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축분퇴비와 유기질비료에서 병원성박테리아의 분포도 분석
Preval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nd Organic Fertilizer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824 - 829  

정규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허성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노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동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윤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계훈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신선 채소류 등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퇴비등 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로 크게 5그룹으로 구분한 후 각 지역에서 국내 축산의 주요 축종인 소, 돼지, 닭의 분뇨를 주원료로 생산,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 32종과 박(粕) 종류가 주원료인 유기질 비료 28종을 수집하여 총균수, 대장균군 E. coli,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B. cereus 등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축분 퇴비 32종과 유기질 비료 28종의 총균수는 각각 $5.09{\sim}9.68log\;CFU\;g^{-1}$, $3.16{\sim}7.09log\;CFU\;g^{-1}$이었다. 총균수에서는 유기질 비료가 가축분 퇴비보다 더 낮은 미 생물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가축분 퇴비의 경우에는 총 32종 중 약 88%가 $7log\;CFU\;g^{-1}$ 이상의 수준을 보였다. 가축분 퇴비와 유기질 비료에서 대장균군은 각각 32종 중 4종 (12.5%)에서, 28종 중 4종 (14.2%)에서 검출되었고, E. coli은 각각 32종 중 2종 (6.3%), 28종 중 1종 (3.5%)에서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가축분 퇴비에서, 그 범위가 $2.77{\sim}4.63log\;CFU\;g^{-1}$, 평균 $3.42log\;CFU\;g^{-1}$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기질 비료에서, 그 범위는 $1.00{\sim}3.25log\;CFU\;g^{-1}$, 평균 $2.42log\;CFU\;g^{-1}$ 수준으로 나타났다. E. coli은 가축분 퇴비 32종 중 2종에서 $2.62{\sim}2.85log\;CFU\;g^{-1}$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유기질 비료에서 $1.85log\;CFU\;g^{-1}$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가축분 퇴비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등은 검출되지 않았고, B. cereus는 3종 (9%)에서 검출되었다. 유기질 비료에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B. cereus 등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병원성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부숙 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public concern about fecal contamination of water, air and agricultural produce by pathogens residing in organic fertilizers such as manure, compost and agricultural by-products. Efforts are now being made to control or eliminate the pathogen popul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li,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C. sakazakii, B. cereus 등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유기농산물 등의 생산에 이용되는 가축분 퇴비, 유기질비료 등 농자재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의 분포를 알아보는 것은 이들 농자재를 이용하여 재배전 농작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축분 퇴비와 유기질비료를 대상으로 대장균 등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가축분 퇴비 등의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유해 미생물 기준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비가열 농식품은 무엇인가? , 1999). 대표적인 비가열 농식품으로 곡류, 과채류, 엽채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식품은 가열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생리기능성이 높아지는 반면에 농식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또한 그대로 유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Ueda (1993)는 상추, 깻잎 등의 채소류에서 식중독균인 Bacillus cereus가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고, Kim et al.
퇴비화된 축산분뇨로 인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 2007). 만약 병원성 미생물이 퇴비 등의 농자재에 존재한다면 농작업 중 관개수나 작물을 오염시킬 수 있게 되고, 이 오염된 작물을 인간이 섭취를 할 경우 식중독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퇴비화 과정 중 발생하는 고온은 가축분뇨에 존재하는 유해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고 (Hess et al.
비가열 농식품은 어떤 문제점을 내포하는가? , 1999). 대표적인 비가열 농식품으로 곡류, 과채류, 엽채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식품은 가열 가공공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여러 가지 생리기능성이 높아지는 반면에 농식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또한 그대로 유지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Ueda (1993)는 상추, 깻잎 등의 채소류에서 식중독균인 Bacillus cereus가 검출되었다고 보고하였고,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Y.S., and D.H. Shin. 1999. Antimicrobial effects of organic acids and ethanol on several foodborn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315-1323. 

  2. Beadet, R., C. Gagnon, J.G. Bisaillon, and M. Ishaque. 1990. Microbiological aspects of aerobic thermophilic treatment of swine waste. Appl. Environ. Microbiol. 56:971-976. 

  3. Borken, W., A. Muhs, and F. Beese. 2002. Changes in microbial and soil properties following compost treatment of degraded temperate forest soils. Soil Biol. Biochem. 34:403-412. 

