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주거환경 내의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노출수준과 환경성질환과의 관련성
Relevance between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TVOC) Exposure Level and Environmental Diseases Within Residential Environment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37 no.3, 2011년, pp.193 - 200  

이동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  정진도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 different kinds of households in apartments or houses and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atopy-related symptoms and concentr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order to improve i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주택이나 아파트를 대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노출수준을 가구형태별로 비교분석하고, 설문조사에 의한 환기횟수, 아토피 관련증상에 대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실내환경 개선과 환경성 질환 예방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주택 및 기존아파트에 거주하는 638가구 즉, 일반가구 402가구, 취약가구 236가구를 대상으로 가구구성 형태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비교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 허용기준 초과율을 도출하였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허용기준(400 µg/m3) 초과여부와 피부증상여부, 아토피 진단여부, 아토피 자각증상여부로 구분하여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건물완공시기 및 입주 시기, 집안 환기횟수와의 관련성도 분석하였다.
  •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환경성질환과의 관련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형태는 주로 신축아파트나 건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보고되어져 왔으나 본 연구는 현재 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가구구성 형태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비교하였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를 가구별 건물 완공시기, 가구별 피부증상, 아토피 진단, 아토피 자각증상, 집안 환기횟수와의 관련성을 보고하여 기존 아파트나 건물에 대해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의한 환경성질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그 중에서도 인체에 발암성과 위해성이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실내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약 80%는 인체의 호흡기관을 자극하고 눈의 통증이나 자극을 유발하며 이 가운데 약 25%는 발암물질로 파악되고 있다.3) 또한, 집 먼지 진드기, 담배연기, 애완동물, 미세먼지, 곰팡이 등의 노출수준이 천식발생과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아토피질환의 경우 이러한 요인들 외에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HCHO)의 접촉과 흡입이 주요원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주택이나 아파트를 대상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노출수준을 가구형태별로 비교분석하고, 설문조사에 의한 환기횟수, 아토피 관련증상에 대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아파트나 주택을 대상으로 가구구성 형태에 따른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가구구성 형태 요인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구별 피부증상, 아토피진단, 아토피 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허용기준 초과여부에 따른 건물완공시기와 집안 환기횟수, 피부증상, 아토피 진단, 아토피자각증상 여부와의 관련성에서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본 연구에서 알 수 있었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유해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실내환경의 대표적인 문제로 신축 또는 개축된 건물에 입주한 후 뚜렷한 병명 없이 눈이 따끔거리거나, 목과 코가 아프거나, 두통 등이 나타나는 새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 관련 증상이다.1,2) 이와 같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대표적인 유해물질은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 HCHO),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이산화탄소, 미세먼지(PMs)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인체에 발암성과 위해성이 있는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Redlich CA, Sparer J, Cullen MR. Sick-building sydrom. The Lancet; 1997. p.1013-1016. 

  2. Takeda M, Saijo Y, Yuasa M, Kanazawa A, Araki A. Kishi R. Relationship between sick building syndrom and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in newly built Japanese dwelling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9; 82(5): 583-593. 

  3. Son JY, Youn DW.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ndoor air environment. J Air Condi Refri. 1995; 24(1): 1995-2002. 

  4. Institute of Medicine. Clearing the air-asthma and indoor air exposure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ashington DC; 2000. 

  5. Kim KW, Park JC. A field survey of HCHO, VOCs and TVOC eoncentration levels in the newly unoccupied apartment units. J Korea Soci Indoor Environ. 2008; 5(2): 158-169. 

  6. Seo BR, Hur D, Jeon JM, Hwang UH. A surve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newly built apartments at honam province. J Korea Soci Indoor Environ. 2006; 3(4): 329-345. 

  7. Lim WY, Yang JY. Kim HH, Lee YG, Kim YS, Jang SK, et al. Health risk assessment in terms of VOCs at newly-built apartment house. J Korea Soci Indoor Environ. 2006; 3(3): 211-223. 

  8. Kim HH, Yang JY, Park CS, Shin DC, Sohn JR, Lim YW. Health risk assessment of VOCs in the public facilities under Uncontrolled Korean-IAQ regulation. J Korea Soci Indoor Environ. 2007; 4(1): 42-52. 

  9. Sim SH, Kim YS, Yang WH. Estimation of source emission rate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formaldehyde using indoor air quality modeling in new apartment. J Korea Environ Sci. 2006; 15(10): 929-933. 

  10. Jang AS, Choi IS, Koh YI, Park CS. Volatile organic compounds contribute to airway hyperresponsiveness. J Korea Inter Med. 2007; 22: 8-12. 

  11. Wieslander G, Norback D, Edling C. Airway symptoms among house painters in relation to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a longitudinal study. J Occup Hyg Soc. 1997; 41(2): 155-166. 

  12. Rehwagen M, Schlink U, Herbarth O. Seasonal cycle of VOCs in apartments. Indoor Air. 2003; 13(2): 283-291. 

  1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Building Air Quality; A Guide for Building Owners and Facility Managers. 1991. 

  14. Krieger JK, Takano, TK, Allen C, Song L, Weaver M, Chai S, Dickey, P. The Seattle-King county healthy homes project: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improving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for low-income children with asthma. Environ Health Pespect. 2002; 110(2): 311-322. 

  15. Ministry of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Testing Methods. Notification, 2009-223. 

  16. National Health Insurance. Major "Environmental Disorder" Patients treated 7.14 million people in 2007.Corporation.http://www.mw.go.kr/fron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BOARD_ID140&BOARD_FLAG&CONT_SEQ204312&SEARCHKEY&SEARCHVALUE&CREATE_DATE1&CREATE_DATE2 [accessed 15 March 2011]. 

  17. Jung SW, Yang DS, Song MR, Son BS. A study of development of evaluation on source strength and deposition constant of VOCs. J Korea Environ Sci. 2007; 16(9): 1019-1026. 

  18. Ott W, Switzer P, Robinson J. Paticle concentration inside a tavern before and after prohibition of smoking: evaluating he performance of an indoor air quality model. J Air Waste Manage Assoc. 1996; 46: 1120-1134. 

  19. Gordon SM, Callahan PJ, Nishioka MG, Brinkman MC, O'Rourke MK, Lebowitz MD. Residental environment measurement in the national human exposure Assessment (NHEXAS) pilot study in Arizona: preminary results for pesticides and VOCs. J Expo Anal Environ Epidemiol. 1999; 6: 456-47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