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해안과 산간 지역 대기 에어러솔의 이온조성 비교
Ionic composition comparison of atmospheric aerosols at coastal and mountainous sites of jeju island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4 no.1, 2011년, pp.24 - 37  

홍상범 (극지연구소 극지지구시스템연구부) ,  정덕상 (제주대학교 화학과) ,  이순봉 (제주대학교 화학과) ,  이동은 (제주대학교 화학과) ,  신승희 (제주대학교 화학과) ,  강창희 (제주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안에 위치한 제주도 고산 지역과 산간의 한라산 1100고지 지역에서 대기에어러솔을 채취, 분석한 결과로부터 해안과 산간 지역 대기에어러솔의 이온조성 및 특성을 비교하였다. 이온성분의 농도는 한라산 1100고지보다 고산지역에서 더 높고, 월별로는 $NH_4^+$, nss-$SO_4^{2-}$(비해염 황산)이 6월에 두 지역에서 동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토양기원의 nss-$Ca^{2+}$(비해염 칼슘)은 인위적 기원의 $NO_3^-$과 상관성이 비교적 크며 봄철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두 지역에서 각 이온들의 시계열 변화를 비교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성분들 간의 상관성을 조사해 본 결과, TSP(총부유분진)의 이온성분은 고산지역에서 해염입자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nss-$SO_4^{2-}$, $NH_4^+$, nss-$Ca^{2+}$, $K^+$, $NO_3^-$의 농도는 국지오염원보다는 장거리 이동한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onic compositions of atmospheric aerosols were investigated and characterized in coastal and mountainous sites of Jeju Island, which were Gosan and Mt. Halla-1100 sites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s of nss-$SO_4^{2-}$ (non-sea salt sulfate) and $NH_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제주 지역의 국지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연구한 경우는 비교적 많지 않은 상태이다.3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 대기에어러솔의 오염 현상에 대해 제주 지역의 국지적인 오염원 영향을 간접적으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대기에어러솔의 오염현상이 대체적으로 국지적인 오염 영향이 큰지 아니면 광역 오염 영향이 큰지 그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장기 측정 결과로부터 동일 성분 간 회귀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 5,17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해안가에 위치한 고산 지역과 산간에 위치한 한라산 1100 고지 지역에서 총 부유분진을 채취하여 이온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발고도가 다른 두 청정지역에서 동일한 시기에 측정한 대기에어러솔 입자의 화학적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한라산 1100고지 지역이 월경성 대기오염물질 측정소로 적합한지 그 가능성을 조사하고, 또 제주 지역 대기에어러솔의 오염현상을 좀 더 입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우리나라 주변국가로부터 장거리 이동에 의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이동 경로와 오염 특성, 그리고 이들이 한반도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국내 청정지역인 제주도 고산 측정소(해발 72 m)와 고지대인 한라산 1100 측정소(해발 1100 m)에서 채취한 총부유분진(TSP, total suspended particulate)을 분석한 결과이다. 제주 지역 총부유분진의 화학적 특성 연구는 대부분 국가 배경농도 측정소인 고산 측정소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무엇과 관계있는가? 5 µm 미만인 미세입자 영역에 존재한다.1 그리고 위와 같은 미세먼지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대기 복사력, 불균일 대기화학 반응, 시정 장애, 그리고 인체 위해도 등과 밀접한 관계있기 때문에 이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오염 현상은 넓은 지역에 걸쳐 광역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발생원 주변의 오염 특성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대기 오염물질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기 에어러솔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발생 기원과 대기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대기 에어러솔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발생 기원과 대기 환경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토양이나 해양 등의 자연적 기원에서 직접 유래하는 미세먼지는 지각과 해염 성분들이 주요 화학 조성을 나타내며 주로 직경 2.5~10 µm의 조대입자 영역에 존재한다. 반면에 인위적 또는 자연적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대기 중으로 직접 방출되기도 하고 기체상 전구물질이 복잡한 물리, 화학적 변환 경로를 거쳐 생성되며, 주요 화학 조성은 NH4+, NO3−, SO42−, 탄소성분 등으로 직경이 2.5 µm 미만인 미세입자 영역에 존재한다.1 그리고 위와 같은 미세먼지의 물리, 화학적 특성은 대기 복사력, 불균일 대기화학 반응, 시정 장애, 그리고 인체 위해도 등과 밀접한 관계있기 때문에 이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느 나라로부터 장거리 수송되는 대기오염물질 영향을 받는가? 동북아시아 지역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중위도 편서풍 풍하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중국 대륙으로부터 장거리 수송되는 각종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동부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산업화가 진행 중이며 상당한 양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 B. Lee, C. H. Kang, D. S. Jung, H. J. Ko, H. B. Kim, Y. S. Oh and H. R. Kang, Analytical Sci. Technol., 23(4), 371-382(2010). 

  2. J. Y. Kim, S. C. Yoon, A. Jefferson, W. Zahorowski and C. H. Kang, Atmos. Environ., 39(35), 6513-6523(2005). 

  3. W. Zahorowski, S. Chambers, T. Wang, C. H. Kang, I. Uno, S. Poon, S. N. Oh, S. Werczynski, J. Kim and A. Henderson-Sellers, Tellus B, 57(2), 124-140(2005). 

  4. R. Arimoto, X. Zhang, B. J. Huebert, C. H. Kang, D. L. Savoie, J. M. Prospero, S. K. Sage, C. A. Schloesslin, H. M. Khaing and S. N. Oh, J. Geophysical Res., 109(D19S04), 1-15(2004). 

  5. W. H. Kim, C. H. Kang, D. S. Jung, H. J. Ko and W. Lee, Analytical Sci. Technol., 21(4), 304-315(2008). 

  6. 신소은, 김용표, 강창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9(4), 421-429(2010). 