  4. Brinton, W.F., P. Storms, and T.C. Blewett. 2009. Occurrence and levels of fecal indicators and pathogenic bacteria in market ready recycled organic matter composts. J. food Prot. 72:332-339. 

  5. Burnett, S.L., and L.R. Beuchat. 2001. Human pathogens associated with raw produce and unpasteurized juices, and difficulties in decontamination. J. Industrial Micro. & Biotech. 27:104-110. 

  6. Changa, C.M., P. Wang, M.E. Watson, H.A.J. Hoitink, and F.C. Michel. 2003. Assessment of the reliability of a commercial maturity test kit for composted manure. Comp. Sci. Util. 11:125-143. 

  7. Cote, C., A. Villeneuve, L. Lessard, and S. Quessy. 2006. Fate of pathogenic and nonpathogenic microorganisms during storage of liquid hog manure in Quebec. Livestock Sci. 102:104-210. 

  8. Heinonen, H., M. Mohaibes, P. Karinen, and Koivunen. 2006. Methods to reduce pathogen microorganisms in manure. Livestock Sci. 102:248-255. 

  9. Hess, T.F., I. Grdzelishvili, H.Q. Sheng, and C.J. Hovde. 2004. Heat inactivation of E. coli during manure composting. Comp. Sci. Util. 12:314-322. 

  10. Hill, V.R., and M.D. Sobsey. 2001. Removal of Salmonella and microbial indicators in constructed wetlands treating swine wastewater. Water Sci. and Tech. 44:215-222. 

  11. Himathongkham, S., S. Bahari, H. Riemann, and D. Cliver. 1999.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 cow manure and cow manure slurry. REMS Microbiol. Letters 178:251-257. 

  12. Kim, J.K. 2000. Evaluation of the management of sanitation in foods service establishments in Korea and strategies for future improvement. J. Fd. Hyg. Safety 15:186-198. 

  13. Kim, S.H., J.S. Kim, J.P. Choi, and J.H. Park. 2006. Prevalence and frequency of foodborne pathogens on unprocessed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594-598.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15. Krueger, M., W. Schroedl, K. Isik, W. Lange, and L. Hageman. 2002. Effect of lactulose on the intestical microflora of periparturient sows and their piglets. Eur. J. Nut. 41:26-31. 

  16. Larney, F.J., L.J. Yanke, J.J. Miller, T.A. McAllister. 2003. Fate of coliform bacteria in composted beef cattle feedlot manure. J. Environ. Qual. 32:1508-1515. 

  17. Lim, J.H., Y.H. Kim, Y.T. Ahn, and H.U. Kim. 2000. Studies on the contamination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in domestic raw milk and milk products. J. Anim. Sci. Technol. 42:215-222. 

  18. Lung, A.J., C.M. Lin, J.M. Kim, M.R. Marshall, R. Nordstedt, N.P. Thompson, and C.I. Wei. 2001. Destr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tidis in cow manure composting. J. Food Prot. 64:1309-1314. 

  19. Murinda, S.E., L.T. Nguyen, S.J. Ivey, B.E. Gillespie, R.A. Almeida, F.A. Draughon, and S.P. Oliver. 200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bulk milk and cull dairy cow fecal sample. J. Food Prot. 65:1100-1105. 

  20. Pell, A.N. 1997. Manure and microbes: Pubic and animal health problem. J. Dairy Sci. 80:2673-2681. 

  21. Salanitro, J.P., I.G. Blake, and P.A. Muirhead. 199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ecal bacteria from adult swine. Appl. Environ. Microbiol. 33:79-84. 

  22. Smith, D.W., C.K. Barlow, L. Alderton, and M.F. Jacobson. 2002. Outbreak alert! Center for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Available at: http://www.cspint.org/reports/outbreak_report.pdf 

  23. Sukbir, G., S. Srinand, and C.M Frederick. 2007. Persistence of Listeria and Salmonella during swine manure treatment. Comp. Sci. Util. 15:53-62. 

  24. Tiquia, S.M. 2005. Microbiological parameters as indicators of compost maturity. J. Appl. Microbiol. 99:816-828. 

  25. Ueda, S. 1998. Occurrence and control of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ecies. pp. 21-27. In: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Doyle M.P.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