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공사 주요자재별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 값 산출에 산업연관표 적용 적정성 검토 연구 -2005년, 2007년 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Application of Input-Output Table to Estimate of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and CO2 Emission Intensity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Focusing on Input-Output Tables Published in 2005, 2007-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1 no.3 = no.47, 2011년, pp.247 - 255  

정영철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김성은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장영준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  김태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김광희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은행에서 2000년도에 발행된 산업연관표를 적용한 주요 건축자재에너지소비량$CO_2$ 배출에 대한 원단위 DB는 있지만 2005년, 2007년에 발행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원단위 DB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행된 2005년, 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주요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 원단위 값을 산정하고자 한다.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원단위 산출을 위한 방법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DB 구축 방식을 바탕으로 산출하였으며, 건설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16가지의 건설자재는 선별하여 적용하였다. 기존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2000년도 산업연관표를 적용하여 산출된 원단위 DB 값과 비교한 결과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의 산출방법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2005년, 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출한 에너지소비량과 $CO_2$ 배출 원단위 값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멘트와 철근을 주원료로 하는 자재에서 가장 많은 에너지소비량 및 $CO_2$ 배출 원단위 값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건설자재 생산단계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의 간접적인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re is database for per unit requirements of major construction materials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00, but no database for per unit requirements based on input-output tables was pu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의 DB구축 방식을 바탕으로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를 산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0년에 발행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와 Kim[6]의 연구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비교하고자 하는 주요 건축자재는 Lee and Yang[8]의 연구에서 제시한 16가지의 항목을 적용하여 산출한 에너지소비량과 CO₂배출 원단위 값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4, 5에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의 CO2 배출 원단위 값이 산업연관표의 발행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파악하고, 주요 건축자재의 환경부하 추이를 분석하였다. 향후 환경부하 원단위를 예측하여 건축물의 전 생애에 걸쳐 발생되는 환경부하의 예측 및 절감을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의 절차는 Figure 1에 제시한바와 같다.
  • 그러나 2005년, 2007년도에 발행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출한 건설자재의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 DB 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발행된 2005년, 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주요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 값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 값은 주요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행된 2000년, 2005년, 2007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건축공사에 사용되는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를 산출하고자 한다. 주요 건축자재의 에너지소비량 및 CO2 배출 원단위 값의 산출방법은 현재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는 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산업은 건축물의 재료 및 자재를 생산하는데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평가하기 위해서 무엇을 이용하고 있는가? 특히 건설 산업에서 소비하는 화석연료량은 전체 화석연료의 1/4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설 산업에서 발생되는 환경부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2]. 건설 산업은 건축물의 재료 및 자재를 생산하는데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평가하기 위해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시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를 이용하고 있다. LCA는 건축물의 라이프 사이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환경부하 원단위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를 적용하고 있다[3].
LCA는 무엇을 적용하고 있는가? 건설 산업은 건축물의 재료 및 자재를 생산하는데 발생되는 환경부하를 평가하기 위해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시한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를 이용하고 있다. LCA는 건축물의 라이프 사이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하여 환경부하 원단위 데이터베이스(Data base: DB)를 적용하고 있다[3].
전과정평가는 어떤 기법인가? 전과정평가(LCA)는 개념적으로 환경부하 혹은 배출에 관한 질적, 양적 자료목록을 평가하여 환경성과를 개선시키기 위한 대안을 검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6]. 즉, 어떤 제품이나 공정,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소모되고 배출되는 에너지 및 물질의 양을 정량화 하여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이를 통하여 환경개선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객관적인 환경영향 평가기법이다. LCA는 환경영향 평가(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EIA), 위해성 평가(Risk Assesment) 등과 같이 환경관리 기법중의 하나로 정립되어 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ung YC, Park GT, Lee BY, Kim GH. [The estimation of $CO_2$ emission cost on roof waterproofing types using Input-Output tabl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2010 May 14; Seoul, Korea. Seoul (Korea); 2010. p. 243-6. Korean. 

  2. Kim JH, Kim SW, Sohn JY.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environmental load intens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e building LC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4 Jul;20(7):211-8. Korean. 

  3. Lee BY, Kim BR, Kim GH. [Comparison of construction costs of masonry wall types including $CO_2$ emission cos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0 Jun;10 (3):83-90. Korean. 

  4. Lee KH, Chae CU. [A study on the amount of the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of public buildings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2 May;18(5):99-107. Korean. 

  5. Kim JH, Lee SE, Sohn JY. [An estim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 $CO_2$ emission intensity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4 Oct;20(10):319-26. Korean. 

  6. Kim JH. Evaluating $CO_2$ emission in construction stages of apartment buildings by life cycle assessment [dissertation]. Seoul (Korea): Hanyang University; 2005. 189 p. Korean. 

  7. Kim JH, Lee SE, Sohn JY. [An assessment of the energy consumption & $CO_2$ emission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of apartmen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5 Apr;21(4):199-206. Korean. 

  8. Lee KH, Yang JH.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estima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 Jun;25(6):43-50. Korean. 

  9. Lee KH, Lee HS, Yang JH.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trend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between 2000, 2003 and 2005].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2010 Oct;10(5):123-9. Korean. 

  10. Jeong YS, Choi GS, Kang JS, Lee SE. [Development of life cycle assessment program for estimating environmental load of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8 May;24(5):259-66. Korean. 

  11. Park HC. [A study on revision of korean petroleum sector statistics]. Korean Energy Economic Review. 2006 Jun;5(1):123-43. Korean. 

  12. Nansai K, Moriguchi Y, Tohno S. Embodied energy and emission intensity data for japan using Input-Output tables (3EID).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JP); 2002. 71 p. Report No.: CGER-D031-2002. 

  13. Lee KH, Lee KH. [The estimation of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in construction activiti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96 Jul;12(7):197-205.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