  7. G. R. Carmichael, M. S. Hong, H. Ueda. L. L. Chen, K. Murano, J. K. Park, H. Lee, Y. Kim, C. Kang and S. Shin, J. Geophysical Res., 102(D5), 6047-6053(1997). 

  8. C. H. Kang, W. H. Kim and W. Lee, Bull. Korean Chem. Soc., 24(3), 363-368(2003). 

  9. C. J. Ma, S. Tohno, M. Kasahara and S. Hayakawa, Atmos. Environ., 38, 1133-1143(2004). 

  10. Y. J. Kim, J. H. Woo, Y. I. Ma, S. Kim, J. S. Nam, H. Y. Sung, K. C. Choi, Jihyun Seo, J. S. Kim, C. H. Kang, G. W. Lee, C. U. Ro, D. Chang and Y. Sunwoo, Atmos. Environ., 43(34), 5443-5578(2009). 

  11. M. Zhang, I. Uno, Y. Yoshida, Y. Xu, Z. Wang, H. Akimoto, T. Bates, T. Quinn, A. Bandy, B. Blomquist, Atmos. Environ., 38, 6947-6959(2004). 

  12. R. Arimoto, X. Zhang, B. J. Huebert, C. H. Kang, D. L. Savoie, J. M. Prospero, S. K. Sage, C.A. Schloesslin, H.M. Khaing, and S.N. Oh, J. Geophys. Res., 109(D19S04), 1-15(2004). 

  13. J. Y. Kim, S. C. Yoon, A. Jefferson, W. Zaharowski and C. H. Kang, Atmos. Environ., 39, 6513-6523(2005). 

  14. M. H. Park, Y. P. Kim and C. H. Kang, Water, Air, & Soil Pollution, 3(2), 117-128(2003). 

  15. M. H. Park, Y. P. Kim, C. H. Kang and S. G. Shim, J. Geophys. Res., 109(D19S13), 1-7(2004). 

  16. 고희정, 강창희, 김원형, 이순봉, 강화숙,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6(4), 420-431(2010). 

  17. 김원형, 강창희, 신찬성, 고선영, 홍민선,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2), 145-156(2003). 

  18. 강창희, 고희정, W. Zahorowski,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5), 612-624(2007). 

  19. R. A. Arimoto, D. L. Duce, S. J. M. Prospero, R. Talbot, J. D. Cullen, U. N. Tomza, F. Lewis and B. J. Ray, J. Geophys. Res., 101(D1), 2011-2023(1996). 

  20. C. H. Kang, W. H. Kim, H. J. Ko, S. B. Hong, Atmos. Res.,, 94(2), 345-355(2009). 

  21. Y. P. Kim, S. G. Shin, K. C. Moon, C. G. Hu, C. H. Kamg and K. Y. Park, J. Appl. Meteorol., 37, 1117-1126(1998). 

  22. 김원형, 강창희, 신찬성, 고선영, 홍민선,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2), 145-156(2003). 

  23. H. T. Nguyen, C. H. Kang, C. J. Ma, K. C. Choi, J. S. Kim, J. H. Lee and K. H. Kim, Water, Air, & Soil Pollution, 196, 225-243(2009). 

  24. 강창희, 김원형, 한진석, 선우영, 문길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3), 263-273(2003). 

  25. C. H. Kang, W. H. Kim, C. G. Hu, Y. P. Kim, S. G. Shim, M. S. Hong an K. H. Kim, J. Korean Soc. Atmos. Environ., 19(E4), 177-186(2003). 

  26. 김나경, 김용표, 강창희, 문길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9(3), 333-343(2003). 

  27. 김나경, 김용표, 강창희, 문길주,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1), 119-128(2004). 

  28. K. H. Kim, C. H. Kang, K. C. Choi, Y. J. Kim, Analytical Sci. Technol., 17(3), 230-239(2004). 

  29. 김용표, 박세옥, 김진영, 심상규, 문길주, 이호근, 장광미, 박경윤, 강창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1), 79-90(1996). 

  30. 김용표, 김성주, 진현철, 백남준, 이종훈, 김진영, 심상규, 강창희, 허철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3), 297-306(1996). 

  31. H. S. Lee and B. W. Kang, Atmos. Environ., 35, 739-746(2001). 

  32. M. H. Park, Y. P. Kim and C. H. Kang, Water, Air, & Soil Pollution: Focus, 3(2), 117-128(2003). 

  33. Y. S. Chun, K. O. Boo, J. Y. Kim, S. U. Park and M. H. Lee, J. Geophys. Res., 106(D16), 18461-18469(2001). 

  34. R. B. Husar, D. M. Tratt, B. A. Schichtel, S. R. Falke, F. Li, D. Jaffe, S. Gasso, T. Gill, N. S. Laulainen, F. Lu, M. C. Reheis, Y. Chun, D. Westphal, B. N. Holben, C. Gueymard, I. McKendry, N. Kuring, G. C. Feldman, C. McClain, R. J. Frouin, J. Merrill, D. DuBois, F. Vignola, T. Murayama, S. Nickovic, W. E. Wilson, K. Sassen, N. Sugimoto and W. C. Malm, J. Geophys. Res., 106, 18317-18330(2001). 

  35. S. B. Hong, W. Chang, C. H. Kang and J. H. Lee, Bull. Korean Chem. Soc., 30(7), 1505-1520(2009). 

  36. K. H. Kim, G. H. Choi, C. H. Kang, J. H. Lee, J. Y. Kim, Y. H. Youn and S. R. Lee, Atmos. Environ., 37(6), 753-765(2003). 

  37. 박민하, 김용표, 강창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6), 487-492(2001). 

  38. 김나경, 김용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6), 821-830(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