곡간 및 선상지가 총 세균이 32.9%, 그람음성 세균은 17.7%로서 하성평탄지의 총 세균 30.3%, 그람음성 세균 15.2%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주성분 분석 결과 토양 유기물 함량과 총 세균 군집 비율이 경남지역 논 토양의 곡간 및 선상지와 하성평탄지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soil microbial communities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in paddy soils at 20 sites in Gyeongnam Province. The soil microbial biomass carbon content of fan and valley $1,266mg\;kg^{-1}$ was higher than alluvial plain $578mg\;k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경남지역 논 토양에서 지형적인 조건에 따른 미생물 군집 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남지역 곡간 및 선상지 10개소와 하성평탄지 10개소를 대상으로 FAME 분석을 통한 토양 미생물 군집을 검토하였으며 주성분분석에 의한 주요 변동요인을 해석하여 친환경 토양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중요한 것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는 토양 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활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매우 중요하다 (Lee and Kim, 2011; Lee and Yun, 2011). 최근에는 토양 미생물의 세포벽 지방산 조성을 간단하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방법을 사용하여 토양의 미생물 생체량과 군집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Kim and Lee, 2011; Lee et al.
경남지역 토양 미생물의 군집 중 세균 군집의 지형별 비율은? 9배, 구릉지 49 nmol g-1와 하성평탄지 44 nmol g-1 보다 3배 정도 높았다 (Lee and Ha, 2011). 산록경사지에서 총 세균 군집은 32.8%로 가장 높았으며 곡간 및 선상지 29.8% 및 하성평탄지 29.5%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내생균근균 군집도 5.3%로 하성평탄지 3.0%, 구릉지 2.5%, 곡간 및 선상지 2.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곰팡이 군집은 13.4%로 하성평탄지 18.6%, 곡간 및 선상지 18.2%, 구릉지 16.9%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Lee and Ha, 2011). 그리고 경남지역 지형별 과수원 토양의 총 FAME 함량은 구릉지가 377 nmol g-1으로 가장 높았으며 곡간 및 선상지가 308 nmol g-1, 산록경사지 306 nmol g-1을 나타냈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Lee and Lee, 2011).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방법의 장점은?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는 토양 속에 살고 있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활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매우 중요하다 (Lee and Kim, 2011; Lee and Yun, 2011). 최근에는 토양 미생물의 세포벽 지방산 조성을 간단하고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방법을 사용하여 토양의 미생물 생체량과 군집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Kim and Lee, 2011; Lee et al., 2011; Macalady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lser, T., K.K. Treseder, and M. Ekenler. 2005. Using lipid analysis and hyphal length to quantify AM and saprotrophic fungal abundance along a soil chronosequence. Soil Biol. Biochem. 37:601-604. 

  2. Bossio, D.A. and K.M. Scow. 1998. Impacts of carbon and flooding on soil microbial communities: phospholipid fatty acid profiles and substrate utilization patterns. Microb. Ecol. 35:265-278. 

  3. Bradleya, K., A. Rhae, R.A. Drijberb, and J. Knopsc. 2006. Increased N availability in grassland soils modifies their microbial communities and decreases the abundanc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Soil Biol. Biochem. 38:1583-1595. 

  4. Frostegard, A., A. Tunlid, and E. Baath. 1993.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biomass and activity of microbial communities from two soil types experimentally exposed to different heavy metals. Appl. Environ. Microbiol. 59:3605-3617. 

  5. Grogan, D.W. and J.E. Cronan. 1997. Cyclopropane ring formation in membrane lipids of bacteria. Microbiol. Mol. Biol. Rev. 61:429-441. 

  6. Guckert, J.B., M.A. Hood, and D.C. White. 1986. Phospholipid ester-linked fatty acid profile changes during nutrient deprivation of Vibrio cholerae: increases in cis/trans ratio and proportions of cyclopropyl fatty acid. Appl. Environ. Microbial. 52:794-801. 

  7. Hamel, C., K. Hanson, F. Selles, A.F. Cruz, R. Lemke, B. McConkey, and R. Zentner. 2006. Seasonal and long-term resource-related variations in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 wheat-based rotations of the Canadian prairie. Soil Biol. Biochem. 38:2104-2116. 

  8. Kieft, T.L., E. Wilch, K. O'connor, D.B. Ringelberg, and D.C. White. 1997. Survival and phospholipid fatty acid profiles of surface and subsurface bacteria in natural sediment microcosms. Appl. Environ. Microbiol. 63:1531-1542. 

  9. Kim E.S. and Y.H. Lee.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applications of green manures in paddy at an early rice growing stage. Korean J. Soil Sci. Fert. 44:221-227. 

  10. Lee, Y.H. and H. Kim.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farming systems for upland soybean cultiv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3):423-433. 

  11. Lee, Y.H. and H.D. Yun. 2011.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of agricultural soils subjected to organic farming system in Korean paddy fields with no-till manage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3):434-441. 

  12. Lee, Y.H. and S.K. Ha. 2011. Impacts of topography on microbial community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3):485-491. 

  13. Lee, Y.H. and S.T. Lee. 2011.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of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3):492-497. 

  14. Lee, Y.H. and Y.S. Zhang. 2011.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2):236-241. 

  15. Lee, Y.S., J.H. Kang, K.J. Choi, S.T. Lee, E.S. Kim, W.D. Song, and Y.H. Lee.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4(1):118-126. 

  16. Macalady, J.L., M.E. Fuller, and K.M. Scow. 1998. Effects of metam sodium fumigation on soil microbial activity and community structure. J. Environ. Qual. 27:54-63. 

  17. Mechri, B., H. Chehab, F. Attia, F.B. Mariem, M. Braham, and M. Hammami. 2010. Olive mill wastewater effects on the microbial communities as studied in the field of olive trees by analysis of fatty acid signatures. Eur. J. Soil Bio. 146:312-318. 

  18. Min, S.G., S.S. Park, and Y.H. Lee. 2011. Comparison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practice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4(3):479-484. 

  19. NIAST. 2000. Methods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20. NIAST. 2010. Annual report of the monitoring project on agro-environmental quality in 2009. NIAST, RDA, Suwon, Korea. 

  21. Olsson, P.A., R. Francis, D.J. Read, and B. Soderstrom. 1998. Growth of arbuscular mycorrhizal mycelium in calcareous dune sand and its interaction with other soil micro-organisms as estimated by measurement of specific fatty acids. Plant Soil 201:9-16. 

  22. SAS Institute. 2006. SAS Version 9.1.3. SAS Inst., Cary, NC. 

  23. Schutter, M.E. and R.P. Dick. 2000. Comparison of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s for characterizing microbial communities. Soil Sci. Soc. Am. J. 64:1659-1668. 

  24. Zelles, L. 1997. Phospholipid fatty acid profiles in selected member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Chemosphere 35:275-2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