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고추탄저병균의 항진균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fungal Activity of Anthracnose in Pepper by Nanopaticles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9 no.3, 2011년, pp.198 - 204  

서용창 (의료바이오신소재융복합연구센터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조정섭 (두산에코비즈넷) ,  정해윤 (두산에코비즈넷) ,  임태빈 (두산에코비즈넷) ,  조경숙 (두산에코비즈넷) ,  이태우 (두산에코비즈넷) ,  정명훈 (두산에코비즈넷) ,  이강형 (두산에코비즈넷) ,  김성일 (강원도 농업기술원) ,  윤원병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현용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antifungal activity of anthracnose in chili pepper by nanopaticles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through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process. Yield of TDS was 79.14% by reaction of thiamine hydrochloride and sodium lauryl sulfate. TDS nanopaticle solutio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orea)를 사용하여 30,000 psi의 압력으로 5 cycle을 진행하여 나노입자 크기로 분산된 TDS 용액을 얻었다. 고압균질 공정을 통해 제조한 TDS 나노입자 용액 속에 안정하게 분산되어 있는 TDS 분말의 함유량을 확인하기 위해 안정성을 측정하여 보았다. 대조군으로는 일반 증류수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으로는 고압균질 공정을 통해 TDS 나노입자 용액의 분말 농도를 6.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항균효능 (Kim et al., 2005)이 보고된 비타민 B1의 유도체 (Thiamine Dilauryl Sulfate : TDS)를 제조하여 새로운 생화학농약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TDS 분말을 고압 균질기를 통해 나노입자크기로 수용액속에 분산시킨 solution을 제조하여 고추탄저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연구하였다.
  • , 2009).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과 일맥상통하여 항균효능이 보고된 비타민 B1의 유도체를 제조하여 작물병 발생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효능을 측정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B1은 농약으로 사용하기에는 어떤 단점이 있는가? , 2005). 그러나 비타민 B1의 경우 농약으로서 사용하기에는 낮은 열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열처리 공정에서 손실될 가능성이 높으며, 수용액상에서 안정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Lee, 2002;Choi et al., 1982).
유기합성농약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잔류독성 및 환경오염 등과 같은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어떤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가? 농업생산성 증대를 위한 유기합성농약의 사용으로 생산성은 증대되었으나 천적, 유용미생물 등의 감소와 인축에 의한 독성, 토양이나 식품 등의 잔류독성 및 환경오염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여 왔다 (Staub and Sozzi, 1984).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친환경적인 저항성 품종개발, 생물학적 방제 및 생물농약 개발 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01년 현재 전 세계 농약시장에서 전체 농약 시장 규모의 성장이 정체 양상을 보이는데 반하여 생물농약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5%로 아직은 미약하지만 최근 5년간 평균치로는 연 평균 약 20%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Ko et al.
비타민 B1의 특징과 효과 및 효능은 무엇인가? 비타민 B1 (Thiamine)은 타 비타민들과 달리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세균, 효모, 곰팡이, 유산균 등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식품에 첨가 시 식품보존 등 여러 면에서 유용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비타민 B1은 면류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살균제의 첨가물이다 (Lee et al., 2010). 소독제와 살균제에서 비타민 B1의 처리는 쌀에서 대장균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이 최근 밝혀졌다. 또한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aureus등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능도 보고된 바 있다 (Lee et al., 2008;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e JM. (1996). Maceration methods for SEM observation. Keimyung Medical Journal. 15:75-85. 

  2. Choi JH, Park KD, Sung HS, Lee KS and Oh SK. (1982). Study on stability of B-vitamins in processing methods of ginseng. Korean Journal of Nutrition and Food. 11:7-12. 

  3. Kim CJ. (2000). The biocontrol agent containing aminoglycoside antibiotics for control of plant diseases. Korea Patent. 0,079,924. 

  4. Kim CT, Kim CJ, Cho YJ, Ko SH and Choi AJ. (2007). Production technology of food nanoemulsions and its application in food industry. Food Engineering Progress. 11:237-247. 

  5. Kim HS, Cho YH and Lee DK. (2005). A study on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eservative effect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in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iety. 22:212-218. 

  6. Ko SW, So IS and Huh MR. (2009). Study on antifungal activity of Aloe arborescens M. for a potential bio-pesticide.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43:35-44. 

  7. Lee MJ, Ha JH and Ha SD. (2008). Synergistic effect of vitamin B1 on sanitizer and disinfectant treatments for reduction of coliforms in rice. Food Control. 19:113-118. 

  8. Lee MJ, Ha JH and Ha SD. (2010). Synergistic effect of vitamin B1 on sanitizer and disinfectant treatments for reduction of Bacillus cereus in rice. Journal of Food Safety. 30:1-11. 

  9. Lee OH, Hwang HS, Kim JY, Han JH, Yoo YS and Kim BS. (2001). A Search for sources of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Lev.) Arn) in pepper (Capsicum spp.).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9:7-11. 

  10. Lee SY, Hong SK, Kim YK and Kim HG. (2007). Sel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bio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35:121-127. 

  11. Lee SY, Lee SB, Kim YG and Kim HG. (2004). Effect of agrochemicals on mycelial growth and spore germination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qualis 94013 for controlling cucumber powdery mildew.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8:71-78. 

  12. Lee YH. (2002). Use of vitamin B1 as agent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Korea Patent. 7,011,615. 

  13. Nam MH, Jung SK, Ra SW and Kim HG. (2003). Control efficacy of sodium bicarbonate alone and in mixture with polyoxyethylene sorbitanmonolaurate on powdery mildew of strawberry.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1:98-101. 

  14. Ryu NH, Choe MY, Lyu YJ, Jo HJ, Lee YS, Lee YD and Jeong JB. (2003). Suppression of powdery mildew development in oriental melon by silicate fertiliz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2:255-260. 

  15. Seo YC, Jeong MH, Jeong HS, Kim JS, Zou YY, Ahn JH, Shin IS and Lee HY. (2010). Enhancement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nano-encapsulated horseradish aqueous extra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389-397. 

  16. Shin HJ, Chen ZJ, Hwang JM and Lee SG. (1999). Comparison of pepper anthracnose pathogens from Korea and China. Plant Pathology Journal. 15:323-329. 

  17. Staub T and Sozzi D. (1984). Fungicide resistance: A continuing challenge. Plant Disease. 68:1026-1031. 

  18. Yoon JB and Park HG. (2001).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to pepper fruit anthracnose: Pathogen sporulation, inoculation methods related to inoculum concentrations and post-inoculation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42:389-3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