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형 소하천의 호안공법별 식생분포 조사
Vegetation survey in nature-friendly small streams for each protection method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38 no.2, 2011년, pp.315 - 324  

이강석 (괴산군청) ,  박진기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대학원) ,  연규방 (충청대학 토목과) ,  박종화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parian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s and diversity relative to various fluvial geomorphic channel patterns, stream bank stabilization methods, and stream flow processes are described and interpreted for selected nature-friendly small stream bank protection of Goesan, central Korea. Idong Stre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 규모가 비교적 작고 유사한 식생 분포를 나타내는 자연형 소하천 정비사업 지구에 채용된 10개 호안공법의 식생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봄, 여름, 가을의 식생분포 모니터링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자연형 소하천 정비사업 지구에 채용된 호안공법에 대해 계절별로 모니터링한 식생분포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렇게 식생분포는 소하천에 다양한 환경을 만들어 생물이 서식할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시범사업으로 실시된 소하천정비사업 지구가 사업 실시 이전과 이후에 어떠한 형태로 변화해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하천의 기능 발휘를 위해 방재(치수)기능만이 아닌 생물의 서식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국가 전체 하천에 대한 하천조사가 좀 더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 보며 그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하천에 시공된 호안 공법은 무엇이 있는가? 연구대상 소하천에 시공된 호안공법은 ① 자연석 2단 쌓기, ② 자연석 3단 쌓기, ③ 식생축조블록, ④ 그린리버블록, ⑤ 스톤넷, ⑥ 그린환경블록, ⑦ 지오그린셀, ⑧ 친환경 돌망태, ⑨ H형 환경블록, ⑩ 반딧불블록, ⑪ 자연 식생매트, ⑫ 생태옹벽블록의 12개 자연형 공법이다(Lee 등. 2010).
식생분류의 기본 목표는 무엇인가? 한편 식생분류의 기본 목표는 식물 유형에 따른 명확한 진단 기준과 생태학적으로 의미 있는 설정으로 식물 패턴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맞추어 유럽을 비롯한 국가에서는 분류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식물 단위의 개발 정보와 식생변화에 따른 환경변화를 감지하고 하천주변의 환경을 보전 또는 변화시켜오고 있다(Westhoff와 Maarel, 1973; Specht 등, 1974; Anon, 1997; Mucina와 Ladislav, 1997; Rodwell 등, 2002).
소하천에 시공된 호안공법의 특징은? 조사지점의 호안공법 특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식생블록(Ⅱ)과 반딧불블록(Ⅸ)의 시공방법 및 특징은 도로에 인접한 호안에 석축 및 옹벽 대용으로 바구니 공간에 자갈, 토사 등의 채움재를 사용하여 식재가 가능하고 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한다. 중량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시공성이 뛰어나며 식생이 가능하나 인공색이 강한 단점이 있다. 그린리버블록(Ⅲ)과 그린환경블록(Ⅳ)은 블록 자체의 모양을 자연석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고 블록사이 공간에 식재도 가능하며, 중량구조물로 큰 유속 구간이나 수충부의 제방보호가 필요한 구간에 적용할 수 있어 치수와 경관에 양호한 공법이다. 친환경 돌망태 공법(Ⅴ)은 철망을 조립하여 작은 돌을 채우고 복토한 후 씨딩을 하여 유속이 빠른 수충부에 적용할 수 있다. 식생매트 공법(Ⅵ)은 식생의 씨앗이 내장된 매트를 포설하고 복토를 한 후 호안 하단부 보강을 위하여 자연석 1단쌓기를 하였다. 이 공법은 식생의 자생력을 이용하므로 큰 유속에는 견디기 어려우나 경사가 완만한 곳에 적용되었다. H형 환경블록(Ⅹ)은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며 시공이 용이하나 복토 후 평떼 식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지오그린셀(Ⅷ)은 다공질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고 혼화제를 충진한 다음 복토, 씨딩, 거적덥기 순으로 시공이 복잡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나 식물이 활착하여 경관 및 자연형 하천을 조성할 수 있다. 자연석 쌓기(Ⅰ과 Ⅶ)의 경우는 습지원의 유출입 호안부분이나 수충부에 자연석을 쌓아 호안의 안정성을 높이고, 자연식생대를 조성하여 어소 역할과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한다. 이동천에 적용된 각 호안공법에 대한 시공전과 시공후의 단면 사진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on. 1997. Vegelation Classification Standard. FGDC-STD-005 .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URL: http ://www. fgdc.gov/standards/documents/standards/ vegetation. 

  2. Bcmhardt ES, Palmcr MA, Allan JD, Alcxander G, Barnas K, Brooks S, Carr J, Clayton S, Dahm C, Follstad-Shah J, Galat D, Gloss S, Goodwin P, Hart D, I-IHssett B, Jenkinson R, Katz S, Kondolf GM, Lake PS, Lave R, Meyer JL, O'Don TK, 2005. Synthesizing U.S. river restoration efforts. Science 308: 636-637. 

  3. Brookes A, Shields FD, 1996. River Channel Restoration: Guiding Principles for Sustainable Projects. Chichester (UK): John Wiley and Sons. 

  4. Ko KS, Kim YS. 1988. Color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Kyohak Pub. [in Korean] 

  5. Ko KS, 1991.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Search. Academy Pub. [in Korean] 

  6. Ku JO, Korea Agricultural System Society (KASS). 2002. Illustrated Guide to Korean Weed. Korea AgricuIturaI System Society. [in Korean] 

  7. Lce GS, Park JH, Yeon KB. 2010. Analysis of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apply to nature-friendly stream protection method. KCID Journal 7(2): 71-81. [in Korean] 

  8. LfU (Landesanstalt f. Umweltschutz Baden Wuelttemberg). 1992. Handbuch Wasserbau 2. Gewaesserentwicklungsplammg. Karlsruhe. 

  9. Maarel E. 2004. Vegetation Ecology. Wiley-Blackwell. pp. 9-18. 

  10. MOCT (Minishy of Consh'uction & Transportation). 2005. River Design Criteri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1. Mucina and Ladislav. 1997.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Past, present and future. J. of Vegetation Science 8: 751-760. 

  12. Nakamura K, Amano K, Tockner K. 2006. River restoration: European perspectives and lessons for Japan. Ecology and Civil Engineering 8: 201-214. 

  13. NRA (National Rivers Authority). 1992. River Corridor Survey: Methods and Procedure. Conservation Technical Handbook No. I. 

  14.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2.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5. Rodwell JS, Schamineee JH, Mucina L, Pignatti S, Dring J, Moss D. 2002. The diversity of European vegetation. An overview of phytosociological allianc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EUNlS habitats. Report EC-LNV nr. 2002/054, Wageningen, NL. 

  16. Specht R, Roe EM, Boughton VH. 1974. Conservation of major plant commullities in Australia and Papua New Guinea. Aust. J. Bot. Supplement 7. 

  17. USACE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89. Environmental engineering for local flood control channels. EM 1110- 1205, Washington, D.C. 

  18. Westhoff V,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Whittaker, R.H. (ed.)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Part V.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6 17-726. Junk, The Hague, NL. 

  19. Westhoff V. van der Maarel. 1978.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Whittaker, R.H. (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Boston: Junk, 617-726. 

  20. Woo H, Kim C. Han M. 2005. Situation and prospect of ecological engineering for stream restoration in Korea, KSCE J. of Civil Eng. 9(1): 19-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