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 Prodiginine 색소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섬유염색성
Physicochemical and Dyeing Properties of Microbial Prodiginine from Zooshikella sp.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5 no.4, 2011년, pp.431 - 441  

김용숙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al colorants produced from Zooshikella sp. were developed as a reddish dye for fabrics. The reddish colorants were extracted from cell mass of Zooshikella sp. using 100% ethanol and were identified as prodiginine by 1H-NMR and FT-IR analysis. Microbial prodiginine had a maximum spectrophoto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색소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천연염료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색소를 추출하여 색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다섬교직포에 염색을 하여 색상과 염착량을 평가함으로써 미생물 색소를 이용한 섬유염색활용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남성우. (2007). 천연염색의 이론과 실제 I. 서울: 보성문화사. 

  2. 박문영, 김호정, 이문철. (2002). 동물성 섬유에 대한 Lac 추출물의 염색성. 한국의류학회지, 26(8), 1248-1253. 

  3. 배정숙, 허만우. (2006). 코치닐에 의한 나일론 직물의 천연염색성과 항균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6), 702-708. 

  4. 송경헌, 백천의. (2002). 호도 외피를 이용한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1(4), 391-400. 

  5. 이종남.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천연염색. 서울: 현암사. 

  6. 최종명, 김용숙. (2009). 미생물 violacein 색소의 다섬교직포에서의 염색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5), 818-826. 

  7. Alihosseini, F., Ju, K., Lango, J., Hammock, B. D., & Gang, S. (2008). Antibacterial colorants: Characterization of prodiginines and their applications on textile materials. Biotechnology Progress, 24(3), 742-747. 

  8. Dufosse, L., Galaupa, P., Yaronb, A., Aradb, S. M., Blancc, P., Kotamballi, N., Murthyd, C., & Ravishankard, G. A. (2005). Microorganisms and microalgae as sources of pigments for food use: A scientific oddity or an industrial reality?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6(9), 389-406. 

  9. Furstner, A. (2003). Chemistry and biology of roseophilin and the prodigiosin alkaloids: A survey of the last 2500 years.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42, 3582-3603. 

  10. Han, G. H., Shin, H. J., & Kim, S. W. (2008). Optimization of bio-indigo production by recombinant E. coli.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42(7), 617-623. 

  11. Huh, J. E., Yim, J. H., Lee, H. K., Moon, E. Y., Rhee, D. K., & Pyo, S. (2007). Prodigiosin isolated from Hahella chejuensis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NO production by inhibiting p38 MARK, JNK and NF-kB activation i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7(13), 1825-1833. 

  12. Kim, D., Lee, J. S., Park, Y. K., Kim, J. F., Jeong, H., Oh, T. K., Kim, B. S., & Lee, C. H. (2007). Biosynthesis of antibiotic prodiginines in the marine bacterium Hahella chejuensis KCTC 2396.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02(4), 937-944. 

  13. Kim, Y. S., Choi, J. M., Yoon, J. H., Choi, M. J., Reza, M. A., & Park, S. C. (2009). Studies on dermal and ocular irritation of prodigiosin isolated from Zooshikella rubidus. Toxicology Research, 25(4), 237-242. 

  14. Mancini, I., Guella, G., & Defant, A. (2008). Synthesis of marine natural products with antimalarial activity. Mini-Reviews in Medical Chemistry, 8(12), 1265-1284. 

  15. Manteca, A., Alvarez, R., Salazar, N., Yague, P., & Sanchez, J. (2008). Mycellium differentiation and antibiotic production in submerged cultures of Streptomyces Coelicolor.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4(12), 3877-3886. 

  16. Matsuoka, S. (1992). Relaxation phenomena in polymers. Newyork: Hanser. 

  17. Oppong, D., King, V. M., Zhou, X., & Bowen, J. A. (2000). Cultural and biochemical diversity of pink-pigmented bacteria isolated from paper mill slimes. Journal of Industrial Microbiology & Biotechnology, 25(2), 74-80. 

  18. Pandey, R., Chander, R., & Sainis, K. B. (2009). Prodigiosins as anti cancer agents: Living upto therir name.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15(7), 732-741. 

  19. Shirata, A., Tsukamoto, T., Yasui, H., Hata, T., Hayasaka, S., & Kijima, A. (1997). Production of bluish-purple pigments by Janthinobacterium lividium isolated from the raw silk and dyeing with them. Journal Sericultural Science of Japan, 66(6), 377-385. 

  20. Shirata, A., Tsukamoto, T., Yasui, H., Hata, T., Hayasaka, S., Kijima, A., & Kato, H. (2000). Isolation of bacteria producing blue-purple pigment and use for dyeing.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34(2), 131-140. 

  21. Tao, J. L., Wang, X. D., Shen, Y. L., & Wei, D. Z. (2005).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prodigiosin production by a Serratia marcescens mutant through fed-batch fermentation. World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1(6-7), 969-972. 

  22. Wilson, A. (1998). Biotechnology could revolutionize blue jeans production. International Dyer, 183(9), 35-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